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박막 저항 측정 4포인트 프로브 실험 보고서2024.10.111. Four Point Probe 1.1. Four Point Probe란 무엇인가? Four point probe는 안쪽 두점 사이의 전압과 바깥쪽 두점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여 박막(thin layer) 및 쉬트(sheet)의 저항치를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측정원리는 전류가 흐르는 바깥 두점에서 발생한 전압을 안쪽 두점에서 검출하여 저항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표면 저항치(sheet resistance)와 체적 저항치(bulk resistivity)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네 개의 정렬된 탐침을 사용하여 샘플의 표면...2024.10.11
-
금오공대2025.04.15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Hall effect에 대한 이해 및 분석 Hall effect는 전기 전도체를 횡단하여 전류와 수직인 방향으로 인가된 자기장에 따라 전위 차(홀 전압)가 생성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전하가 자기장 아래에서 편향되어 전도체의 표면에 불균일한 전하 밀도 분포가 생성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홀 전압은 전하의 편향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전하의 종류와 농도, 자기장의 세기, 전류의 크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Hall effect 분석을 통해 반도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데, ...2025.04.15
-
신소재프로젝트22025.04.101. 실험 목적 1.1. 재료를 모델링한 등가회로를 만들고 주파수에 따른 교류 임피던스 분석 재료를 모델링한 등가회로를 만들고 주파수에 따른 교류 임피던스 분석이다. 재료는 고유의 전기전도도와 유전율을 갖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면 재료의 저항과 커패시턴스를 알 수 있다. 재료의 임피던스 정보는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재료의 임피던스 정보를 등가회로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를 통해 얻어지는 교류저항을 임피던스라 하며, 복소평면에서 실수부는 직류 저항과 같은 개념이고, 허수부는 리액턴스로 ...2025.04.10
-
이온의 전기전도도2025.04.191. 서 론 1.1. 이온의 전기전도도와 중요성 물은 비록 그 자체로는 매우 낮은 전기 전도체이지만, 용액 안에 각종 이온들이 존재하면 현저하게 그 전도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전해질 용액의 전도도는 각종 이온들의 농도와 존재하는 각 이온들의 특성(이온들의 하전량과 이동성)에 의존하며, 농도 함수에 따른 전도도 거동은 강전해질과 약전해질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이온의 전기전도도는 화학 분석, 제약 분야, 전기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물에 강전해질이나 약전해질을 녹여 전해질 용액을 만들면, 용액 ...2025.04.19
-
전도성 고분자 특성2025.05.221. 서론 1.1. 전도성 고분자의 정의와 특성 전도성 고분자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고분자이다. 일반 고분자와는 달리 주 사슬에 공액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여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도성 고분자는 금속과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도핑 과정을 통해 전기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전자소자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일반 플라스틱의 단점인 절연성을 극복하고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도성 고분자는 매우 중요한 소재...2025.05.22
-
기초화학2025.07.09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일차 표준물질을 이용한 산-염기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표정하여 미지시료의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만들고 미지 시료의 정량 분석을 할 수 있다. 표준용액은 농도가 정확히 알려진 용액으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일차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표정하여 농도를 정확히 알아내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제조한 표준용액은 미지 시료의 농도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산과 염기는 수용액에서 이온화되어 H+ 또는 OH- 이온을...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