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역사가 묻고 화학이 답하다를 읽고2024.11.151. 소개 학창시절 화학을 배웠지만 화학이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화학은 그저 어려운 과학 과목 중 하나였을 뿐이었다. 그러다 우연히 이 책 「약사들의 탄생」을 접하게 되면서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시간을 되돌려서 화학을 전공했다면 재미있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약의 세계가 매우 신비롭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TvN 스토리에 나온 화제의 과학자 백승만 선생님이 쓴 신간이다. 의약품이 어떻게 개발되었고, 신약 개발의 기본적인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쉽게 이해...2024.11.15
-
혈류 속도 변화율 미분2024.11.111. 수학 독서 사례 최종보고서 1.1. 독서 동기 구체적 사례나 진로와 연결 수학2 시간에 미분에 대해 배우기 전 미분이 쓰이는 사례에 대해 먼저 학습하였다. 그 수업시간 때 CD에 저장된 음악이 저장된 정보로부터 재생될 때 디지털 정보에서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되고 이 과정에서 정보의 결손이 생길 경우 주변 곡선으로부터 보정되는 데, 이 과정에서 미분이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이외에도 미분이 실생활에서 쓰이는 사례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었다. 그리하여 다양한 뉴스와 문헌자료 검색을 추가적으로 하게 되었고, 나는 애니메...2024.11.11
-
동물실험 반대2024.11.251. 동물실험에 대한 찬반양론 1.1. 동물실험의 필요성 1.1.1. 동물실험의 유용성 동물실험의 유용성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실험은 인류의 복지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수많은 의학적 발견과 새로운 치료법이 동물실험을 통해 가능했다. 가령 인슐린 발견, 항생제 개발, 심장이식술 등은 모두 동물실험을 통해 이루어진 성과들이다. 이처럼 동물실험은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해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동물실험은 질병 및 약물 반응 연구에 필수적인 수단이다. 동물은 생물학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특...2024.11.25
-
생약학2024.11.041. 생약과 본초 1.1. 생약 및 생약학 1.1.1. 생약(Crude Drug) 생약(Crude Drug)은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동물, 식물, 광물, 미생물 및 그 대사생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간단히 가공한 것으로, 부패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훈증제를 분무하는 등 본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의 천연물을 의미한다. 생약은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제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천연물이다. 생약의 범주에는 동물, 식물, 광물, 미생물 및 그 대사생성물이 포함된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2024.11.04
-
트랜지스터의 작동원리2025.06.051. 트랜지스터의 작동원리 1.1. 다이오드의 작동원리와 종류 다이오드는 진공관(또는 방전관) 다이오드와 반도체 다이오드가 있다. 진공관 다이오드는 양극(陽極:anode)이 음극(陰極:cathode)에 대하여 매우 큰 음전압(陰電壓)을 갖게 되면 전압파괴 현상이 일어나서 진공용기 속에서 공간을 통하여 방전을 일으키거나 용기의 벽(壁)을 따라 방전하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열전자(熱電子)에 의한 전자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도체 다이오드는 게르마늄이나 실리콘[비소]과 같은 반도체 결정표면에 텅스텐 또는 백금합금과 같은 ...2025.06.05
-
기하이차곡선 약물2025.06.251. 서론 의료기기의 발달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났다. 특히 항생제의 개발은 인류의 수명을 크게 높였다. 몸이 아플 때 주사나 링거를 맞는데, 이때 주사기 안에 들어있는 주사액이 혈액에 직접 투여된다. 이 주사액이 혈액으로 들어갈 때 혈액 내 주사액의 농도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농도 변화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오히려 몸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주사액의 농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주사약의 농도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이며, 주사를 하는 사람은 어떻게 농도 변화를 확인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2025.06.25
-
생물정보학과 생명공학의 모든 것2024.09.141. 생물정보학 개요 1.1. 생물정보학의 정의 생물정보학은 생물체의 방대한 유전정보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여, 해석하는 의미를 갖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의 융합으로 인식되고 있다" 1.2. 생물정보학의 발전 과정 생물정보학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생물정보학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1970년대 중반부터 DNA와 단백질의 서열분석이 자동화되면서 뉴클레오타이드와 펩타이드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게 된다. 1980년대 중반부터 컴퓨터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온라인을 통해 원격...2024.09.14
-
줄기세포2024.09.141. 서론 1.1. 재생의학 재생의학이란 "인간의 세포와 조직, 장기를 대체하거나 재생시켜서 원래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복원시키는 의학 분야"이다. 재생의학의 목표는 이전엔 회복이 불가능했던 조직이나 장기들의 신체 고유의 회복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거나 손상된 조직을 교체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를 재생하는 것이다. 또한 재생의학에는 신체가 스스로 치유할 수 없는 조직, 장기를 실험실에서 배양하고, 안전하게 이식하려는 시도도 포함된다. 이로써 재생의학은, 특히, 장기 이식이 필요한 사람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장기 기증의 문제를 해결할...2024.09.14
-
진로 주제탐구보고서2025.05.021. 서론 1.1. 연구 주제와 동기 진로 희망인 의사, 약사로서 천연물질의 향균효과와 항산화 작용을 비교 실험하고자 한다. 실험 과정에서 다양한 시행착오와 조사를 거쳤으며, 천연물질의 성분과 그 기능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물질이 가지고 있는 항균 및 항산화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러한 천연물질이 질병 예방과 치료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천연물질의 향균효과와 항산화 작용에 대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의약품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 주제는 의사와 약사로서의 진로 희망...2025.05.02
-
신약개발 전쟁 독후감2025.05.211. 소개 본 독후감은 신약개발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는 '신약개발전쟁'이라는 책에 대한 것이다. 이 책은 의약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신약개발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최신 기술 동향, 국내외 현황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서론에서는 먼저 약이 질병의 치료, 예방, 완화 등을 위해 개발된 약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신약개발의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신약개발의 성공률이 약 1%에 불과하다는 점은 이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