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개
-
stemi2024.11.15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이 폐쇄되어 심근 세포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급성 심장사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심근경색은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화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를 만큼 예후가 불량하다. 또한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약 30~40% 정도가 사망하고 그중 50%는 치명적인 심실빈맥으로 사건 발생 하루 안에 사망할 만큼 예후가 좋지 않다. 이처럼 심근경색은 생존율이 낮고 예후가 불...2024.11.15
-
Sicu 실습일지2024.08.261. 실습 성찰일지 1.1. 실습 내용 및 분석 실습 성찰일지의 '1.1. 실습 내용 및 분석'에 따르면, 실습 첫날 SICU에 도착하여 신경외과,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환자들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DAY 근무를 하며 환자들의 기본간호를 수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back care를 하는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다. 당시 back care를 처음 해보는 간호라 어려워했지만, 간호사 선생님의 지도로 무리 없이 back care 보조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억제대를 하고 계신 환자분의 back care를 할...2024.08.26
-
심근경색 간호진단2024.11.281. 심근경색증 1.1. 정의 및 원인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폐쇄로 인해 심근에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 내의 죽경화성 병변이 진행되어 급성 혈전이 형성되어 동맥이 폐쇄되는 것이다. 심장동맥질환은 심장동맥 내에 죽경화성 병변이 10~30년간 천천히 진행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발생한다. 죽경화성 병변의 진행률은 유전적 요인, 성별, 식이, 좌식생활 습관, 흡연과 같은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심근의 산소 공급을 감소시키거나 심근의...2024.11.28
-
심장생리학2024.12.111. 소화계 1.1. 소화계의 구조 1.1.1. 소화계의 전체 길이 소화계의 전체 길이는 약 8~9m로,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지는 긴 관 구조로 되어있다. 소화계는 음식물을 섭취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를 배출하는 기관으로, 입, 구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등 다양한 장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듯 소화계는 매우 긴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소화되고 영양분이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작은창자의 길이가 약 6m로 가장 길어, 여기서 대부분의 영양분 흡수가 이루어진다...2024.12.11
-
성인간호학실습 CCU STEMI 케이스스터디 진단2024.11.061. 사례연구 1.1. 환자의 간호정보 1.1.1. 일반적 사항 환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름 나이 성별 체중 입원일 (수술일) 퇴원일 간호수행기간은 한**(여성, 52kg)이며, 2018.05.29.에 입원하였고 2018.05.29.에 수술을 받았으며, 2018.06.01.에 퇴원하였다. 간호수행기간은 5.29~6.1이다. 주소증은 호흡곤란(dyspnea)과 가슴통증(chest pain)이며, 진단명은 STEMI(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이다. 1.1.2. 대상...2024.11.06
-
성인간호학 실습 EKG 문헌고찰 심전도 분석2024.12.161. 심전도(EKG)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방과 심실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은 심장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물이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이며, 우심실(right ventricle)은 폐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낸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혈액을 받아들이며, 좌심실(left ventricle)은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 전신순환을 담당한다. 심방과 심실은 심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2024.12.16
-
기본 심전도 해석 및 간호, 성인간호학 EKG 문헌고찰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는데, 구체적으로 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다"" 심장은 총 4개의 심장 방(chamb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심장의 위쪽 부분으로, 정맥혈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정맥으로부터 유입된 정맥혈은 우심방에 모여 있다가 삼첨판을 통해 우심실로 이동한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들여 좌심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2024.12.16
-
심전도 해석과 간호: 성인간호학 EKG 문헌고찰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우심부와 좌심부로 구성되며, 각각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우심방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받아들이는 부위이다."" 좌심방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 좌심실로 보낸다."" 우심실은 삼첨판을 통해 우심방에서 흘러들어온 혈액을 폐동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좌심실은 승모판을 통해 좌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내보내어 전신순환을 담당한다."" 1.1.2. 판막 심장에는 판막이 있으며, 이 판막들...2024.12.16
-
심전도 해석 및 간호: 심장 구조와 리듬 분석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의 부분에는 심방과 심실이 있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심장의 위쪽 부분으로, 체순환을 마친 혈액을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곳이다.""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우심방에서 전달받은 혈액을 폐동맥을 통해 폐순환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들인다."" 좌심실(Left ventricle...2024.12.16
-
성인간호학 정리노트2024.11.1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방과 심실은 심장의 중심부를 이루는 주요 구조물이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아래의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심방은 정맥혈을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나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통해 정맥혈을 받으며,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산화된 혈액(동맥혈)을 받는다. 심실은 심장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며, 이완기 동안 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