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8개
-
SICU 실습일지2024.09.011. SICU 실습 1.1. 실습 환경 및 병동 소개 SICU 실습 환경 및 병동 소개는 다음과 같다. SICU(Surgical Intensive Care Unit)는 외과계 중환자들을 위한 집중치료실로, 신경외과,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등 다양한 질환의 중증 환자들이 입원해 있다. 이 병동은 총 13병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격리 병실도 3개 있다. 이 병동에는 각종 의료기기와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 중환자 관리를 위한 집중적인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진다. 실습생들은 SICU 입실 시 수간호사로부터 병동 및 기구 사용...2024.09.01
-
심정지 출혈위험성2025.03.211. 서론 심정지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다. 심정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대동맥류 파열이다. 대동맥류는 심장에서 나온 가장 큰 동맥인 대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류를 의미한다. 대동맥류 파열은 복강 내로 심각한 출혈을 일으키며,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중요한 응급 상황이다. 따라서 대동맥류 파열에 의한 심정지의 위험 요인과 응급 상황 대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대동맥류와 심정지 위험 요인 2.1. 대동맥류의 정의와 원인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가장 큰 동맥으로, 이 부위에 동맥류가 생기는 것을 대동맥류라...2025.03.21
-
심정지 사례연구공모전 대상 간호과정 연구2025.03.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정지는 심장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정지되는 상태이다. 이는 최근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급성 심질환 및 순환계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이라 할 수 있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므로, 의료인으로서 심정지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 방안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정지의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2025.03.21
-
cardiac arrest 케이스2025.03.111. 서론 1.1. 심정지 환자의 병태생리와 응급처치 심정지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으로, 그 결과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가 심하게 손상되며, 5분 이상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신속한 응급처치를 통해 심장의 펌프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체외 심장 마사지로 혈류 순환을 유지시켜야 한다.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심실 세동과 수축 부전이다. 심실 세동은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급속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흡연이나 ...2025.03.11
-
심폐소생술성과관리2025.02.131. 심폐소생술 관리 1.1. 목적 심폐소생술 관리의 목적은 중증 응급환자를 적시에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절차를 수립함으로써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심폐소생술은 자발 순환이 정지된 환자에게 자발 순환이 유지 또는 회복되도록 시행하는 흉부압박, 인공호흡, 투약 등의 처치를 의미한다. 심폐소생술 팀은 의사와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으로 구성되며, 의사는 CPR 팀의 리더로서 기도확보 및 흉부압박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간호사(또는 간호조무사)는 처치, 투약, 기록, 보조 등의 지시된 임무를 수행한다. 심폐소...2025.02.13
-
심폐소생술지표2025.02.131. 서 론 사회구조의 변화, 인구고령화, 생활수준과 건강에 대한 의식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응급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는 관련된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효과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으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체계가 한 나라의 의료수준을 가늠하는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 이송단계, 병원단계, 통신체계로 구성되는데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슴압박소생술, 심실세동과 무수...2025.02.13
-
기본간호학실습지침서2025.02.141. 서론 1.1. 대상자와 검진자의 검진 전 준비사항 대상자는 편안한 의상을 입고 미리 배뇨한다. 검진부위에 알맞은 체위를 취하며 안정감을 가진다. 검진자는 손톱을 짧게 하고 손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대상자에게 편안감을 제공하며 사정하는 동안 불편감은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하여 커튼이나 칸막이로 가려주며, 사용될 기구들은 따뜻하게 해두고 모든 물품을 준비하여 사용하기 쉽게 놓아서 검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한다. 사전준비로 검진자, 검사기구, 환경,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고, 체계적인 ...2025.02.14
-
응급상황대처2025.03.051. 영유아 응급상황 대처 1.1.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 영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는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는 위험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발달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더 큰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미리 대처방법을 익혀두어야 한다. 먼저 가까운 병원의 응급실이나 구급차를 부를 수 있는 전화번호, 119구조대, 주치의 전화번호 등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준비해두어야 한다. 또한 상황별로 참고할 수 있는 응급처...2025.03.05
-
CPR2024.09.071. 심폐소생술 (CPR) 1.1. CPR의 정의와 목적 심폐소생술(CPR)이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장은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몸의 펌프 역할을 하는데,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되면 심장마비가 발생하여 온몸으로의 혈액순환이 중단된다.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뇌는 혈액공급이 4~5분만 중단되어도 영구...2024.09.07
-
CPCR간호2024.12.311. 심폐소생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게 되면 신체 내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장기가 산소 부족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인공적으로 호흡과 혈액 순환을 유도하여 뇌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 심폐소생술의 목적이다. 심정지 환자에게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통해 혈액 순환과 호흡을 유지시켜 뇌 등의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소생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