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0개
-
교회2024.09.301. 교회론의 역사와 신학적 전개 1.1. 구약과 신약의 교회 구약성경에서 교회에 해당하는 개념은 '에다(עֵדָה)'와 '카할(קָהָל)'이다. 이 두 단어는 모임, 회합, 회중 등을 의미하며, 하나님께서 특별히 택하신 자들을 불러모으신 모임을 나타낸다. 구약의 공동체는 창조세계 안에서 언약 관계에 있었던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적 경험을 보여준다. 출애굽 사건을 통해 탄생한 이스라엘 회중은 시내산에서 이루어진 하나님과의 언약 백성이었다. 토라를 따라 생활하며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하는 공동체였다. 이러한 구약의 공동체...2024.09.30
-
창조의목적과하나님나라2024.10.221. 선교와 하나님의 백성 1.1. 선교와 하나님의 마음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을 세계적인 선교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신다"" 이는 선교가 하나님의 마음에서 비롯되었음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창조물의 주이시며, 모든 민족을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분이시다""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의 성경에 걸쳐 이러한 하나님의 마음이 드러나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부르셔서 그의 씨로 말미암아 모든 민족이 복을 받게 하시려 하셨다"" 출애굽 사건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신 것도 그들로 하여금 세상 만민에게 하나님을 증...2024.10.22
-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2024.10.201. 사도 바울의 삶과 신학 1.1. 저자 소개 저자 이종원 교수는 현재 숭실대학교 겸임교수로 베어드학부대학에서 기독교 교양과목과 기독교학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는 현직 교수이다. 그는 숭실대학교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기독교윤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기독교 생명윤리' 외에도 '성서다시보기(공저, 숭실대학교 출판부)', '기독교 윤리로 보는 현대사회(북코리아)' 역서로는 '히포크라테스와 생명윤리(북코리아)' 등이 있다. 1.2. 바울과 예루살렘 공의회, 그리고 안디옥 사건 바...2024.10.20
-
제자훈련이란 무엇인가2024.09.231. 제자도와 영성 형성 1.1.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에는 거대한 괴리가 존재하는데, 이는 그리스도인들의 믿음에 대한 실천 부족으로 인한 실망감 때문이다.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이다. 제자란 배우는 자, 학생, 도제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란 하나님 나라의 삶에 대한 깊어 가는 이해를 이 땅에서 자기 것으로 고백하고 적용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현대 교회에서는 제자가 되지 않아도 영원히 그리스도인으로 살 수 있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과연 무엇이 우리의...2024.09.23
-
1세대 교회예배이야기2024.09.281. 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Ⅰ, Ⅱ 요약 및 서평 1.1. 들어가는 말 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Ⅰ, Ⅱ는 한국 교회의 교인들이 가질 수 있는 교회에 대한 다양한 물음들을 소개하고 그 해답을 제시해주는 책이다. 저자인 안재경 목사는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화란한인교회에서 만 7년간 담임하였으며, 서기, 그리고 운영위원 및 편집장, 서기로 섬겼다. 또한 그의 저서로 성경신학과 관련된 책이 있고, 예배에 대한 책이 발행된 만큼 예배에 많은 관심과 연구를 한 학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별히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오늘날 한국 교회...2024.09.28
-
훈련으로 되는 제자2024.09.171. 제자 1.1. 성서적 해석 및 그리스도인의 신분 제자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추종자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앙과 소명에 대한 확신과 더 높은 차원의 신분과 복음의 사역자로서의 사명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마태복음 28장 16절에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생각해볼 때, 제자는 세계복음화의 사역을 위하여 어디서나 어느 민족에게나 자신의 제자를 삼는 재생산의 사역자가 되는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선교사역 처음에 제자들을 부르실 때에 그들에게 특별한 사명을 주시면서 부르신다. 사람을 낚...2024.09.17
-
어떻게 하면 불교도 민간 신앙인들을 더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2024.10.041. 변화하는 선교와 복음 전도 1.1. 복음 전도와 선교의 개념 정리 복음 전도와 선교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구분되는 개념이다. 복음 전도는 비기독교인에 대한 사역으로, 기독교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서구 세계 밖의 이교도들이나 제3세계 민족에 대한 사역을 포함한다. 즉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거리가 있는 비기독교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여 개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반면 선교는 기독교회가 세상으로 보냄을 받아서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일컫는다. 선교에는 복음 전도 ...2024.10.04
-
로마 카톨릭선교 황금기와 개신교 선교의 도약기 관련 레포트 작성2024.09.231. 책 소개 1.1. 서명 서명은 "현대선교의 이해(Understanding Contemporary Christian Missions)"이다. 이는 선교학 분야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재로, 현대 선교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1.2. 저자 이현모 교수"는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된 저서 '현대선교의 이해'의 저자이다. 이현모 교수는 선교학 분야의 전문가로, 선교학 분야가 다른 신학 분야들과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최근에 정립되어진 신학의 분과라고 말하며, 선교학의 정의를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위임령에 근...2024.09.23
-
빌립보서2:19-22하나님의 사람 디모데2024.09.111. 사도행전과 바울서신 개괄 1.1.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누가복음의 저자인 누가에 의해 기록된 저술로, 예수님의 승천 이후 초대교회의 출현과 성장, 특히 사도 바울의 선교 여행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 누가는 신약성경의 저자들 중 유일한 이방인이자 수준 높은 교육과 지성을 갖춘 의사로서, 바울의 동역자였다. 사도행전의 주된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 성령이 충만한 초대교회가 예루살렘을 출발하여 점차 이스라엘을 넘어 온 세계로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자 누가는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초대교회의 복음...2024.09.11
-
공간복음으로여행요약2024.11.011. 세계 선교의 흐름과 새로운 패러다임 1.1. 세계 일반 동향 1.1.1.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 두 차례의 세계대전은 수천만 명의 희생자들과 함께 유럽의 왕조 시대의 퇴조와 파시즘과 제국주의 양태의 파괴, 공산주의와 냉전체계의 붕괴를 가져왔으나, 다시금 새로운 동서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아랍의 테러리즘이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미국과 아랍세계와의 불화는 언제까지 지속되며 어떻게 종결될 것인가? 최근 들어 국제정치 분야에서는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예를 들어...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