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의료기기교육일지2024.08.311. 위험물질 관리 1.1. 유해화학물질 관리 유해화학물질이란 사람이나 환경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화학물질로, 유해화학물질 관리는 병원의 환경안전과 직원,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유해화학물질은 유독물, 관찰물질, 취급제한물질 또는 취급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물질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첫째, 유해화학물질은 사람의 통행이 제한적인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생산회사의 전용 용기 그대로 보관하며, 다른 용기에 옮겨담거나 라벨이 없어졌을 때는 유해화학물질의 명칭,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2024.08.31
-
생활속화학물질과건강2024.10.261. 화학물질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1.1. 구미 불산 가스 누출 사고 1.1.1. 사고 개요 2012년 9월 27일, 뉴스속보로 경북 구미시 산동면(현, 산동읍) 봉산리 구미산단 4단지 내 (주)휴브글로벌에서 불산 저장탱크에서 가스가 유출되어 5명의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안전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불산 원액이 누출되자 이송작업을 하던 작업자 2명과 탱크로리 하부에 있던 근로자 2명, 그리고 근처에서 작업하던 근로자까지 총 5명이 화상과 중독으로 사망하게 되었다. 당시 유해화학물...2024.10.26
-
생활속 화학물질과 건강 정리본2024.10.261. 화학 사고와 인간의 건강 1.1. 화학 사고의 종류와 사례 1.1.1.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사고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사고는 2019년 5월 17일 충남 서산시 대산읍에 위치한 ㈜한화토탈에서 발생한 화학 사고이다. 이 사고로 인해 주변 지역 주민들이 유증기에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 내원하였다. 이 사고는 스틸렌모노머를 합성하고 남은 물질을 보관하던 탱크에서 이상 반응으로 열이 발생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증기는 입자의 크기가 1~10μm인 기름방울이 안개 형태로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 연료...2024.10.26
-
운동건강관리산업2024.10.071.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1.1. 근로자 사업장 내 운동관리 근로자 사업장 내 운동관리는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이다. 근로자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사업장의 산업재해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운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의 경우 같은 공간에 장시간 서서 작업을 하며, 지속적인 단순반복업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다. 2018년도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통계에 의하면...2024.10.07
-
산업안전기사 요점정리2024.11.031. 산업안전기사 산업기사 요점정리 1.1. 동력 프레스 동력 프레스에는 크랭크축 또는 플라이휠 기타 동력전달장치, 클러치 및 브레이크와 기타 제어장치, 1행정 1정지기구와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 연결봉과 슬라이드의 상호기능, 전자밸브와 압력조정밸브 기타 공압 및 유압계통의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 프레스의 각 부품과 장치들은 매년 1회 이상 자체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자체검사 항목에는 크랭크축 또는 플라이휠 기타 동력전달장치의 이상유무, 클러치, 브레이크, 기타 제어장치의 이상유무, 1행정 1정지기구와 급정...2024.11.03
-
수중도시 실현 가능한 방법2024.10.241. 환경과 건강 1.1. 환경보건의 이해 1.1.1. 환경문제와 환경보건 환경문제와 환경보건은 인간의 건강과 생존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오늘날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인구증가 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생태계와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환경보건(Environmental Health)은 인간의 건강과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의 모든 요소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유해화학물질 등 다양한 ...2024.10.24
-
화학물질이 일으켰던 재앙2024.09.101. 화학물질 오염 사고 및 대응 1.1. 국내외 화학물질 오염 사고 사례 1.1.1. 1984년 인도 보팔 MIC 누출 사고 1984년 12월 초, 당시 미국의 종합화학회사였던 유니언 카바이드(Union Carbide Corporation)는 인도 보팔(Bhopal)시에서 농약과 살충제를 생산하는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런데 원료로 쓰이는 '메틸 이소시안산(MIC: Methlyl IsoCyanate)'을 저장하는 탱크에서 균열이 발생하면서 폭발이 일어났고, 2시간여에 걸쳐 약 36톤의 맹독성 화학물질이 방출되었다. 이 사고...2024.09.10
-
오늘의 화학2025.06.011. 서론 1.1. 오늘의 화학에 대한 관심 최근 들어 화학에 관한 다양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화학은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화학물질은 의약품, 화장품, 식품, 농약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에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화학물질은 우리 삶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이에 대한 안전성과 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화학물질로 인한 환경오염과 건강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화학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화학물질의 특성과 위험성, 그리고 건강과의 관계...2025.06.01
-
병원에서 MSDS관리2024.08.301. 위험물질 관리 규정 1.1. 목적 병원에서 취급하는 의료폐기물, 방사성물질, 유해물질(이하 위험물질이라 한다)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재해를 예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1.2. 용어의 정의 위험물질이란 의료기관에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물질(예: 유해 화학물질, 의료폐기물, 방사선물질 등)을 의미한다. 유해화학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의거, 산업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별표7)에 따른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말한다. 또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