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8개
-
일반물리실험 등전위선 실험2024.10.011. 등전위선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주어진 전극 배치에 대해 등전위선과 전기력선을 그려봄으로써 전위와 전기장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등전위선 측정을 통해 전기장 내에 전위가 일정한 지점들이 존재하며, 이 등전위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등전위선과 전기장의 관계를 관찰하여 전기장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등전위선의 정의 및 특징 등전위선이란 전기장 내에서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을 연결한 선이다. 등전위선의 특징은 ...2024.10.01
-
등전위선 측정 실험 결과2024.10.011. 전기장 및 등전위선 1.1. 전기장의 정의와 특성 전기장은 전하로 인한 전기력이 미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장 내의 한 점에 단위 양전하를 놓았을 때 그 전하가 받는 전기력의 크기로 정의된다. 즉, 전기장의 세기는 단위 양전하에 가해지는 전기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전기장은 항상 전하에 의해 생성되며, 전하가 존재하는 공간 전체에 걸쳐있다. 전하가 양(+)전하인 경우, 전기장의 방향은 양전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며, 음(-)전하인 경우에는 그 반대 방향이 된다. 또한 전기장의 세기는 전하의 크기에 비례...2024.10.01
-
전기력선의 특징2024.10.261. 전기력선의 성질 1.1. 전기력선은 항상 전하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전하로 끝난다 전기력선은 항상 전하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전하로 끝난다. 이는 전기장의 근원과 종착점을 명확히 하며, 전기장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전하에서는 방사형으로 퍼져 나가는 전기력선이 전하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무한히 멀어지거나 다른 전하에 도달하며, 음전하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기력선이 음전하로 수렴한다. 이러한 성질은 쿨롱의 법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기력선의 방향과 전기장 세기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통계자료에 따르...2024.10.26
-
전류2024.11.141. 전류와 저항 1.1. 전류와 전류 밀도 전류는 단위 시간 동안 흐르는 전하량으로 정의되며, 그 SI 단위는 단위 시간(s)당 쿨롱(C) 또는 암페어(A)이다. 암페어(A)는 SI 단위계의 기초 단위이다. 전류는 시간과 전하량이라는 스칼라량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 역시 스칼라량으로 표현된다. 전류의 방향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한데, 전자의 이동 방향과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전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지만, 전류는 원래 양극에서 음극으로 향하는 전하의 흐름을 의미하기 때문에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전류 밀도...2024.11.14
-
굴절 반사 한양대2024.11.201. 빛의 편광, 반사, 굴절 1.1. 편광 1.1.1. 편광의 정의 편광이란 전자기파가 어느 방향으로 진행할 때, 그에 존재하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이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편광된 빛은 전기장의 진동 방향이 제한되어 있는 빛을 의미한다.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은 진행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진동한다. 예를 들어 진행 방향을 x축, 상하 방향을 y축, 좌우 방향을 z축이라고 하면, 전기장은 y-z 평면 내에서 진동하고 자기장은 x-z 평면 내에서 진동한다. 이때 전기장 벡터의 진동 방향에 따라 편...2024.11.20
-
음극선의 편향2024.10.191. 실험 개요 1.1. 실험 제목 '음극선의 편향'이다. 1.2.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다. 음극선은 음극(cathode)에서 방출되는 전자선으로, 전자가 음극에 가해진 가속전압에 의해 높은 속도로 비행하며 편향판의 전기장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을 관찰하고자 한다. 전기장 하에서 전자의 운동 특성을 이해하고, 전자의 속력, 전자빔의 크기, 전자 간 힘 등을 계산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는...2024.10.19
-
전기영2024.10.101. 전기영동의 개요 1.1. 전기영동의 역사 전기영동의 역사는 1930년대 스웨덴의 생물리학자 아르네 티셀리우스(Arne Tiselius)가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아르네 티셀리우스는 관에 있는 완충액 사이에 단백질 혼합물을 넣고 전기장을 걸어줌으로써 시료성분이 각각의 전하와 이동도에 따라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194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후 전기영동법은 DNA, RNA나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들의 성질을 연구하고, 전기영동을 통해 그러한 물질들을 분석, 분리, 정...2024.10.10
-
북스힐 일반물리학 11판 1장2024.10.151. 전기장과 등전위선 1.1. 전기장의 개념 전기장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적인 힘의 장으로, 특정 위치에 놓인 전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전기장은 전하의 존재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적인 힘의 분포이다. 전기장은 단위 양전하가 받는 힘의 크기와 방향으로 정의되며, 전하의 크기와 부호에 따라 그 세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전기장은 전하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모든 지점에서 존재하며, 전하의 위치, 전하의 크기, 전하의 부호 등에 따라 그 크기와 방향이 달라진다. 양전하에 의해...2024.10.15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2024.10.061. 축전기 이론 1.1. 전기용량의 정의 전기용량(Capacitance)은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크기가 같고 전하의 부호가 반대인 두 도체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전하가 양 극판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단위 퍼텐셜차에 대해 생성되는 전하의 양을 전기용량이라 정의한다. 즉, 전기용량(C)은 극판 사이의 퍼텐셜차(V)에 따라 생성된 전하량(Q)의 비로, Q=CV의 관계를 갖는다. 전기용량의 단위는 파라드(F)이며, 실제로는 마이크로파라드(μF), 나노파라드(nF) 등의 단위가 더 널...2024.10.06
-
등전위선 실험 결과2024.10.011. 등전위선 실험 1.1. 실험 목적 전도성 종이(conductive paper)에 전류가 흐를 때의 등전위선을 그려보고, 전기장과 등전위선에 관한 성질을 공부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즉, 전기장의 특성과 전기력선, 등전위선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전하가 만들어내는 전기장과 전위의 특성을 이해하고, 등전위선이 전기장의 방향과 수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직접 관찰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핵심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전기장과 전위 전기장은 전하가 만들어내는 공간적 힘의 장으로, 전하 q에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