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5개
-
하나님은옛언약의율법을대신하여어떤은혜를주셨나2024.10.141. 은혜의 언약 1.1. 구약에 나타난 은혜의 언약 1.1.1. 원복음 창세기 3장 15절에 나오는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는 구절은 성경에서 복음에 대한 최초의 암시인 "원복음"을 담고 있다"".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과 더 이상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하셨다. 이 약속은 나중에 아브라함과의 언약, 모세와의 언약...2024.10.14
-
전도서3장설교2024.10.201. 설교의 정의와 중요성 1.1. 설교의 정의 설교의 정의는 설교자가 하나님의 메신저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신자와 불신자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달하는 것이다. 설교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설교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다. 둘째, 설교는 청중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다. 셋째, 설교는 설교자가 하나님의 메시지를 성령의 능력을 받아 전하는 것이다. 넷째, 설교는 예수님의 명령이다. 다섯째, 설교는 결과를 맺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육신의 몸으로 이 ...2024.10.20
-
기독교 강요 인간론2024.10.271. 신학의 방법과 이해 1.1. 신학의 개념과 역사 신학의 개념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신학이란 본래 그리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거나 만유의 궁극적 원인을 추구하는 철학적 우주론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초기 교부들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그리스 사상과 차별화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신학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동방교회에서는 7세기에 요하네스가 정교회 신앙을 해설한 "지식의 원천"을 펴냈다. 반면 서방교회의 스콜라 신학은 신학의 체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종교 개혁자들도 교의학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개신교 ...2024.10.27
-
오순절 성령강림 현상2025.02.251. 오순절 성령강림 현상 1.1. 신약의 성령론 1.1.1. 성령의 본질과 활동 성령은 때로는 물활론적으로 때로는 역동적으로 표현된다. 성령은 인격적인 존재로도, 또한 비인격적인 세력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성령이 인격적 존재 이상으로 언급되는 본문은 고린도전서 2장 10절인데, 여기서 성령은 "모든 것을 살펴 아신다"고 하여 인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성령의 활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령은 그때그때 특별한 현상 가운데 자신을 드러내는 권능으로 간주된다. 둘째, 성령은 항상 새로운 사람인 신자를 충만케 하는 힘으로도...2025.02.25
-
기독교의 기본진리 독후감2025.01.061. 소개 이 책은 존 스토트가 1958년에 집필한 '기독교의 기본진리'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기독교의 기본진리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기독교인으로서 지향해야 할 올바른 삶의 방향을 탐구하는 사람들이나 기독교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독할 것을 권장한다. 이 책은 예수 그리스도와 인간, 그리스도가 행한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 등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격을 소개하고, 2부에서는 죄로 얼룩진 인간의 상태를 고찰한다. 3부에서는 그리스도의 죽음과...2025.01.06
-
고문운동과 당대 사회 비판: 유종원의 산문을 중심으로2024.08.271. 전통산문(고문) 1.1. 산문의 정의 산문이란 일반적으로 운문과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운율(韻律)이나 음절의 수에 구애되지 않는 자유로운 형식의 글을 가리킨다. 중국 고대문학에서의 산문은 이와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중국 고대문학에서의 산문은 변문(騈文)과 상대적인 개념으로 생겨났다. 변문이란 반드시 운율을 맞추어 쓰지는 않으나 형식적인 미(美)를 매우 중시하는 글이다. 즉 한 구를 4자나 6자로 하여 글자 수를 맞추고 또 두 구씩 대구를 이루며, 전고(典故)라고 하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함축적인 의미를 지닌 어휘를 즐겨...2024.08.27
-
요한계시록연구2024.10.131.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숫자에 관한 연구 1.1. 요한계시록에 드러난 숫자의 상징적 의미 1.1.1. 일곱 교회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교회는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 실재하던 교회들로, 요한은 이들 교회의 영적 상태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일곱 교회는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등으로, 이들 교회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교회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요한계시록에서 숫자 "일곱"은 완전성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완성...2024.10.13
-
그리스도 중심 예배사역2024.08.291. 예배의 정의와 목적 1.1. 예배의 사전적 의미 예배의 사전적 의미는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을 표현하는 마음가짐과 행위"를 말한다. 즉, 예배란 우리의 전 존재를 하나님께 굴복시키는 일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거룩함으로 우리의 양심을 깨우며, 하나님의 진리로 우리의 마음을 살찌우고, 하나님의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상상을 정화시킨다. 또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우리의 심령을 활짝 열며, 하나님의 목적에 우리의 의지를 내려놓는 것이다." 1.2. 예배의 신학적 정의 예배의 신학적 정의는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2024.08.29
-
순종요약2024.09.061. 하나님의 주권과 순종 1.1. 하나님 앞에서의 순종 하나님 앞에서의 순종이란 본래 우리에게 주어진 본분이자 의무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시고 지으신 만큼, 인간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섭리와 주권 아래 놓여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의 뜻과 명령에 온전히 순종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에 대한 순종은 그분의 절대적인 주권을 인정하고 복종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하나님을 전능하신 분이자 지고의 존재로 인정하고 그분께 절대적으로 복종할 때, 비로소 우리의 삶에 하나님의 섭리와 은혜가 드러나게 된다...2024.09.06
-
주님의전도계획2025.03.241. 주님의 전도계획 1.1. 서론: 주님과 주님의 계획 교회의 전도 활동에 대해서 우리가 끊임없이 던져야 할 질문이 있다. 첫째, 우리의 노력이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을 성취하고 있는가? 둘째, 우리의 사역이 복음을 들고 세상에 나가는 헌신된 사람들의 수를 늘리고 있는가? 이것은 전도의 목적과 적절성에 대한 문제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무엇 때문에 전도활동을 하고 있는가? 우리가 하고 있는 그 전도 활동이 그리스도의 명령을 수행하는데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것을 묻는 것이다. 전도에 있어서 목적과 적절성을 묻는 것에서 중요한...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