
총 15개
-
융건릉2024.11.201. 수원·화성지역 답사 1.1. 성곽의 도시 수원·화성 개관 조선 제22대 왕 정조는 부친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수원을 근대 도시로 건설하였다. 수원은 서울에서 남쪽으로 40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정조는 이곳이 "우리나라의 우부풍(右扶風)의 땅"이라고 평가하였다. 즉, 바다를 등지고 한강을 앞에 두어 서울을 감싸고 있으며, 영남과 호남을 아우를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라는 것이다. 정조는 수원을 신도시로 건설하면서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이를 "현륭원"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이 현륭원을 보호...2024.11.20
-
사도세자에대해 승정원일기는 어떻게 기록되었는지2024.11.201. 서론 1.1. 사도세자 연구의 배경 사도세자 연구의 배경은 그의 삶과 죽음을 둘러싼 관심과 의혹에서 비롯된다. 영화 '사도'의 개봉을 계기로 사도세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높아졌는데, 특히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과 인간이라는 책에서 제기된 사도세자의 광증설과 당쟁희생설은 그동안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주요한 해석이었다. 광증설은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근거로 하는데, 이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어린 시절부터 영조의 가혹한 교육으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광증에 걸렸고, ...2024.11.20
-
중앙대 한국사2024.10.23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1.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등장배경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우리 민족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권리를 되찾았다. 해방 후 자주적인 정부의 수립이 최우선적인 과제였던 가운데, 친일파 청산이 한반도의 필연적 과제로 대두되었다. 당시 사회에서는 친일파 청산을 위한 움직임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도 잠시, 다시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본의 빈자리를 미국이 차지한 것이다.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2024.10.23
-
중앙대 한국사2024.10.18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1.1. 반민특위의 등장배경 1945년 8월 15일 광복, 우리 민족은 고통스러운 일제의 지배를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권리를 되찾았다. 해방 후, 자주적인 정부의 수립은 우리 민족의 최우선적인 과제였다. 그에 따라, 친일파 청산은 한반도의 필연적 과제로 대두되었고 당시 사회에서는 그를 위한 움직임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움직임도 잠시, 다시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본의 빈자리를 미국이 차지한 것이다.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이었다. 또...2024.10.18
-
세계영화기행2024.09.021. 서론 나는 세계 영화사의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과 '카니발 이론'을 이용하여 2014년 4월 30일에 개봉한 영화 '역린'에 대하여 분석을 하겠다. 우선, '몽타주 이론'을 알아보기 전에 '몽타주'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몽타주(Montage)'는 프랑스의 '몽토르(Montor), 모으다, 합치다'의 뜻으로 건축용어로 사용 되었다. 지금은 의미보다는 다양한 벽돌을 쌓아 멋진 건물을 지어 올리듯, 영화의 'A'쇼트와 'B쇼트'를 이용해 새로운 뜻과 의미 'C'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