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마취 간호2024.09.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및 역사 마취란 의식과 감각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진료 행위이다. 마취의 개념은 18세기까지는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마취의 역사는 고대부터 존재했는데, 수천 년 전부터 알코올, 아편, 대마초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4세기 BC 고대 그리스의 의사 디오스코리데스는 만드라고라 뿌리를 사용하여 수술 중 통증을 줄이는 방법을 기록했다. 이...2024.09.22
-
마취 종류와 간호2024.11.17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흡입전신마취 흡입전신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신마취 방법이다. 이는 마취제의 투여 및 배설이 폐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따라서 마취심도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흡입마취제는 마취유도와 각성이 매우 빠르다. 폐를 통해 들어온 마취제는 혈액을 통해 전달되어 주로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부에서 마취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오더라도 투여된 마취제가 체내에서 완전히 배설되기 위해서는...2024.11.17
-
마취종류2024.10.211. 마취의 종류 1.1. 전신마취 1.1.1. 전신마취의 정의와 특징 전신마취는 뇌의 기능을 억제하여 의식, 감각, 운동 등의 소실을 유발함으로써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통증을 차단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전신마취에서는 의식과 감각이 없어지고 골격근이 이완되며, 폐환기와 심혈관계 기능의 손상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침이나 연하, 구토, 교감신경계 반응과 같은 체성 신경, 자율신경과 내분비 반응이 소실된다. 전신마취제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기도 내 흡입이나 혈관 내 주입 또는 밸런스 마취(정맥...2024.10.21
-
마취간호2024.10.22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의식과 감각 및 반사 작용이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마취"란 말은 18세기까지 단순히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용어였으나, 19세기에 에테르를 사용하여 마취에 성공하면서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전신마취와 국소 혹은 부위마취가 주된 마취 방법이며, 마취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활동 유지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된다. 마취는 수술이나 시술 중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진료 행위이며, 이를 위해 숙련된 마취 관리...2024.10.22
-
BPB2025.04.241. 마취의 종류와 특징 1.1. 전신마취 1.1.1. 정의와 기전 전신마취는 보호 반사의 손실과 함께 의학적으로 유도된 무의식 상태이다. 하나 이상의 전신 마취 작용 물질을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신마취제는 혈액순환을 통해 혈액-뇌방벽을 통과하여 뇌조직에 도달하게 된다. 마취제의 농도 및 환자 상태에 따라 대뇌 피질의 고위중추와 하위중추, 시상, 척수를 순서대로 마취시켜 수술에 필요한 마취상태를 가져온다. 그러나 마취심도가 과도할 경우 연수를 억제하여 호흡정지와 순환부전을 초래하여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1.1.2. 장단점...2025.04.24
-
마취의종류2025.05.121. 전신마취 1.1. 전신마취의 종류 1.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서 마스크와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을 거쳐 폐로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가장 표준적인 전신마취 형태로 사용되며, 모든 수술에 적용이 가능하고 최대의 편안한 상태에서 장시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호흡기계와 순환기계의 억제, 고도의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흡입마취제는 크게 기체와 휘발성 액체제로 나뉜다. 가스형태의 약제인 Nitrous oxide(N2O)는 마취 유도와 회...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