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정상분만 케이스2025.06.051. 정상분만 사례 1.1. 정의 및 개요 정상분만이란 산부가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분만 과정은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 3가지가 보조진행으로 이루어진다. 정상분만에는 산도, 만출물, 만출력, 심리적 요인, 산부의 자세 등 5가지 요인이 중요하다. 산도는 뼈골반과 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아의 머리 크기, 선진부, 태위, 태세, 태향 등이 산도를 통과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만출물은 산도를 ...2025.06.05
-
3도열상 자연분만 케이스2025.05.131. 3도열상 자연분만 케이스 1.1. 문헌고찰 1.1.1. 자연분만이란? 자연분만이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이다.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하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는 분만법이다. 최근 많이 활용하는 자연분만법은 라마즈분만, 리이드분만, 브래들리분만이며 그 외에도 일부 병원에서 실시하는 그네분만, 르부아예분만, 소프롤로지분만과 수중분만 등이 있다. 라마즈분만은 호흡법과 이완요법을 통해서 통증을 조절하는 무통분만법...2025.05.13
-
33세 초산부 박□□님은 분만예정일이 10일 지났다2025.05.24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분만은 분만 발생부터 자궁수축으로 자궁경관이 개대되고 소실되어 태아와 부속물이 산도를 통해 밖으로 만출되는 과정이다. 보통 최종 월경 시작일로부터 280일째 되는 날을 분만 예정일로 계산한다.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하게 되는 것을 조산 또는 조기 분만이라고 말하며, 임신 37주 이후 분만하는 경우 만삭 분만, 임신 42주 이후에 분만하게 되는 경우를 과숙 분만이라고 정의한다. 분만 시작시 규칙적인 자궁수축으로 진통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가 강해지고 횟수가 빈번해지면서 분만이 진행된다. ...2025.05.24
-
여성간호학 정상분만 pbl2025.05.301. 서론 1.1. 정상분만의 정의 정상분만이란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한 경우,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는 분만법이다. 정상분만의 요소는 5가지로 태아, 산도, 만출력, 산부의 자세, 산부의 심리적반응으로 구성된다. 태아의 경우 태아머리, 태위, 태세, 선진부, 태향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 산도는 골반의 뼈부분과 연한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반은 4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만출력은 일차적으로 분만...2025.05.30
-
분만2025.07.241. 분만의 개요 1.1. 정상분만의 정의 정상분만이란 분만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어려움 없이 아기가 자연스럽게 태어나는 것이다. 정상분만의 정의는 산모의 신체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할 때 산모의 질을 통해 아기가 출산되는 일반적인 분만 방법이다. 정상분만의 경우 산모가 겪는 고통과 공포는 다른 분만법에 비해 크지만, 산모는 의식이 있어 분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탄생의 기쁨을 경험할 수 있고 약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태아가 약물로부터 안전하게 나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상분만은 자연스러운 분만 과정을 통해...202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