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2개
-
성인간호학 정리노트2024.11.1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방과 심실은 심장의 중심부를 이루는 주요 구조물이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아래의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심방은 정맥혈을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나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통해 정맥혈을 받으며,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산화된 혈액(동맥혈)을 받는다. 심실은 심장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며, 이완기 동안 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2024.11.17
-
성인간호학 실습 확장성 심근병증 케이스 스터디2024.10.131. 확장성 심근병증 1.1. 정의 확장성 심근병증이란 심장 근육벽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이다. 이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심근병증 중 하나로, 심장 근육의 확장과 수축 기능의 저하가 특징적이다. 확장성 심근병증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약 50세 미만의 성인들에서 보다 흔한 편이며,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10%의 환자 비율을 보인다. 1.2. 원인 1.2.1. 바이러스성 감염 바이러스성 감염은 확장성 심근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일부 바이러스성 감염은 심장 근육의 급성 심근염을 일으...2024.10.13
-
급성 심근경색 심박출량2024.10.301. 급성 심근경색증 1.1.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2024.10.30
-
심혈관계 질환 보고서2024.10.301. 심혈관 질환 개요 1.1. 심혈관 질환의 정의 및 유형 심혈관 질환은 심장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심장 주변 혈관에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질이 쌓이거나 혈관의 손상이 있는 경우 혈전이나 콜레스테롤 등이 혈관 벽에 침착되어 혈관을 좁게 하거나 막게 되어 각종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못해 발생하게 된다. 심혈관 질환의 주요 질병으로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 부정맥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뇌혈관 질환,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1...2024.10.30
-
현문사 성인간호학 요약2024.10.181. 체액과 전해질 관리 1.1. 체액의 구성 1.1.1. 세포내액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은 체액의 약 2/3를 차지하며, 체중의 40%를 차지한다. 세포내액은 세포의 화학적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수성매개물로, 소화기계 내의 음식물을 가수분해하고 세포 내의 화학적 반응을 위한 반응 및 매개물로 작용한다. 세포내액에는 주요 전해질인 칼륨(K+), 마그네슘(Mg2+), 인(HPO42-)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전해질들은 세포 내에서 신경근육의 흥분성 촉진, 삼투압 유지, 산-염기 균형 조절 등의 중...2024.10.18
-
마우스 해부 및 심혈관계 관찰 결과 보고서2024.12.2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약 300g의 무게를 가지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인 길이 12.5cm, 폭 7.5cm의 크기를 갖는다. 심장은 종격동의 중앙과 횡격막 위, 흉강 왼쪽에 위치한다. 심장의 박동은 분당 약 72회이며, 하루에 약 7,000리터의 혈액을 분출한다. 심장은 심낭(pericardium)으로 싸여 있는데, 심낭은 장측심낭(visceral pericardium)과 벽측심낭(parietal pericardium)으로 구성된다. 장측심낭은 ...2024.12.28
-
동기능부전증후군2024.11.28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은 심장에서의 정상적인 전기적 발생이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 내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이로 인해 긴 동휴지기(sinus pause) 또는 동정지(sinus arrest)와 함께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 동기능부전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심장의 전기 발전기에 해당하는 동결절의 노화에 따른 퇴...2024.11.28
-
조기심실수축2024.11.281. 조기심실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1.1. 조기심실수축 1.1.1. 정의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심실에서 기원하는 조기 심장박동이다. PVC는 동방결절(SA node)로부터 정상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도달되기 전에 심실이 정상보다 이른 신호를 보내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조기 신호는 심실근의 전기적인 과민성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심근경색, 전해질의 불균형, 저산소증, 심근증(울혈성 심부전 포함), 지나친 음주, 과도한 카페인 섭취 또는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2024.11.28
-
부정맥 case study2024.10.091. 부정맥(Arrythmia) 1.1. 정의 부정맥이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심장은 자기 주먹 정도의 크기의 장기이며 두 개의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박동은 동방결절이란 조직에서 형성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일어나는데, 부정맥은 이러한 심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부정맥의 유무는 심장이 빠르게 또는 불규칙하게 뛸 때 스스로 손목의 맥을 짚어 짐작할 수는 있으나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안정시 심장박동 수는 분당 60...2024.10.09
-
심근경색 병태생리2024.10.161. 심장의 구조와 생리 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사이막(중격, septum)에 의해 오른심장과 왼심장으로 나뉜다. 이는 다시 심방과 심실로 구분된다. 위쪽인 심방에는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액이 들어와 아래쪽인 심실로 내려가서 심장 밖으로 나간다. 우심방은 심장의 오른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대정맥과 하대정맥, 심장정맥굴이 들어가는 곳이다. 우심실은 심장 앞면의 대부분과 가로막면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우심방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유입되는 혈액은 수평면상에서 앞쪽으로 흐르게 된다. 좌심방은 뒤...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