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잼 수분활성도 측정2025.04.11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1.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이다. 수분활성도(Aw)는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정온도에서 식품이 갖는 물의 증기압(P)과 순수한 물의 증기압(Pa)의 비율로 정의된다. 즉, Aw=P/Pa로 계산되며, 순수한 물의 활성도가 1이라면 식품의 수분활성도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식품 내 물은 자유수와 결합수로 구분되는데, 자유수는 미생물 생육과 증식, 효소반응, 화학반응에 이용되지만 결합수는 이용되지 못한다. 미생물은 ...2025.04.11
-
식품관련미생물2025.05.201. 서론 식품 관련 미생물은 식품의 생산, 가공, 보존 등 식품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식품 관련 미생물에는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이들은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품 관련 미생물의 특성과 이들에 대한 이해는 식품 산업의 발전과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식품 관련 미생물의 분류와 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을 살펴보고, 식품 가공 및 저장에서 미생물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식품 산업에서 미생물 활...2025.05.20
-
급속냉동2025.04.161. 서론 식품을 냉동할 때 얼리는 것 자체보다 어떻게 얼리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이는 해동했을 때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같은 날 잡은 고등어라도 급속냉동된 것은 살이 탄력 있고 바다 내음이 그대로이지만, 완만하게 얼린 고등어는 흐물흐물하고 퍽퍽한 느낌이 난다. 결국 냉동 방식은 단순한 보관 방법을 넘어서, 식품의 맛과 질, 심지어 소비자의 만족도까지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가 된다. 냉동 기술은 이제 단지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아니다. 세계 곳곳으로 식품이 오가는 시대,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하면서도 품질을 유지하는 데에는 정교한 ...2025.04.16
-
식품가공및저장학2025.04.251. 서론 식품가공은 식품 재료의 본질을 바꾸지 않고 모양, 물리적, 화학적, 유기적 및 영양 특성을 변화시키는 가공 과정이다. 식품 가공을 통해 가공성 증가, 다양성 증가, 복잡한 요소 증가, 유기농 가치 증가, 제품 가치 증가, 저장성 증가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자연적 특성과 가공비 감소 등의 단점도 있다. 식품 가공의 종류는 동물성 가공식품과 식물성 가공식품으로 나뉘며, 가공 정도에 따라 1, 2, 3, 4차 처리로 구분할 수 있다. 가공식품에는 빵, 두부, 과자, 시리얼, 비스킷, 튀김, 김치, 장류, 소시지,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