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8개
-
신생아응급처치2025.01.101. 신생아 응급처치 1.1.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영유아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이다. 영유아는 삼킬 수 있는 능력이 아직 부족하며, 음식이 아닌 물질을 먹으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땅콩, 사탕 등의 딱딱하고 작고 동그란 음식이나 장난감, 건전지, 옷핀 등의 음식이 아닌 이물질에 의해서도 기도가 막힐 수 있다. 이물질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가 하임리히법이다. 하임리히법은 복부 밀어내기를 통해서 기도를 확보하는 응급처치 방법이다. 기도가 폐쇄되지 않았을 때 시행하게 되면...2025.01.10
-
CPCR간호2024.12.311. 심폐소생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게 되면 신체 내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장기가 산소 부족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인공적으로 호흡과 혈액 순환을 유도하여 뇌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 심폐소생술의 목적이다. 심정지 환자에게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통해 혈액 순환과 호흡을 유지시켜 뇌 등의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소생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2024.12.31
-
동아대병원 감염관리실2025.01.011. 간호학 개론 - 전문간호사에 대한 조사 1.1. 마취전문간호사 1.1.1. 정의 마취전문간호사는 마취시행에 필요한 장비와 물품을 준비하고 환자에게 마취를 시행하며, 비정상적인 환자의 반응에 대처하고 마취 회복 시 위험 증상을 관찰하여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마취간호진단에 근거하여 응급 상황을 고려한 마취계획을 수립하고 마취를 준비한다. 또한 환자의 반응에 대처하며 적절한 마취간호를 제공한다. 1.1.2. 자격요건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도부터 마취전문간호 석사과정을 이수하여 자격...2025.01.01
-
심폐소생술 교육자료2024.08.271. 성인의 기본심폐소생술(BLS) 1.1. 반응 확인 의식 확인은 환자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 응급 상황에서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큰 소리로 말해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사람에게 큰 목소리로 119에 신고할 것을 요청하고 자동제세동기(AED)를 가져오도록 지시해야 한다. 의식 확인 단계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심정지 환...2024.08.27
-
조기진통 불안 간호진단2024.08.271. 모성간호학 Case study 1.1. PBL을 통한 간호과정 배OO 님은 34세 여환으로 현재 26+1wks 된 산모로 10월 6일 vaginal bleeding으로 내원한 local에서 cx.length 짧아진 소견으로 본원에 응급입원하였다. 산전 진찰은 local에서 하였으며 기형아검사 결과 normal이었고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또한 정상이었다. 월경력으로 초경은 14세에 시작하였고 월경주기는 28일로 규칙적이었으며 기간은 4일, 양은 보통이었다. LMP는 2018년 4월 ...2024.08.27
-
shock환자처치2024.08.281. 쇼크의 정의와 분류 1.1. 쇼크의 정의 쇼크란 조직으로 가는 혈류의 부적절한 관류로 인하여 조직으로의 산소의 공급이 불충분하여 조직의 저산소증을 유발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며 조직의 대사정도에 따라 산소의 필요성이 증가되어야 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치료가 되지 않는 지속적인 조직의 저산소증은 강력한 염증유발인자로 작용하여 혈관내막에 체액성, 세포성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세포기능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다발성 장기부전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쇼크 환자의 치료목표는 조직에서의 산소부족 즉 저산소...2024.08.28
-
연수외측증후군 문헌고찰2024.09.0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졸중은 전 세계 사망과 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우리나라는 사망 원인 2위이다. 노인은 성인에 비해 10-20배 정도 많이 발생하여 65세 이상 인구 중 5% 정도가 뇌혈관 질환에 의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인구의 노령화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대표적인 질병이다. 그중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모든 뇌출혈의 약 10%를 차지하며 뇌혈관파열로 인한 출혈이다. 뇌출혈은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형 응급환자...2024.09.05
-
식도정맥류 출혈 간호과정 성인간호학2024.10.16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식도정맥류 출혈의 병태생리 간의 문맥압이 높아지면 혈액이 간으로 가지 못해 식도와 위장의 혈관으로 역류한다.""이를 문맥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이로 인해 식도정맥으로 과도한 혈액이 들어오면 식도정맥벽이 늘어나고 얇아져 정맥류가 생성된다."" 이 부위에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벽이 터져 출혈이 일어나게 된다."" 정맥류의 출혈 가능성은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내시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정맥류는 흔히 식도 원위부에서 발생하지만 위에서도 발생한다."" 1.1.2. 식도정맥류 출혈의 임상증상 식...2024.10.16
-
레포트1192024.08.301. 심폐소생술 1.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는 갑작스럽게 심장의 기능이 멈추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 더 이상 박동하지 않아 심장으로부터 혈액이 전신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의식을 잃게 되고, 호흡이 멈추게 된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3-6분 내에 신속한 대응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대뇌 손상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1.2. 심정지 발생 시 대응 순서 1.2.1. 의식 확인 의식 확인은 심폐소생술 시행의 첫 단계이...2024.08.30
-
흉통 간호2024.08.301. 흉통의 정의 및 중요성 1.1. 흉통의 정의 흉통(Chest pain)은 가슴에 위치한 심장과 폐 등의 순환 및 호흡기관에 관련된 장기들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대처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응급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만났을 경우 중증 응급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신속히 평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흉통의 중요성 흉통은 심장과 폐와 같은 중요 장기의 질환이나 문제를 나타내는 증상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심각한 질환일수록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