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국악2024.10.081. 국악체험 공연 관람기 1.1. 첫 번째 공연 - 대취타 첫 번째 공연에서 연주된 대취타는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개선 등 행진에 쓰인 음악으로, 고려시대부터 전해오고 있다. 대취타는 지휘자 역할을 하는 집사가 지휘봉인 등채를 양손에 들고 "명금일하 대취타"라고 명령하면 연주가 시작된다. 대취타는 주로 부는 악기(취악기)와 두드리는 악기(타악기)로 구성되며, 취악기에는 나발, 나각, 태평소가 쓰이고 타악기에는 용고, 자바라, 징 등이 사용된다. 대취타는 임금님이 위엄 있게 웅장하게 행차하실 때 어울리는 음악으로, 멜로디가 딱 정...2024.10.08
-
나와 내 삶의 의미2025.05.201. 서론 1.1.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음악 나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음악은 국악과 판소리이다. 어렸을 때부터 국악기를 배우고 연주하면서 국악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특히 판소리의 다채로운 장단과 개성 넘치는 가창법은 나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중에서도 국악 명창 김소희의 판소리는 내가 가장 존경하고 좋아하는 음악이다. 김소희는 1917년 고창 출신의 판소리 명창으로,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며 판소리의 대가로 인정받았다. 그녀의 박력 있고 감성적인 소리는 판소리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준다. 판소리는 단순히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