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8개
-
수술실실습일지2024.10.251. 수술실 실습 개요 1.1. 수술실 구조와 역할 수술실은 수술실, 소독 및 세척실, 회복실, 당직실, 의사 갱의실, 간호사 갱의실, 오물처리실, 소독 물품 보관실, 마취과 준비실, 마취과장실, 물품 보관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실은 수술이 진행되는 곳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수술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수술실에는 3번방, 5번방, 7번방, 8번방, 9번방, 10번방, 11번방, 12번방, 응급수술방이 있으며, 6번방은 마취과 준비실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수술을 위한 여러 개의 수술방이 수술실에 마련되어 있다. ...2024.10.25
-
orif screw 종류와 기능2025.07.131. ORIF 수술 소개 ORIF 수술은 개방정복 및 내부고정술이라고 불리며, 골절된 뼈를 올바른 위치로 정복하고 금속판, 나사 등의 내부 고정물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골절된 뼈의 정상적인 배열을 유지하고 조기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기능의 조기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ORIF 수술은 골절이 심각하여 뼈의 위치가 상당히 어긋난 경우, 관절 표면이 파열되어 관절이 포함된 골절이 생긴 경우, 비수술적인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가능성이 보이거나 실제로 비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회복되지 않은 경우, 골절 주위...2025.07.13
-
피하주사 핵심간호술2025.07.241. 피하주사 핵심간호술 1.1. 투약의 기본원칙 투약의 기본원칙이다. 정확한 약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약물을 투여하기 전, 중, 후 세 번에 걸쳐 약의 종류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처방된 정확한 용량을 투여해야 하며, 투약 시간과 투약 경로가 정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투약의 기본원칙을 준수함으로써 투약오류를 예방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 처방된 약물을 정확히 확인하고, 용량 계산을 정확히 하며, 투약 시간과 경로를 지켜 ...2025.07.24
-
혈관카테터 감염관리2025.07.231. 서론 혈관카테터는 현대 의료에서 중요한 치료방법이 되었다. 이를 위해 카테터를 삽입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액요법 뿐만 아니라 진단 및 관찰의 목적으로 혈관내 카테터를 삽입하고 있다. 의료관련감염증 중 원발성 혈관감염은 대부분 혈관내 카테터와 연관되어 발생한다.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은 Neutropenia 환자, TPN 사용 환자에게 취약하며, 환자의 재원 기간과 카테터 사용 시간, 삽입부위 및 카테터의 미생물 집락 등이 위험요인이다. 카테터 삽입 시 무균법 시행과 삽입한 카테터의 적절한 관리는 카테터 관련 혈...2025.07.23
-
외과적 방포 종류2024.09.211. 수술실 환경관리 1.1. 수술실 환경 유지 수술실 환경은 수술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수술실 환경 유지를 위해서는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수술실의 온도는 20~24°C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온도 범위는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고 외과 환자의 대사율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습도는 40~60%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박테리아의 성장을 낮추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수술실의 천장과 벽은 구멍이 없는 매끈한 내화 재질로 되어 있어 항균제로 쉽게...2024.09.21
-
감염위험성2025.08.061. 서론 감염은 병원성 미생물이 조직, 체액, 표면에 정착하여 증식하는 상태이다. 감염은 전신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의료 환경에서 발생하는 감염은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의료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위험성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간호 중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감염 위험성 2.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은 환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2025.08.06
-
카테터관리2025.08.081. 카테터 관리 1.1. 목적 및 정의 수액요법은 현대 의료의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이를 위해 카테터를 삽입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액요법 뿐만 아니라 진단 및 관찰의 목적으로 혈관내 카테터를 삽입하고 있다. 의료관련감염증 중 원발성 혈관감염은(다른 부위의 감염과 관련 없는 균혈증)의 대부분은 혈관내 카테터와 연관되어 발생한다.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은 Neutropenia 환자, TPN 사용 환자에 취약하여 환자의 재원 기간와 카테터 사용 시간, 삽입부위 및 카테터의 미생물 집락 등이 위험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5.08.08
-
감염 표지판2025.08.111. 감염 관리 지침서 개요 1.1. 감염 관리 프로그램 및 위원회 감염 관리 프로그램 및 위원회는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000병원은 감염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염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감염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감염관리 체계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근거에 기반한 자체 규정을 제정 및 개정하고 있다. 또한 감염관리위원회를 운영하여 감염 관리에 대한 대책 수립 및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감염관리실은 감염 감시와 모...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