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5개
-
약물요법과 간호2024.10.171. 약물요법 1.1. 항정신병 약물 1.1.1. 정형항정신병약물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뇌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을 치료한다. 이는 약리작용이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에만 국한되었다는 뜻으로 정형 항정신병약물이라 부르며, 항정신병약물 중 먼저 개발된 약물이어서 제1세대 항정신병약이라고도 불린다.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이 강하고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은 미약하므로 양성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는 강하지만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시키는 작용을...2024.10.17
-
조현병 약물2025.04.191. 약리기전 및 효과, 적응증, 부작용 1.1. 약리기전 리스페리돈은 2세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도파민 길항제로도 작용하여 세로토닌과 히스타민 시스템을 억제한다. 리스페리돈은 도파민 수용체 D1 및 D2 클래스의 길항제로 작용하여 항정신병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세로토닌 수용체로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부작용을 낮추거나 기존의 할로페리돌보다 음성 반응을 더 잘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리스페리돈은 알파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 α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로 기립성 저혈압 증상과 관련되어 진정 효과에 영향을 미...2025.04.19
-
정신간호학 강박장애 사례연구2025.05.211. 서론 강박장애는 불안 장애의 일종으로,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떤 특정한 사고나 행동을 떨쳐버리고 싶은데도 강박적인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을 시도 때도 없이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상태이다. 강박장애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으로 구분되며, 강박적 사고가 불안이나 고통을 일으키는 것이라면, 강박적 행동은 그것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을 할 때는 떨쳐버리거나 중단하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고 고통스러워하는 상태를 겪는다. 강박장애는 강박사고나 강박 행동 중 한 가지 증상만 나타나...2025.05.21
-
신우회대표기도문2025.07.281. 서론 1.1. 강박장애 개요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하나로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반복되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대상자 자신이 그것이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억제할 수 없고, 억제하려고 노력하면 불안증상이 나타난다. 자신의 생각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고 이것을 없애려고 노력해도 지속되는 관념, 사고, 충동 또는 심상으로 강제적이고 부적절한 것으로 경험되며 심한 불안과 고통을 일으킨다. 환자들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어떤 생각이나 충동, 장면...2025.07.28
-
공황장애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07.281. 서론 공황장애는 삶을 위협하는 실제적 상황이나 그렇게 인식되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압도적인 형태의 불안이다. 실제로 신체적 혹은 심리적 위협이 없는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공황을 경험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다른 공황발작을 경험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불안의 강도를 증폭시킨다. 이러한 공황은 일상생활 기능을 방해하는 공황장애의 특징이기도 하다. 공황장애는 주로 20-24세에 발병하며, 40대 이후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치료 후에도 증상이 재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이 악화될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