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RC회로 사전보고서2024.10.281. 기초회로실험 1.1. RC 미적분 회로 RC 미적분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구성된 회로로, 입력 전압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커패시터 C를 흐르는 전류 i의 식은 다음과 같다: i = C(dv/dt) 또한 저항 R을 흐르는 전류 i는 옴의 법칙에 따라 다음 식과 같다: i = v/R 이 회로는 직렬 회로이므로 커패시터 C와 저항 R을 흐르는 전류는 동일하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된다: C(dv/dt) = v/R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C(dv/dt) + v = 0...2024.10.28
-
기초전자실험 PSpice 커패시터 보고서2024.11.201. 커패시터의 특성 1.1. 커패시터의 구조 및 원리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 수동 전자 부품이다. 커패시터의 구조는 유전체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전극이 놓여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유전체는 절연체 역할을 하며, 전극은 도체 역할을 한다. 커패시터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 사이에 전하가 쌓이게 된다. 즉, 한 전극에는 양(+)전하가, 다른 전극에는 음(-)전하가 축적된다. 이렇게 전하가 축적되는 양을 커패시턴스(Capacitance)라고 하며, 단위는 패럿(Farad, F)이다.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C는 전극의 면...2024.11.20
-
인덕턴스와 RL 회로 예비보고서2024.12.021. 실험 목적 1.1. 인덕턴스와 RL 회로 실험 이 실험은 교류회로에서 흔히 사용되는 인덕턴스(Inductance)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1계 회로인 RL 회로에 대하여 교류신호를 인가한 경우에 나타나는 응답특성 |H(jω)|와 위상특성 ?(ω)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인덕턴스는 코일에 전류를 가하면 코일을 둘러싸고 페루프 형태의 자속이 발생되는데, 이 자속(Magnetic Flux) ?은 코일의 감긴 회수(N)에 비례하며 이를 자속쇄교(Flux Linkage) λ라고 한다. 이러한 전체자속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2024.12.02
-
지상보상기2024.10.091. 지상-진상회로(Lag-Lead Network) 1.1. 실험목적 지상-진상회로(Lag-Lead Network)의 실험 목적은 지상-진상회로의 회로 해석과 그 특성을 관측함으로써 제어요소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지상회로는 정상상태 응답특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대역폭을 작게 하여 응답속도를 느리게 한다. 반면 진상회로는 대역폭을 크게 하여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지만 정상상태 응답을 나쁘게 한다. 이에 따라 과도상태뿐만 아니라 정상상태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키고자 할 때 지상-진상회로를 사용한 제어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2024.10.09
-
전기회로설계실습 7 중앙대2024.11.111. 설계실습 계획서 1.1. DMM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압을 측정할 때 DMM의 내부저항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앞에서 실험하였다.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그림과 같이 설계할 수 있다. DMM의 내부저항은 매우 큰 편이므로 약 10MΩ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DMM을 전압 측정 모드로 놓고 저항 R과 직렬로 연결한다. 이때 측정된 전압을 V0라 하면, 전류 I는 V/(R+Rin)이 된다. 여기서 Rin은 DMM의 내부저항이다. 또한 DMM에 걸리는 전압 V0는 I...2024.11.11
-
캐퍼시터의 충방전2024.09.141. RC 회로의 과도응답 1.1. 실험 목적 저항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관련 이론 및 실험 원리 RC 회로의 과도응답의 관련 이론 및 실험 원리는 다음과 같다. RC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구성된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할 수 있다. RC 회로에서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동안 흐르는 전류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2024.09.14
-
전자회로 2학기 과제2024.10.201. RC, RL 회로의 과도응답 1.1. RL, RC 1차회로의 과도응답 실험 RC, RL 1차회로의 과도응답 실험은 RL, RC 1차회로의 과도응답을 실험을 통해 이해하고 시정수의 개념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RC 1차 회로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전원 공급기로부터 펄스파형(Vs_HIGH=5V, Vs_LOW=0V, 주기=1ms)을 인가하고, 저항 R=10kΩ, 커패시터 C=0.01μF로 구성된 회로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커패시터 양단 전압 vC(t)를 관측하고, 이 파형을 전원 파형 Vs...2024.10.20
-
22 인덕터2025.05.261. 실험 목적 및 개요 1.1. 인덕터의 특성 확인 인덕터는 구리선과 같은 도선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소자이다. 교류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기게 되는데, 이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덕터의 특성을 통해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덕터에는 크게 공심 인덕터, 철심 인덕터, 자심 인덕터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공심 인덕터는 코일만으로 구성되어 큰 인덕턴스를 얻기 어려운 반면, 저항이 크다. 철심 인덕터는 철을 코어로 사용하여 인덕턴스를 높일 수 있지만, 주파수가 높아...2025.05.26
-
22인덕터2025.05.261. 서론 1.1. 인덕터의 정의와 특성 인덕터는 구리선과 같은 도선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장치이다. 교류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기는데,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전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인덕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전원의 에너지를 자기장 및 유도전압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인덕터가 유도전압을 생성하는 정도를 인덕턴스라고 하며, 이는 주로 코일의 권수에 의해 결정된다. 인덕터는 코어의 재질에 따라 공심 인덕터, 철심 인덕터, 자심 인덕터로 구분된다. 공심 인덕터는 코일만 감은 인덕터로 큰 인덕턴스를 얻기 어...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