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2개
-
심폐소생술 교육자료2024.08.271. 성인의 기본심폐소생술(BLS) 1.1. 반응 확인 의식 확인은 환자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 응급 상황에서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큰 소리로 말해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사람에게 큰 목소리로 119에 신고할 것을 요청하고 자동제세동기(AED)를 가져오도록 지시해야 한다. 의식 확인 단계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심정지 환...2024.08.27
-
레포트1192024.08.301. 심폐소생술 1.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는 갑작스럽게 심장의 기능이 멈추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 더 이상 박동하지 않아 심장으로부터 혈액이 전신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의식을 잃게 되고, 호흡이 멈추게 된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3-6분 내에 신속한 대응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대뇌 손상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1.2. 심정지 발생 시 대응 순서 1.2.1. 의식 확인 의식 확인은 심폐소생술 시행의 첫 단계이...2024.08.30
-
생활속의 응급처치2024.09.04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의 경우 신속히 조치하지 않을 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장이 정지하고 약 5분 이상의 시간이 흐르면 뇌에 혈액 공급이 끊기며 산소가 차단되고 급격하게 뇌 손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심장이 정지하고 6분 이내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를 받는다면, 생존율이 무려 3배나 상승한다. 따라서...2024.09.04
-
심폐소생술강의지도안2024.08.301. 응급처치 및 안전교육 1.1. 대학적십자사 등의 기관의 응급처치 프로그램 1.1.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한 사람에게 회복되기 전까지의 심장 순환 기능을 보조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심폐소생술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요 장기가 손상하게 되며, 소생 가능성이 점점 낮아져 목격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대상은 만 16세 이상이며, 교육내용은 응급처치의 필요성 및 응급상황시 행동요령과 환자확인, 자동심장충격기, 이물질에 관련된 기도 페쇄 교육 등을 배우며, ...2024.08.30
-
bls정리2025.01.231. BLS(Basic Life Support) 정리 1.1.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폐정지 중에 필수장기(뇌, 심장)로의 산소 및 혈액 공급을 유지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자발적 순환 및 자발적 호흡을 회복하기 위함이며, 일반인이라도 할 수 있는 응급처치이고, 응급으로 산소를 공급하면서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보조하며 인공호흡을 실시함으로써 폐에 산소를 공급한다. 순환보조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맥박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심압박으로 인공적 순환을 유지하면서 뇌에 혈액을...2025.01.23
-
bls정리2025.01.231. BLS(기본소생술) 정리 1.1.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면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정지임을 인식하고 응급의료체계에 연락해야 한다. 목격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심정지 시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심정지 발생을 연락받은 응급의료체계는 신속히 환자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제세동 등의 전문 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전문 소생술로 자발순환이 회복된 이후에는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심정지 후 치료를 해야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2025.01.23
-
심폐소생술2025.02.16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로, 심정지 후 3~4분 이내에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가지도록 폐호흡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다. 현대적 개념의 심폐소생술이 도입되었을 때에는 심정지 환자를 회생시키기 위해 행하는 인공호흡과 흉부압박만을 뜻하였으나, 점차 치료방법이 발달하면서 전문인이 행하는 제세동, 약...2025.02.16
-
간호 CPR 자료2024.12.211. 심폐소생술(CPR) 1.1. 정의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정지란 심장이 자율적으로 펌프 작용이 되지 않아 박동이 멈추거나 불규칙하여 효과적으로 혈액 순환이 되지 못하는 상태로 이 상태가 되면 호흡도 곧 멈추게 된다. 발생 후 4~6분이 지나면 뇌에 혈액 공급이 끊기...2024.12.21
-
CPCR최신2025.03.071. CPCR최신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을 소생시키기 위하여 시행되는 일련의 생명 구조 행위이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호흡과 순환이 정지되므로 심폐소생술은 인공호흡과 인공순환을 제공하고 빠른 시간 내에 자발 순환이 회복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2011년과 마찬가지로 2015년에 개정된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C:chest compression)? 기도개방(A:airway)? 호흡확인 및 인공호흡(B:bre- athing) 순서로 동일하다. 1.2.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폐소...2025.03.07
-
심폐소생술 교육 및 중요성2025.03.14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개념 심폐소생술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이다.심폐소생술은 정지된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의 응급처치를 하는 것을 말한다. 심폐소생술은 점차 발전하여 제세동, 약물투여 등의 전문적인 치료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정상 심박동이 돌아올 때까지 뇌신경 조직과 다른 장기들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데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