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중앙대 한국사2024.10.18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1.1. 반민특위의 등장배경 1945년 8월 15일 광복, 우리 민족은 고통스러운 일제의 지배를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권리를 되찾았다. 해방 후, 자주적인 정부의 수립은 우리 민족의 최우선적인 과제였다. 그에 따라, 친일파 청산은 한반도의 필연적 과제로 대두되었고 당시 사회에서는 그를 위한 움직임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움직임도 잠시, 다시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본의 빈자리를 미국이 차지한 것이다.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이었다. 또...2024.10.18
-
고려 거란 대외 관계사2024.10.181. 고려의 대외관계와 고려-거란 전쟁 1.1. 10세기 동북아시아 정세 1.1.1. 거란의 등장과 발해 정벌 북 중국에서는 거란의 추장 야율아보기가 916년에 만주 일대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거란을 세웠다. 거란 태조는 서방 경략을 일단락 지은 후 발해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발해는 요주를 공격하여 자사를 살해하고 주민을 빼앗아감으로써 거란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이에 거란 태조는 서방 경략에 나선 군대를 회군시킨 925년 12월에 발해 정벌의 조서를 내렸다. 거란군은 발해의 부여성을 함락, 수도 홀한성을 포위하자 발해가 항...2024.10.18
-
초등 5학년, 역사 인물 정약용 지도안2024.10.111. 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화와 교류 1.1. 통일신라의 문화 1.1.1. 국학과 독서출신과 국학은 당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신문왕 2년(682)에 설치한 예부 소속의 국립 교육 기관이었다. 당시 개혁의 주도 세력이었던 김춘추는 진덕왕 2년(648) 당나라를 방문하여 당태종에게 특별히 부탁하여 당나라 국학의 석전(釋奠) 의식과 강론을 참관한 적이 있었다. 이때 국학 설치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을 것이다. 이후 신문왕이 즉위하자마자 최대 과제였던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국학을 설치하였다. 국학에서는 유학 경전을 위주로 하되 잡학...2024.10.11
-
예시예종2024.10.081. 머리말 단청은 목조건축에 채색하여 장식한 것을 말한다. 단청은 회화에서 출발하였지만 단청이 칠해지는 곳이 건축 부재라는 점에서 단청 연구는 건축사와 미술사를 아우르고 있다. 한국건축역사의 연구의 대상 시기가 실물 유구가 많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은 단청의 연구에서도 동일하다. 특히 고려의 건축은 이전 삼국시대나, 중국과 달리 고려만의 개성이 뚜렷한 형태를 갖추었다. 고려시대의 건축문화는 한층 성숙되고 차별화된, 한국의 미를 함유한 방향으로 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시대의 건축은 한국건축사의 가장...2024.10.08
-
한국사 요약정리2024.11.111. 선사 문화와 고대 국가의 형성 1.1.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는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인류가 뗀석기를 사용하며 생활했던 시기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주먹도끼, 찍개 등의 다양한 뗀석기와 뼈나 뿔로 만든 도구를 사용했다.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열매 채집, 짐승 사냥 등을 통해 생활했으며,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임시로 막집을 지어 살았다. 충청남도 공주의 석장리, 충북 단양의 금굴 등에서 구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에 농경과 목축...2024.11.11
-
버선과 동양화2024.09.081. 한국 복식의 역사와 특징 1.1. 원시시대 ~ 삼국시대 1.1.1. 고구려 복식 고구려의 복식은 평양 부근과 통구평야 지대에서 발견된 고분 벽화를 통해 알 수 있다. 고구려 사람들은 머리에 관모를 썼는데, 남자들은 건, 책, 절풍, 입, 변 등을 썼고 여자들은 건귀를 썼다. 북방계 유목민이었던 고구려 사람들은 이미 신석기 시대부터 추위를 피하거나 햇빛을 가리기 위해 관모를 쓰는 풍습이 있었다. 두루마기는 바지, 저고리 위에 덧입는 겉옷으로, 삼한시대 이래 왕에서부터 평민까지 입었다. 고구려의 두루마기는 기본형이 곧은 깃...2024.09.08
-
조선대학교 동아시아문명과미술2025.06.041. 조선대학교 동아시아문명과미술 1.1. 중국의 동북공정 서론 중국의 동북공정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의 줄임말이다. 우리말로 풀어 해석하면 동북 변경지역의 역사와 현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공정이다. 2001년 6월, 동북공정에 대한 연구를 계획한 이후 8개월 동안의 과정을 거쳐 다음해 2월 18일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공식적으로 동북공정을 추진하였다. 중국 사회과학원과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등 동북3성의 성 위원회가 연합하여 이 지역들이 옛날부터 중국의 영토임을 입증하기 위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우리...2025.06.04
-
발해문화의 특징과 고구려 문화 계승의 근거2025.07.291. 서론 발해는 고구려 유민 출신 대조영이 이끈 부대가 당군을 격파하고 698년에 동모산에서 건국한 나라이다. 발해는 만주를 중심으로 연해주까지 포함한 거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었으며, 신라-남국, 발해-북국이라 불리는 남북국 시대를 열었다. 발해의 역사는 한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발해는 고구려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문화를 계승하며 발전한 나라로, 이후 고려에 고구려 문화의식을 전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은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삭제하고 이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을...202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