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2개
-
고칼륨혈증2025.06.23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와 특징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의 정의와 특징 고칼륨혈증은 혈청 칼륨(K+) 농도가 정상 범위(3.5~5.0 mEq/L)를 초과하여 5.0 mEq/L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를 의미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세포 내외의 이온 균형을 유지하고 신경 및 근육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고칼륨혈증이 심해질 경우 심각한 심장 부정맥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고칼륨혈증은 급성(Acute)과 만성(Chronic)으로 구분되며, 그 ...2025.06.23
-
심방세동2025.05.081. 서론 1.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개념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특히 노인에게서 빈번히 발생한다. 심방세동 환자의 심방은 분당 350~600회 이상의 빠른 수축을 일으키므로, 효과적으로 심방이 수축하지 못하고 미세한 파동(f파)만 나타난다. 방실결절에서는 지나치게 빠른 심방수축에 모두 반응하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심실에 자극을 전달하므로, 심실수축 횟수는 대개 분당 100~150회로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심방세동은 심전도상에서 매우 불규칙한 QRS파로 진단할 수 있다. 1.2. 심방세동의...2025.05.08
-
EKG 판독2025.06.111. 서론 부정맥은 심장 박동의 불규칙성을 의미하는데, 맥박이 규칙적이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맥박은 심장 혈액의 박출에 의한 동맥벽의 진동이므로, 부정맥이 있다는 것은 심박수가 고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정맥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의 차이와 중증도가 상당히 다양하다. 따라서 부정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진단, 그리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2. 부정맥의 개요 2.1. 부정맥의 정의 및 특징 맥박이 규칙적이지 않은 상태를 부정맥이라고 한다. 맥박이란 심장혈액의 박출에 의한 동맥벽의 진동이기 때문에 부정맥...2025.06.11
-
심방세동2025.06.281. 서론 심방세동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질환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심방세동의 정의와 특성, 원인 및 위험 요인, 증상과 진단, 치료법, 간호 중재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심방세동은 심장 질환, 만성 폐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과 관련이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특히 노인층에서 호발하여 전체 인구의 약 1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기능을 저하시켜 심부전, 뇌졸중 등의 위험을 높이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질환에...2025.06.28
-
현문사 성인간호학 심장장애 요약2025.06.181. 심장의 건강과 질병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300g이며 흉곽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심낭이라는 주머니로 싸여 있으며, 심낭강이라는 공간 안에는 10~20ml의 심낭액이 있어 심장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준다. 심장은 크게 심외막, 심근, 심내막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로 나뉘며,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판막이 있다. 이 중 삼첨판과 이첨판은 방실판막에 해당한다. 심장의 관상동맥은 심실이완기에 거의 대부분의 혈액을 공급받으며, 좌측 관상동맥은 심실중격, ...2025.06.18
-
심전도 부정맥: 심방조기수축, 심방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2025.06.161. 서론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심장벽을 구성하는 근육이 자극전도계의 전기적 자극을 받아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하고, 이를 통해 몸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몸에 부착된 전극(electrode)을 통해 그래프로 얻을 수 있다. 심전도는 심장의 리듬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불균형, 약물의 효과 등을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심전도 기록지는 시간, 전압, 진폭 등이 표준화된 간격으로 나타나며, 표준화된 심전도의 속도는 25mm/초...2025.06.16
-
허혈성 심질환2025.06.241. 서론 1.1. 허혈성 심질환의 정의 허혈성 심질환은 부적절한 관류상태로 인해 심근에 산소가 불충분해진 상태 또는 심근의 산소요구량과 산소 공급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질환이다. 관상동맥의 죽상경화, 혈관의 과도한 수축, 혈전, 색전 등으로 인해 심근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국소적인 심근의 저산소증과 대사 장애가 초래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허혈성 심질환은 관상동맥의 부분적, 일시적인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협심증과 관상동맥의 완전한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근경색으로 구분...2025.06.24
-
개 심장 구조2024.11.10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은 종격동(가슴세로칸, mediastinum 흉곽안 폐를 좌우로 나누는 중앙부분)의 중앙과 횡경막(가로막, diaphragm)의 위쪽에 존재한다. 심첨(심장 끝, apex)은 좌측 흉부 제5늑골(갈비뼈)과 좌측쇄골(빗장뼈, clavicle)중간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위치에 존재하여 심장이 왼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심장의 크기는 약 250~300g 정도의 무게이다. 1.2. 심장의 구조 1.2.1. 심장벽 심장벽(heart wall)은 크게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2024.11.10
-
심방2024.10.211. 심방세동 1.1. 정의 심방세동이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써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5%가 발견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심장은 좌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정상적으로는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이 1:1 비율로 심실에 전달된다. 통상 분당 60~100회의 ...2024.10.21
-
부정맥 치료2024.10.211. 서론 간호학 321 심혜원 Package part.1에서 만나게 된 심혜원(F/56)님은 part.2에서 chest pain이 지속되어 CAG를 시행하였으나 part.3에서 찡그리는 표정과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며 가슴이 빨리 뛰고 두근거린다고 호소하여 Patient monitor를 보며 cartoid sinus massage를 시행하였고 EKG 리듬과 HR이 서서히 느려지다가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심혜원님은 힘없는 목소리로 힘들다고 호소하였다. 현재 부정맥은 40세 이상 4명 중 1명에게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