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모두를 위한 물리학2024.10.231. 책 소개 1.1. 『떨림과 울림』 『떨림과 울림』은 저자 김상욱이 우리 주변의 물리 현상을 재미있고 쉽게 설명한 책이다. 저자는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물리학의 역사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독자들에게 물리학의 세계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책의 서문에서 "우주는 떨림이다. 정지한 것들은 모두 떨고 있다... 빛은 떨림이다... 세상을 떨림으로 가득하다. 인간은 울림이다. 수많은 떨림에 울림으로 반응한다."라며 세계를 떨림과 울림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는 물리학의 대상인 자연 현상들을 단순한 숫자와 공...2024.10.23
-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고있는 우주2024.10.011. 인류 우주관의 변화 역사 1.1. 천동설 1.1.1. 에우독소스 에우독소스는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두 가지를 수정하여 자신의 이론을 만들었다. 하나는 행성의 순서이고 하나는 '수정 천구'를 도입한 것이다.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행성의 순서는 지구, 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순이었지만 에우독소스는 지구,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바꾸었다. 금성과 수성을 태양 궤도 안에 배치한 것인데 이것은 천동설 천체 모형의 기초가 되었다. 에우독소스는 각각의 단순한 주기적 운동을 ...2024.10.01
-
영화비평문2024.12.021. 영화 비평문 작성 1.1. 영화 "그녀(her)" 1.1.1. 영화 정보 및 줄거리 2013년에 개봉한 영화 「그녀(her)」는 스파이스 존즈가 각본과 감독을 맡았고, 호아킨 피닉스, 에이미 애덤스, 루니 마라, 올리비아 와일드, 스칼렛 요한슨이 출연하였다.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의 남자주인공 테오도르는 편지를 대신 써주는 대필작가로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진실된 감정을 담은 편지를 쓰고 있지만, 정작 자신은 이혼의 상처로 매일 밤 잠 못 들며 괴로워한다.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채팅앱을 사용해보기도 하지만 공허...2024.12.02
-
세계를바꾼17가지 방정식2024.10.081. 역사와 수학의 만남 1.1. 들어가며 최근 수학의 대중화를 이끄는 흥미로운 인문 교양서가 많이 출간되고 있어 매우 다행이라고 느낀다. 수학 대중화를 이끄는 저자들 중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작가는 바로 김민형 교수였다. 그의 저서들은 수학을 대중들이 보다 가볍고 쉽게 접근하게 해주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수학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여러 문명 속에서 수학이 다른 학문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발전해 왔는지 등에 대해 언급한다. 수학이 때로는 하나의 학파를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한 시대를 규정...2024.10.08
-
독후감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2024.12.291. 수학이 필요한 순간 1.1. 수학과 세상 이해하기 수학은 세상을 이해하는 도구이다. 수학은 자연현상의 원리와 구조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활용되며,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수학적 개념과 원리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은 물론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폭넓게 활용된다. 수학은 세상을 보는 특정한 관점을 제공한다. 수학적 사고방식은 문제를 정의하고 분석하며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능력을 기른다. 수학은 현상을 계량화하고 모델링하여 객관적인 이해와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2024.12.29
-
일반물리학 정리2025.06.111. 일반물리학 개요 1.1. 기본 단위와 측정 길이, 시간, 질량은 기본 물리량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는 미터(m), 초(s), 킬로그램(kg)이다. 길이의 단위 미터는 주어진 시간 동안 빛이 진공 속을 진행한 거리로 정의되며, 시간의 단위 초는 세슘-133 원자에서 나오는 빛의 진동으로 정의된다. 질량의 단위 킬로그램은 프랑스 파리 근교의 백금-이리듐 표준원자로 정의된다. 이와 함께 밀도(ρ)는 단위 부피(V)당 질량(m)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본 물리량과 단위들은 다양한 물리학 실험과 연구에서 기준이 되며, 정확한 측...2025.06.11
-
왜 우주에서는 자유낙하운동이 안일어날까요2025.06.26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주 공간에서의 자유낙하운동은 중력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구상의 자유낙하운동과 구별된다. 이는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주 공간에서의 자유낙하운동의 특성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수상대성이론은 모든 관성계에서 물리법칙이 동일하며 광속도가 불변한다는 두 가지 기본 원리에 기반한다. 이에 따르면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 진행이 정지 물체에 비해 느려지는 시간지연 현상이 발생한다...2025.06.26
-
토비아스2025.06.111. 들어가며 과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이라는 이름은 자주 들어보았을 것이다. 물리학자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입자부터 끝이 없는 우주를 연구하는 등 과학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은 20세기 초 물리학자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책은 20세기 과학사를 장식한 세계의 눈부신 과학 지성들이 고전물리학의 한계를 타파하고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대표되는 현대물리학의 빛나는 성취를 만들어나가던 순간들을 담아낸 대중과학 이야기이다. 저자는 토비아스 휘터로 뭔헨과 버클리에서 철학과 수...2025.06.11
-
인터스텔라 인물 분석2025.04.141. 서론 1.1. 영화 '인터스텔라'의 선정 배경 영화 '인터스텔라'는 21세기 들어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발생하는 환경파괴, 자원고갈 등의 문제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을 다루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인류는 전례 없는 과학기술의 진보를 이루어 냈지만, 이와 함께 새로운 문제들도 대두되었다. 특히 기후변화와 자원 고갈로 인한 식량 부족 문제는 인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터스텔라'는 근미래 지구 환경 및 인류의 모습을 그려내며, 과학기술의 발달이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과...2025.04.14
-
바르트 코드 비평, 영화 인터스텔라 분석2025.04.251. 서론 1.1. 영화 인터스텔라에 대한 관심과 분석 동기 평소 우주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찾아보고 영화 인터스텔라를 끊임없이 돌려보는 등 우주는 내게 매우 흥미로운 주제이다. 우주는 특히 내가 직접 가 볼 기회가 거의 없는 곳이고, 내가 사는 지구보다 훨씬 큰 행성과 광활한 공간이 존재하는 곳이어서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2014년 영화 인터스텔라가 개봉했을 때, 나는 우주 영화가 개봉했다는 소식 하나에 들뜨면서 순식간에 상영 티켓을 예매했고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처음으로 보았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 난 소감은 "내가 도대체...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