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보건법규 위반 사례 및 보고서2024.10.151. 서론 우리 주변에는 크고 작은 의료사고들이 발생해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 간에 법적 논쟁을 펼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인터넷과 각종 정보망을 이용해 의학지식과 의료법에 대한 지식 습득이 가능한 요즘, 예비의료인으로써 의료법에 대한 공부와 판례들을 찾아보게 되었다. 다양한 의료법 위반 사례가 있었지만 그 중 실제 병원에서 일어난 사례에 대한 법원 판례에 흥미가 갔다. 졸업 후 병원에 입사하여 간호사를 하다보면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에 빠질 것이다. 의료법 위반 사고 중 윤리위반에 해당하는 사례가 있었고 의료치사나 의료과실과...2024.10.15
-
법의정신간호2024.10.011. 정신건강간호의 윤리와 법 1.1. 간호윤리 1.1.1. 윤리의 개념 윤리란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옳고 그른 것에 대한 철학적 신념"이다. 윤리는 개인이나 집단이 정한 준칙이나 규범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인간의 행위와 태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즉, 윤리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을 의미한다. 윤리는 개인적 차원에서 형성되지만,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발전해 왔다.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사회적 규범과 가치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용인되...2024.10.01
-
투약오류보고서2024.10.041. 투약오류의 정의와 개념 1.1. 이론적 정의 미국 투약오류보고 및 예방협의회(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NCC MERP)에 의하면 '투약오류는 의료진, 환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관리되는 동안에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야기시키고 환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예방 가능한 사건'이라고 정의하였다""Barker 등은 '환자의 의무기록에 적힌 의사의 처방대로 투약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1.2. 조작적 정의 조작적 정의"투약...2024.10.04
-
임상실습 중 보건의료법규 판례의 적용 및 관찰사례2024.11.201. 임상실습 중 보건의료법규 판례의 적용 및 관찰사례 1.1. 의료법 제27조(무면허 의료행위 등 금지) 의료법 제27조(무면허 의료행위 등 금지)는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의료행위"란 의학적 전문지식을 기초로 하는 경험과 기능으로 진찰, 검안, 처방, 투약 또는 외과적 시술을 시행하여 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행위 및 그 밖에 의료인이 행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2024.11.20
-
간호사의 법적의무와 법적책임과 관련한 사례조사2024.11.201. 간호 업무의 법적, 윤리적 쟁점 및 사례 분석 1.1. 의료사고 및 의료분쟁의 개요 의료사고란 보건의료인이 환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로 인하여 환자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는 입원 중 낙상사고, 투약오류, 수술 실수 등 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를 포함한다. 한편, 의료분쟁은 의료사고로 인하여 환자나 보호자 측과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사이에 상호 이해와 신뢰가 상실되어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즉, 의료사고가 발생한 후...2024.11.20
-
간호관리학 CRI2024.10.211. 간호관리학 CRI (Critical Reflective Inquiry) 단계 내용 1.1. 서술단계 2019년 12월 000병원 외과병동에서 성인간호학2 실습 중 병동을 rounding 할 때, 다음날 퇴원예정인 환자분이 병실에서 혼자 침상에 앉아 side rail을 내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환자분께 낙상의 위험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 side rail을 올리고 나왔지만 2시간 뒤에 다시 side rail을 내리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side rail을 다시 내리고 있기에 "side rail을 올리고 있어야 해요" ...2024.10.21
-
정신 법윤리2025.07.071. 서론 1.1. 정신간호 현장에서의 법적, 윤리적 문제 정신질환자들은 건강한 사람들과 동등한 인권을 갖고 살아갈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의 특성상 자신의 권익이나 의견을 스스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권이나 삶의 질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정신질환자의 치료 과정 전체에서 간호사들은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격리 후에 환자들의 혼란된 행동이 개선되고 진정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그러나 격리 및 강박은 적용 과정에서 강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환자들의 부정...2025.07.07
-
낙상 사례보고서2025.04.041. 서론 1.1. 사례 개요 본관 7층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 낙상 사례 본관 7층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 고위험 대상자가 9월 14일 Evening 근무 때 병실 화장실에 혼자 휠체어를 타려다가 낙상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는 실습을 하면서 낙상예방(side rail 올리기, 올바른 휠체어 사용)과 교육을 실시하였지만, side rail이 자주 내려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본관 7층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올해(2022년) 낙상사고가 총 3건(1월, 7월, 9월) 발생하였다. 일반 병동의 경우 보호자 혹...2025.04.04
-
간호학과에서 알아야할 혈액수치2025.04.221. 간호학과에서 알아야할 혈액수치 1.1. 그림 설명 그림은 원래 'symbol_s_img01.jpg'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280픽셀, 세로 180픽셀이다. 그림에는 노로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간호에 대한 개요가 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아의 임상 증상과 간호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의 특성과 전염성,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내용은 간호학과 학생들이 임상에서 노로바이러스 장염 환자를 간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2. 노로바이러...2025.04.22
-
심혈관계 환자 간호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 3가지제시하고 각각 설명2025.04.171. 심혈관계 환자 간호시 법적 문제 1.1. 부작용 발생에 따른 의료과실 책임 약물 투여, 검사 등 간호 중재 시 발생한 부작용은 간호사의 의료과실 책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거나 검사를 시행할 때 반드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간호사의 부주의로 인해 약물 부작용이나 검사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이는 간호사의 과실로 볼 수 있다.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간호사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