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7개
-
중환자실 말기콩팥병2025.03.191. 서론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장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 상태이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신장 기능이 정상이지만 소변 검사의 이상이나 신장 요로계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경우이고, 2단계는 신장 기능이 약간 감소된 상태이다. 3단계는 신장 기능이 중등도로 감소된 상태이며, 4단계는 신장 기능이 심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5단계는 신장 기능이 15미만으로 투석 혹은 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 상태이다. 신부전은 신장의 기...2025.03.19
-
만성신부전 간호과정2025.03.151. 만성신부전 사례보고서 1.1. 자료수집 만성신부전 환자의 검사결과를 살펴보면, 일반혈액검사에서 HGB, HCT, RBC, lymphocyte(%), lymphocyte(#), RDW, PDW가 감소한 빈혈 소견을 보였다. 일반화학검사에서는 Total protein, glucose, creatinine, Chloride(Cl)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 당뇨와 신부전이 확인되었다. 혈액응고검사 결과 aPTT가 연장되어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인 흉부 CT에서는 폐 부위에 비특이적 소견이 관찰되었고, 심...2025.03.15
-
간대성발작2025.03.151. 서론 1.1. 환아 정보 환아는 5세의 Jackson Weber 남아이다. 2016년 2월 14일 출생하여 현재 5세이며, 키 118cm, 체중 18kg이다. 2년 전 전신 긴장성 간대성 발작을 진단받았다. 현재 발작 조절을 위해 Phenobarbital 약물을 복용 중이다. 환아의 호흡, 안구 운동, 동공반사 등 신경계 검진상 특이 소견은 없으며 의식이 명료하다. 전날 밤 3분간의 전신 긴장성 간대성 발작이 있어 응급실을 방문하였고, 현재 IV 라인을 통해 D5 NS + 20mEq KCl/L가 58mL/hr로 투여되고 있다...2025.03.15
-
만성콩팥병2025.03.131. 서론 만성 콩팥병은 신장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이다. 이는 신장의 손상과 기능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그 정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된다. 만성 콩팥병은 당뇨병과 고혈압이 주된 원인이며, 원인 질환의 적절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그 외에도 사구체 질환, 요로계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콩팥병의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어서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질환, 뼈 질환, 빈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콩팥병의...2025.03.13
-
ESRD 케이스2025.03.121. 서론 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이 질환의 발병 원인은 다양한데, 신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신부전의 발병원인은 당뇨병(45.4%), 고혈압(18.3%), 만성 사구체신염(11.1%) 순으로 나타났다.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은 대사 장애,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 심혈관계 변화, 혈액계 변화, 위장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신경계 변화, 근골격계 변화, 피부계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초래한다. 이...2025.03.12
-
간호케이스 위염2025.02.091. 서론 1.1. 만성 위염의 정의 및 특성 만성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으로 위장의 문제 중 가장 흔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만성 위염은 A형과 B형으로 나누어지는데, A형은 자가면역성 위염이고 B형은 대다수를 차지하는 H.pylori 감염에 의한 만성위염이다. A형 만성 위염은 위산 분비 감소와 악성빈혈이 주요 특징이며, B형 만성 위염은 점막의 위축과 산 분비 감소가 특징이다. 만성 위염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표재성 위염, 위축성 위염, 위 위축 등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위암의 전구 병변이 될 수 있다....2025.02.09
-
성인간호학실습 탈장 케이스 분석 및 간호과정2025.02.0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외모와 몸매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단기간에 근육을 만들기 위해 무리하게 운동하는 일반인들에게 탈장이 심심치 않게 발병하고 있다. 탈장은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 수술 후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질환과 그 간호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탈장 대상자의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간호과정을 사료하고자 한다. 탈장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 중인 대상자를 사정함으로써 임상증상 및 간호문제를 연구하여 대상자의 치료와...2025.02.09
-
성인간호학 혈액계2025.03.291. 성인간호학 혈액계 1.1. 골수 골수는 혈액을 형성하는 기관이다. 적골수(red marrow)는 조혈기관이며 황골수(yellow marrow)는 지방으로 차있다. 골수생성은 태아기 간 비장, 임신 말기 골수, 출생후 모든 뼈, 자라면서 편평골(골반, 흉골, 두개골, 견갑골) 장골말단에서 이루어진다. 혈액성분은 줄기세포에서 시작되며 다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화한다. 1.2. 혈액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액의 주요 기능은 산소와...2025.03.29
-
성인간호학 급성신손상 케이스 연구2025.03.291. 서론 1.1. 급성신손상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 급성신손상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이다. 급성신손상은 신장 기능이 빠르게 감소되어 요독 증상과 전해질 불균형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이 다양하고 응급 상황이 초래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급성신손상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합병증 예방과 신기능 회복을 위해 원인 진단, 적절한 치료 및 간호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 환자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급성신손상 환자의 임상 양상과 검...2025.03.29
-
병태생리학 정리2025.04.011. 병태생리학적 측면의 주요 질환 1.1. 근골격계 질환 1.1.1. 발육장애 태생기의 발육 과정에서 기형인자가 작용하면 선천성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바다표범발증은 임신 초기 탈리도마이드 다량 복용으로 인해 장골이 만들어지지 않아 손가락이 체간에 직접 붙은 선천기형이다. 연골무형성증은 연골내골화가 저해되면서 뼈의 장축 방향 발육이 억제되는 유전성 질환이다. 골형성부전증은 뼈의 가로축 방향 발육이 나쁘고 골절을 일으키기 쉬운 난청과 청색각막을 동반하는 선천성 기형이다. 맥큔-알부라이트증후군은 뼈의 성숙이 저해되어 섬유성 조직...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