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3개
-
심근경색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간호목표 간호중재 간호평가2024.10.141. 급성 심근 경색 간호 사정 1.1. 주관적 자료 "강씨는 회사 임원으로 최근 6개월 전부터 외출이나 과로 시 가끔 가슴통증을 호소하고 있다."라고 주관적 자료에서 밝히고 있다. 또한 "갑자기 쓰러져 10월 1일 새벽 2시경 응급실로 실려 왔다. 강씨는 가슴통증, 호흡곤란, 체한 것 같은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다."라고 주관적 자료에 제시되어 있다. 1.2. 객관적 자료 강씨는 과로 시 가슴통증을 호소하고, 회사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으며, 평소 바쁜 일정으로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좌식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에 강씨...2024.10.14
-
부정맥 간호진단2025.03.2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은 응급실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부정맥으로 경한 심계항진이나 흉통, 심할 경우는 폐부종과 심부전, 실신 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대부분 약물치료에 정상 동성리듬으로 전환되어 특별한 후유증 없이 퇴원이 가능한 부정맥이다. 근본적인 치료는 전기 생리학적 검사에 근거한 전극도자 절제술이지만 증상이 발현되어 응급실에 내원한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발작성 상실성 빈백 환자는 미주신경 흥분수기, ade...2025.03.26
-
협심증의 예후2025.03.2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발생하는 질병이다. 2012년~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협심증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매년 약 3.2%씩 증가하여 2017년 기준 64만 5천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심증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협심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지식을 함양하여 환자의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1....2025.03.23
-
ICU 급성심근경색 AMI 케이스2025.03.071. 서론 급성 심근경색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병원입원의 원인 질환이면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의 하나이다. 심근경색증의 초기 사망률은 약 30%에 달하며, 사망환자의 50% 이상은 병원에 내원하기도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심근 경색증에 대한 치료 약물 및 치료법은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며 급성 심근 경색증으로 인한 사망률도 30% 이상 감소시켰지만, 여전히 25명 중 1명은 퇴원 후 1년 이내에 사망하는 무서운 질환이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으로...2025.03.07
-
제세동기 pacing mode2025.03.021. 제세동기 사용 방법 1.1. AED 모드(자동 제세동기 모드) 사용 방법 제세동기의 상태를 확인한다. 충전 상태와 기본적인 부품 및 물품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어서 Mode select knob를 MONITOR MODE로 설정하고, 전극을 올바른 위치에 부착한 후 심장 리듬을 확인한다. 이어서 Mode select knob를 AED MODE로 설정한 뒤, 패드 전용 케이블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전극 패드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며, 심전도 전극, 배액관, 드레싱 재료, 약물 패치 등이 있는 부위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화면...2025.03.02
-
성인간호학 3도 방실차단 케이스 연구2025.03.191. 서론 1.1. 사례 개요 81세 여성 환자 윤OO는 6월 1일 대화 중 20초간 의식 소실과 몸 떨림이 있었고 가슴이 답답하여 6월 2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입원 후 시행한 심전도 검사에서 3도 방실차단 소견이 확인되었고, 급성 심근경색증이 동반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전기 심장 세동 제거술을 시행하여 정상 동성 리듬으로 전환시킨 후 영구 인공심장박동기를 삽입하였다. 심박동기 삽입 후 감염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집중적인 간호가 필요하였고, 낙상 예방과 일상생활 관리 등 퇴원 후 관리에 대한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이 이루어졌다....2025.03.19
-
보라매병원2025.03.131. 보라매병원 중환자 간호 1.1. 의식사정 의식수준(Level of Consciousness)은 자신과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뇌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명료, 기면, 혼돈, 혼미, 반혼수, 혼수 등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의식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글라우스고우 혼수척도(GCS)이다. GCS는 개안반응, 운동반응, 언어반응을 평가하여 15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긴다. 15점은 정상 의식상태이며, 8점 이하는 일반적으로 혼수상태, 3점은 완전 혼수상태이다. 의식수준 평가를 통해 뇌 기능 저하 정도...2025.03.13
-
PSVT 간호과정2025.03.121. 서론 1.1. PSVT 간호과정 개요 PSVT는 전도 체계가 기능을 잘못하여 발생하는 부정맥의 한 종류이다. 심장박동이 분당 100~280회로 빠르게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상심실성 빈맥 중에서도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SVT)이라고 한다. PSVT는 보통 하나의 자극이 빠른 속도로 심방 조직을 재자극하여 심방 경로를 반복해서 순환하는 재진입 기전 때문에 발생한다. PSVT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불안감, 가슴의 압박감, 심계항진, 호흡곤란, 어지러움, 실신 등이며, 증상은 갑자기 시작되었다가...2025.03.12
-
간호내러티브2025.03.181. 심근경색증 간호 1.1. 심근경색증의 진단 검사 심전도 검사와 심근효소 검사는 심근경색증의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즉시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ST절의 상승과 같은 특이적인 변화가 관찰되면 급성 심근경색증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다. 이후 심근효소 검사를 통해 트로포닌과 CK-MB의 수치가 상승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심근경색증을 진단할 수 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심장의 전반적인 수축 기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경색혈관과 합병증의 유무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심혈관조영술은 경색혈관의 위치와 협착 ...2025.03.18
-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하여 간호문제 도출을 위한 실습지도 가이드2025.03.251. 서론 1.1.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심근경색증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의미한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심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할 만큼 최근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근경색증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이와 함께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며 간호대학생로서 수행 가능한 몇 가지 간호행위를 계획 및 수행하는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서 환자의 건강 회복...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