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배액관 관리방법2025.04.171. 배액관 개념 및 종류 1.1. 배액의 정의 및 목적 배액은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조각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회복에 불필요한 혈장, 핏물, 복수 등의 체액을 제거하여 체액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액된 체액을 관찰하고 상처치유를 증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배액관이 없으면 어떤 상처는 겉은 치유되지만 안에는 분비물이 고여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1] 1.2. 배액관 유형별 특징 1.2.1. 헤모백(Hemo-Vac drain) 헤모백(Hemo-Vac drain)은 통에...2025.04.17
-
배액관 관리 및 간호관리 총정리2025.06.021. 배액관의 종류와 특성 1.1. 개방성 배액관 (Penrose drain) Penrose drain은 수술 부위에서 생성되는 장액성 분비물과 혈액, 농 등을 체외로 배출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배액관이다. 이는 부드럽게 접히는 고무 재질의 얇은 관으로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모세관 현상과 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을 배출하며, 방사선 비투과성 선을 가지고 있어 체내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개방성 배액관의 경우 삼출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배액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삽입 부위를 베타딘으로 소독하고 거즈로 ...2025.06.02
-
SOAP기록2025.06.151. 서론 자궁근종은 전체 여성 인구 중 20~40%에 달하는 매우 일반적인 질환이다. 자궁근종은 일반적으로 35세 이상 여성에게 잘 발생하며, 특히 30-50대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매우 흔한 질병이지만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간과되기 쉽다. 그러나 자궁근종의 악화를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과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궁근종 환자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자궁근종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및 간호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