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3개
-
페스트2024.09.071. 페스트 개요 1.1. 책 정보 이 책은 프랑스 작가 알베르 카뮈가 1947년에 집필한 소설로, 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대의 프랑스 알제리 도시 오랑의 페스트 창궐을 다루고 있다. 출판사는 소담 출판사이고, 2001년 6월에 출판되었다. 저자 알베르 카뮈는 1913년에 태어나 1960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작가로, 소설, 희곡, 에세이, 논픽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57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저자가 2차 대전 중 경험한 공포와 불안감, 그리고 사회의 부조리함을 전염병이라는 소재로 표현하고 있...2024.09.07
-
미생물관련도서2024.08.281. 미생물의 이해 1.1. 미생물의 정의와 역사 미생물이란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동물, 식물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동물과 식물은 지구의 생물을 분류할 때 다섯 계(kingdom)로 나누는 방법에서, 각각 독립적인 분류 집단인데 비하여 미생물은 그렇지 않다. 미생물이라는 용어는 작다는 의미(micro)와 생물이라는 의미(organism)를 합한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서로 연관이 매우 적은 다양한 생물집단을 포함하고 있다고 정의하였다. 미생물의 존재는 일찍이 Girolamo Fracastoro(1478~1553...2024.08.28
-
코로나19 병태생리2024.08.281. COVID-19 소개 1.1. COVID-19 질병명과 개요 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 질환이다. COVID-19는 RNA 바이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2020년 3월 11일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선포되었다. COVID-19는 2002년 유행했던 SARS 바이러스(SARS-CoV)와 유전적 구조가 유사하여 같은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에 속한다. 따라서 COVID-19와 SARS 바이러스...2024.08.28
-
홍역 사례2024.11.021. 홍역 1.1. 홍역의 정의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호흡기가 감염되는 질병으로,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홍역은 일반적으로 1~2세에 감염되는데, 고열과 전신에 급성 발진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이다. 이염, 폐렴 합병증 등 2차 감염이 생기기도 한다. 홍역은 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력이 매우 높다. 잠복기는 10~14일이며, 발진이 생긴 후 증상 발현 1~2일 전부터 증상 후 4일까지 감염력이 있다. 우리나라 법정감염병의 제2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고, 한번 걸린 후 ...2024.11.02
-
총균쇠 요약2024.09.031. 인류 문명의 기원과 발전 1.1. 인류 진화의 역사 인류의 진화는 아프리카로부터 시작되었다. 약 700만 년 전 현생 인류가 분기된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야생동물 사냥과 야생 식물 채집으로 먹거리를 확보했던 인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화해 왔다. 인류 조상의 대표적 기종으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하빌리스, 호모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약 400만 년 전, 200만 년 전, 150만 년 전, 20만 년 전에 등장했다. 아프리카 이외에도 인류의 조상이 발견된 곳은 동남아시아(자바원인)...2024.09.03
-
미생물독후감2024.09.021. 소개 이 책은 미생물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미생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깊다. 첫째, 이 책은 우리 몸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 몸에는 약 100조 개에 달하는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는 지구 전체 인구보다 많은 수치라고 한다. 이렇게 많은 미생물들이 우리 몸에 공생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특히 장내 미생물과 우리 뇌의 연결성에 대한 내용은 주목할 만하다. 장내 미생물...2024.09.02
-
의약관련주제2024.08.281. 의학 관련 서적 요약 1.1. 누구 먼저 살려야 할까? (제이콥 M. 애펠) '누구 먼저 살려야 할까?'는 현대 의료계에서 의사들이 직면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저자 제이콥 M. 애펠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의과대학 학생들과 수련의들이 토론할 수 있는 주제들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암의 생물학적 표적 치료, 착상 전 유전자 선별검사, 장기이식 등 의료계에 등장한 신기술 발전으로 인해 의사들이 겪는 윤리적 고민과 판단의 어려움을 다루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 의사의 판단...2024.08.28
-
백신의 필요성2024.09.061. 서론 오늘날 백신은 우리의 가까이에 존재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예방접종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염병을 예방하고 안전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롭게 인식된다. 그렇지만 이렇게 백신으로 만들어내기까지는 역사적으로 많은 위험과 희생을 동반하였으며, 최근에는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과 변이종 발생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백신을 무조건 받아들이기보다 더욱 깊은 관심을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백신이란 무엇인가부터 백신 사용의 찬반 입장을 알아보면서, 백신을 소비하고 다루고 개발해나가는 입장에서...2024.09.06
-
컨데이젼2024.08.281. 영화 "컨테이젼"에 대한 이해 1.1. 영화 소개 이 영화는 스티븐 소더버그의 바이러스 재앙 영화 '컨테이젼'이다. 이 영화는 제목처럼, 어딘가에서 발생된 '바이러스'에 의해서 사람들이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들에 의해서 '바이러스'가 더욱 번지는 과정과 그 바이러스를 막으려는 힘겨운 노력들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서대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영화 컨테이젼(Contagion)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치명적인 전염성 질병에 대해 다루고 있는 영화이다. 1.2. 영화의 주요 줄거리 영화 "컨테이젼"의 주요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2024.08.28
-
세계화 유행병2025.03.131. 세계화 시대의 전염병 유행 1.1. 전염병의 역사적 고찰 1.1.1. 흑사병 14세기 중반 유럽에 발생한 흑사병(Black Death, Pestilence, Great Plague, Plague, Black Plague)은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이었다.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쥐의 피를 빨아먹으면 역시 감염되고, 이 벼룩이 사람을 물면 흑사병에 걸릴 수 있었다. 14세기 초 유럽은 경제·사회적 조건과 당시 불안정한 환경 상태로 인해 사람이 거주하기에 아주 좋지 않은 지역에 해당했다.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