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예배란 무엇인가2024.11.281. 예배에 대한 이해 1.1. 예배의 정의 및 의미 예배란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한 인간의 응답을 표현하는 마음가짐과 행위이다. 따라서 예배는 우리의 전 존재를 하나님께 굴복시키는 일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거룩함으로 우리의 양심을 깨우고, 그분의 진리로 우리의 마음을 살찌우며, 그분의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상상을 정화시킨다. 또한 그분의 사랑으로 우리의 심령을 활짝 여는 것이며, 그분의 목적에 우리의 의지를 내려놓는 것이다. 즉, 예배란 하나님께 최상의 가치를 돌리고 존경을 표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1.2. 예배의 목적 예배의...2024.11.28
-
복음주의 신학 하나님의 주권2024.10.241.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정의와 비교 1.1. 칼빈 1.1.1. 칼빈의 생애 칼빈은 프랑스의 도시 리용에서 태어났다. 마르스대학교에서 문법, 수사학, 라틴어를 배웠고, 몽테귀대학교로 옮겨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또한 파리로 유학을 가 인문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자신의 아버지의 희망에 따라 법률가가 되려하였으나, 아버지의 죽음 이 후 인문학과 신학에 몰두하였다. 갑작스럽게 회심을 경험한 칼빈은 자신이 속해있는 로마카톨릭교회의 행위나 교리가 미신에 가깝다는 것을 깨닫고, 로마카톨릭교회에서 프로테스탄트교회로 돌아섰다. ...2024.10.24
-
크리스챤 6주과정 성장 프로그램 만들기2024.09.211. 들어가는 말 현대 기독교교육 사상가를 살피면,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종래의 학교식 교실수업 체계에 의존한 교회학교 중심의 교육구조가 지닌 한계성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 공동체를 교육구조로 하는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신앙공동체 중심 교육이론이 등장했다. 복음주의 진영에서도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학교식 교실 수업형태에 기초한 주일 교회학교 중심의 교육구조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성경적 교회론에 기초한 새로운 기독교교육이론이 소개되었다. 그 대표적인 학자는 최근까지 많은 저서들을 내고 있는...2024.09.21
-
멘지스 선교사2024.11.241.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 1.1. 고종과 기독교 선교사 고종은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기독교 선교사들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고종은 한편으로는 기독교가 전통적인 유교 질서를 위협하는 '사교(邪敎)'로 여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고종은 기독교를 엄격한 법적 제재의 대상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1888년 4월에는 기독교의 내지 전파를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선교사들의 포교 활동을 제한하...2024.11.24
-
기독교 기본진리 독후감 요약2024.09.211. 소개 이 책 '기독교의 기본 진리'는 영국의 저명한 복음주의 신학자 존 스토트 목사가 쓴 책으로, 기독교의 핵심 주제들을 체계적이고 신학적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기독교의 진리는 그리스도에 집중되어 있으며, 우리가 그리스도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책의 구조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는 '그리스도는 누구인가'라는 주제로, 그리스도 자신의 주장, 그의 인격, 그리고 부활을 다룬다. 둘째 부는 '인간의 상태'로, 죄의 실상과 성격, 죄의 결과를 설명한다. 셋째 부는 '그리스도가...2024.09.21
-
복음주의 미국 역사2025.06.041. 서론 복음주의는 역사상 가장 생명력 있는 기독교 운동이다. 복음주의자들은 엄청난 다양성 속에서도 부유함을 지닌 사람들이다. 또한 복음주의자들은 서로의 문화적 경계들을 넘어서는 소중한 가치를 많이 공유하고 있다. 복음주의는 일종의 운동으로 교회나 교파를 의미하지 않는다. 복음주의는 공동의 목표인 복음증거의 목적을 위해 함께 사역하는 기독교인의 연맹체이다. 따라서 복음주의자들 개인이나 전체를 통제하는 정해진 규칙이나 규율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복음주의 운동의 중심은 그 운동이 성장하거나 변화함에 따라 조금씩 이동한다. 그리고...202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