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현대일본사회론2024.09.241. 서론 1.1. 일본과 한국의 노후준비 현황 및 특징 일본과 한국의 노후준비 현황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경우, 30~40대 독신 계층을 중심으로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광보중앙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30대 독신의 평균 저축액은 606만 엔이지만, 중앙값은 56만 엔에 불과하다. 또한 36.3%가 금융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 40대 독신의 경우에도 평균 저축액은 818만 엔이지만 중앙값은 92만 엔이며, 35.7%가 금융자산이 없다. 즉, 일본 30~40대 독신의 3명 중 1명이 저축이 없는 실정이다...2024.09.24
-
대한민국 1가 될 수 있는 재테크2024.10.291. 서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우리의 일상 생활 패턴, 소비 트렌드, 정부 정책, 국제 질서 등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확산에 따른 내수 위축, 고용 부진 지속 등 실물 경제 리스크가 확대되었고 코로나19 위기가 본격화한 3월 서울의 휴게음식점 폐업률이 77.5%에 달하며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타격을 입었다. 또한 정부의 재무제표 결산 결과 지난해 국가부채는 1985조 3000억 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경제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경제적 위기 속에서 사람들의 재...2024.10.29
-
부모가 알아야 할 유아성교육2024.12.261. 유아 경제 교육 1.1. 경제관념과 돈의 가치 알려주기 1.1.1. 경제관념 올바르게 심어주기 경제교육의 핵심은 한정된 재화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경제관념'을 심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욕구를 조절하는 습관을 잡아야 한다. 습관 교육인 만큼 어릴 때부터 시작하면 좋다. '풍족함'대신 '부족함'을 느끼게 한다. 부모가 아이 생활에 필요한 것을 풍족하게 채워주면 아이는 원하는 것은 모두 가질 수 있다고 여긴다. 이런 경우 소비욕구를 절제할 기회를 잃어버린다. 이것은 물건의 소중함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물론, 경제관념을...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