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식물세포의 구조와 기능2025.03.121.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와 기능 1.1. 동물세포의 구조와 기능 동물세포는 핵 속에 유전물질이 있어 유전자의 발현이 일어나며, 인지질 2중층으로 구성된 세포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가 있어 ATP를 합성할 수 있고, 리소좀이 존재하며 중심체가 존재한다. 리소좀은 동물세포에만 존재하는 소기관이다. 리소좀은 골지체의 한 부분이 떨어져 나오면서 형성되었으며, 단일막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적혈구 세포를 제외한 동물세포에서만 관찰된다. 리소좀은 소화효소를 가지고 있어 세포 밖에서 들어온 물질들을 분해하거나 손상된 ...2025.03.12
-
TCA회로 8단계2025.03.251. TCA회로 8단계 TCA회로는 총 8단계의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아세틸 CoA가 옥살로아세테이트와 결합하여 시트르산을 형성한다. 이후 시트르산은 연속된 7개의 반응을 통해 산화되어 최종적으로 옥살로아세테이트로 재생산된다. 이 과정에서 2개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며, 3분자의 NADH, 1분자의 FADH2 및 1분자의 GTP가 생성된다. TCA회로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2탄소의 아세틸기와 4탄소의 옥살로아세테이트가 축합반응을 거쳐 6탄소의 시트르산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시트르산합성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두 번째 ...2025.03.25
-
TCA회로 8단계 요약2025.03.251. TCA회로 8단계 요약 1.1. 해당과정 포도당은 세포 안으로 들어온 후 세포질에서 해당과정을 시작한다. 해당과정은 글루코오스가 삼탄당인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해당과정의 전반부는 2분자의 ATP를 사용하여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을 생성하는 과정이며, 후반부는 이 물질이 2분자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면서 각각 2분자의 ATP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해당과정을 거치면서 1분자의 포도당은 2분자의 피루브산과 2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이때 1분자의 포도당이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면서 2분자의 NADH도...2025.03.25
-
생화학 해당과정2024.10.191. 해당과정의 중요성 1.1. 해당과정 10단계 요약 해당과정 10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도당이 헥소키나아제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인산화된다. 둘째, 포도당 6-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타아제에 의해 과당 6-인산으로 변환된다. 셋째, 과당 6-인산은 포스포프룩토키나아제-1에 의해 과당 1,6-이중인산으로 인산화된다. 넷째, 과당 1,6-이중인산은 알돌라아제에 의해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인산과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 분해된다. 다섯째,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인산은 삼탄당인산 이성질화효소에 의해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 ...2024.10.19
-
레닌저 생화학 19장 산화 인산화 요약2024.12.171. 산화 인산화 1.1. 왕복 통로 1.1.1. 말산아스파트르산 셔틀 말산아스파트르산 셔틀은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NADH가 직접 복합체 I로 전달되지 못할 때, NADH의 전자를 복합체 III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간, 콩팥, 심장 등의 세포에서 주로 관찰되는 말산아스파트르산 셔틀은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NADH가 복합체 I로 직접 전달되지 못할 때 NADH의 전자를 복합체 III로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포질의 NADH는 미토콘드리아 막 사이공간으로 말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운반된다. ...2024.12.17
-
공생설2024.10.151. 생명의 기원 및 진화 1.1. 생명체의 기원 1.1.1. 자연 발생설 자연 발생설은 생명체가 무생물로부터 스스로 생겨났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많은 과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고자 노력했다. 대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명체가 물과 흙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이후 중세 유럽에서도 자연 발생설이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생쥐가 더러운 천에서 스스로 생겨나거나 썩은 고기에서 구더기가 생겨난다고 믿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과학 지식이 발달하면서 자연 발생설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2024.10.15
-
바르부르크2025.06.041. 서론 생명과학2 시간에 암의 물질대사 기전인 바르부르크 효과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암세포의 대사 과정과 미토콘드리아와의 관련성, 더 나아가 암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역 바르부르크 효과'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종양 가소성의 개념과 그 종류를 살펴보고, 종양 가소성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항암 치료법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 바르부르크 효과 2.1. 바르부르크 효과의 정의 및 특징 바르부르크 효과(Warburg effect...2025.06.04
-
바르부르크2025.05.261. 서론 생명과학2 시간에 미토콘드리아의 물질대사 과정과 TCA 회로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우연히 미토콘드리아의 물질대사가 암 세포의 활성화와 관련되어있다는 '바르부르크 효과'를 알게 되어 탐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바르부르크 효과를 통해 암 세포 내 물질대사 기전을 탐구하고, 역 바르부르크 효과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바르부르크 효과의 이해 2.1. 바르부르크 효과의 개념과 특징 바르부르크 효과는 암조직을 판단하는 에너지 대사 작용으로, 암세포가 정상적인 세포호흡 과정이 아닌 해당과정에 의존...2025.05.26
-
테트라졸리움2025.05.211. 테트라졸리움 소개 1.1. MTT assay (WST-8 assay) 서론 Tetrazolium은 dehydrogenase 등의 효소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유색의 formazan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MTT tetrazolium은 노란색 수용성 기질로,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reductase에 의해 환원되어 청자색을 띠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이라고 불리는 crystal을 형성한다. 따라서 세포사멸에 의해 미토콘드리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MTT를 처리해도 formazan을 형성하...2025.05.21
-
바르부르크2025.05.221. 서론 서론 암은 질병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질병이다. 암이 발생하면 일반적인 치료법인 수술, 방사선 요법, 항암제 투여 등을 통해 치료를 하지만, 완치율이 낮고 재발률이 높다. 이에 따라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가 주변 세포와 물질을 변화시켜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드는 '종양 가소성'이 암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종양 가소성에 대한 이해와 이를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종양 가소성의 기전을 살펴...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