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초분절음별로, 언어권별로 사례2024.09.241. 서론 음운론은 자음과 모음 같은 분절음에 관하여 연구한 이론이고, 운율론은 성조와 장단 및 억양 같은 초분절음적 요소를 연구한 이론이다. 전 세계 언어별로 제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며 초분절음의 구조와 중요도도 모두 다르다.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를 배운 적이 있고 언어마다 다양한 부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느끼며 대조해보면서 수많은 의문을 품는 동시에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한국어에는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관계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 과연 분절음과 초분절음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본질적이고 습득이 더 ...2024.09.24
-
전통장단 비교 연구2024.09.111. 한국 전통음악의 장단과 고법 1.1. 판소리 고법 1.1.1. 고수의 역할 고수는 판소리에서 소리꾼의 노래에 맞춰 북을 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수는 보통 소리꾼의 왼쪽에 앉아 소리꾼을 바라보며 북을 친다. 고수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요소는 자세, 추임새, 가락이다. 자세란, 허리를 꼿꼿이 펴고 바로 앉은 자세에서 시선은 소리꾼을 향해 있어야 하며 소리를 방해하는 불필요한 동작은 하지 않는 것이다. 추임새는 소리 도중에 "잘한다" "좋다" 하는 식으로 이어지는 감탄사이다. 판소리는 한 번 시작되면 몇 시간을 이어...2024.09.11
-
전통장단 비교연구2024.09.111. 한국 전통음악의 장단과 고법 1.1. 판소리 고법 1.1.1. 고수의 역할 고수는 판소리에서 소리꾼의 노래를 반주하며 장단을 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고수는 보통 소리꾼의 왼쪽에 앉아 소리꾼을 바라보며 북을 친다. 고수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주요 요소는 자세, 추임새, 가락이다. 자세란 허리를 바로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시선을 소리꾼에게 맞추어야 하며, 소리를 방해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추임새는 소리 도중에 "잘한다", "좋다" 하는 식으로 이어지는 감탄사로, 판소리가 긴 호흡의 공연예술이기...2024.09.11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국악2024.10.131. 국악의 이해 1.1. 국악의 정의와 특징 국악은 '한국의 음악'으로 궁정음악, 민속음악과 같은 한국 전통 음악을 포함하여 역사적 흐름에 따라 계승되고 발전되어 온 창작 음악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국악은 우리 내면의 정서가 담긴 한국 고유의 음악어법으로 자연적이며 공동체적이고 동적인 느낌을 가지며 단절이 없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국악은 수많은 갈래로 나누어져 있는데, 크게 정악과 민속악으로 구분된다. 정악은 궁중과 양반, 중인을 중심으로 전승된 음악이며, 민속악은 민간에서 향유된 음악이다. 그 밖에 20세기 이후 전통 국악...2024.10.13
-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정리하고 일상생활에서 행동주의 학습이론이 적용되는 실제적인 사례를 들어 기술2024.10.231. 서론 행동주의 이론은 1913년 왓슨에 의해 창시되었다. 행동주의 이론은 심리학 연구에 있어서 그 현상과 구조를 인간의 내면 의식이 아닌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심리학 이론과는 차이를 가진다. 이전까지 심리학은 심리적인 현상이 주로 인간의 의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내면적인 것이라고 하였으나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자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객관적 관점을 고수함으로써 심리학을 과학화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이러한 점에서 중요하고 비중 있는 ...2024.10.23
-
강옥미2024.09.211. 한국어 초분절음 교육 방안 1.1. 음의 장단에 따른 뜻의 구분 음의 장단에 따른 뜻의 구분은 하나의 소리를 내는 데 걸리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초분절음이다. 음운적으로 볼 때는 모음에 얹혀서 실현되며 음장이라고도 일컫는다. 한국어에서의 장단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데 쓰이며, 현재 표준 발음법에서 운소로 인정하고 있다. 장모음은 어두 음절에만 올 수 있으며,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표현적 장음이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묻다"와 "묻ː다"를 비교해 보면 "묻다"는 무엇을 알아내기 위하여 상대편의 설명이나 대답을 요구...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