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로봇공학자2025.06.081. 서론 1.1. 로봇공학 기술자의 직업과 직업윤리 로봇공학 기술자는 현재 우리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전문 직업이다. 로봇의 어원은 체코어로 '노동', '노예', '힘들고 단조로운 일'을 의미하는 robota이다. 이처럼 로봇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순 반복노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로봇공학 기술자의 직무는 로봇의 구성요소 및 주변장치, 툴 등을 설계·제작하고 시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로봇기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로봇공학 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계공...2025.06.08
-
로봇공학자2025.06.081. 서론 1.1. 로봇공학 기술자의 역할과 직업윤리 로봇공학 기술자는 로봇의 구성요소 및 주변장치, 툴 등을 설계·제작하고 시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로봇기구를 개발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로봇공학 기술자라는 직업은 기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와 같은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기계설계산업기사(기사, 기술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기사), 항공정비사와 같은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들이 담당한다. 로봇공학 기술자는 물리, 수학, 컴퓨터 또는 전자공학과 같은 지식을 필요로 하며, 전문성과 책임의식이라는 덕목이 매우 중요시되는 직업...2025.06.08
-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 통계2025.04.081. 서론 1.1. 산업재해 통계와 로봇에 의한 산재 발생 현황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11~2020년 사이 산업용 로봇으로 인해 총 355명의 재해자가 발생했고, 이 중 29명은 사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약 95% 이상이 제조업에서 발생했으며, 제조업 중에서는 자동차 부분품 제조업(39%), 자동차 제조업(9%) 순으로 재해가 많이 발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발생형태는 끼임(187건, 53%)이 가장 많았고, 부딪힘(121건, 34%)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최근('20~'23.8) 산업용 로봇에 의한 사고사망자(...2025.04.08
-
방호장치및대책2025.05.071. 서론 산업현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위험기계가 사용되므로 방호장치는 위험기계가 사람을 다치지 않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안전장치이다. 위험기계 기구에서 안전검사대상과 자율검사 대상이 있으며, 이는 사고가 나지 않기 위해서 공정 내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위험기계에 방호장치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방호장치의 분류와 자율검사 대상인 산업용 로봇,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인쇄기의 방호장치 및 대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방호장치의 분류 ...2025.05.07
-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2025.04.201. 서론 1.1.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의 현황 최근 산업 현장에 로봇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 사례가 늘고 있다.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 사이 산업용 로봇으로 인해 총 355명의 재해자가 발생했고 그 중 29명이 사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약 95% 이상이 제조업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업(39%)과 자동차 제조업(9%)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다. 또한 산업용 로봇 사고의 주된 유형은 끼임(53%)과 부딪힘(34%)이었다. 이처럼 산업현장에서 로봇에 의한 중대재해가 빈번...2025.04.20
-
산업안전기사2024.09.05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 1.1.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의 안전검사 주기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의 안전검사 주기는 다음과 같다.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73조의3(안전검사의 주기 및 합격표시·표시방법)에 명시된 내용이다. 크레인과 리프트의 경우, 이동식 크레인과 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된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등은 사업장에 설치...2024.09.05
-
호이스트 위험성평가2025.06.161. 서론 1.1. 호이스트 작업의 중요성 및 위험성 호이스트 작업은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필수적인 작업이다. 건물의 골조 조립, 중량물 상하차 작업, 토목공사 자재 인양 등 건설공사 전반에 걸쳐 호이스트가 활용된다. 호이스트 작업은 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호이스트 작업은 작업 특성상 많은 위험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호이스트 장비 고장, 작업자의 부주의, 작업환경 요인 등으로 인한 추락, 낙하, 충돌, 끼임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타워크레인, 이동식크레인, 고소작업대...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