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3개
-
마취약물 안전관리활동2024.11.301. 수술실 환경 및 안전관리 1.1. 수술실 환경관리 1.1.1. 양압관리 수술실 내부는 주위 공기보다 양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양압관리를 통해 수술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어 무균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수술실 출입문 주변의 양압밸브를 활용하여 양압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정기적인 헤파필터 교체 후 양압 체크를 실시해야 한다. 시설팀의 관리 지침에 따라 양압 점검 일정을 수립하여 준수한다. 이를 통해 수술실 내부의 공기압력을 주위보다 높게 유지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 중 오염물질...2024.11.30
-
정형외과 수술후 재활2024.12.171. 서론 1.1. 문서 소개 이 문서는 정형외과 병동에서 시행하는 주요 특수 검사와 수술 전·후 간호, 근골격계 장치 적용 환자 간호, 정형외과 보조기, 재활 간호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주요 질환과 수술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이 문서는 정형외과 실습을 준비하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학습 자료로 제공되었다. 전체적인 학습 내용은 정형외과 병동 실습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실무 기술을 갖추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1.2. 목차 구성 '1.2. 목차 구성'은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2024.12.17
-
colostomy2024.11.241.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특성 나장루님은 74세의 여성으로, 3개월 전 ascending colon cancer를 진단받고 부분 상행결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상행결장루술을 시행한 후 퇴원한 상태이다. 입원 당시 최근 2주일 간 결장루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변에서 냄새가 심하며 가스가 많이 생기고 분변량이 늘어났다고 하였으며, 결장루가 자주 새어나와 사회생활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심한 우울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장루로 인하여 삶을 더 이상 살고 싶지 않다고 호소하였다. 나장루님은 3개월 전 ascending c...2024.11.24
-
수술실 장비2024.10.30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로, 멸균된 수술가운(sterile attire)을 입고 멸균영역(sterile)에서 활동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효과적으로 처리한다. 소독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맡은 수술에 대하여 미리 예정표를 보고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수술에 필요한 기구나 기계를 준비하고...2024.10.30
-
치과의감염관리2024.10.301. 감염 관리 1.1. 감염성 질환의 전파 단계 및 전파 유형 감염성 질환의 전파 단계 및 전파 유형은 일반적으로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한 후 숙주체내에 자리를 잡고 증식하여 숙주에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거나 항체를 만들어내는 등의 반응이 나타나는 과정을 말한다. 감염은 감염성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가 수용체(병원소-인간, 동물, 토양, 물 등)에 보균되어 있다가 병원소 혹은 숙주로부터 탈출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새로운 숙주에 침입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의 전파 단계는 병원체 → 병원소 →...2024.10.30
-
유치도뇨 감염위험성2024.10.211. 감염위험성을 동반한 유치도뇨관 간호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수집에서 대상자는 "줄에서 소변이 나오네요."라고 말하며 도뇨관 삽입에 대한 불편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지금 소변 잘 나와요?"라고 묻는 등 배뇨 상태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감염위험성에 대해 염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자는 도뇨관 유지에 따른 불편감과 감염 발생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2. 객관적 자료 수집 다음은 '1.1.2. 객관적 자료 수집'에...2024.10.21
-
오마하 간호진단2024.10.311. 대상자의 건강관리 문제 1.1. 영양 관련 문제 대상자의 영양 관련 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대상자는 BMI가 18.5 미만으로 저체중이며, 혈압이 150/90mmHg로 높고 혈당이 163mg/dl로 높은 상태이다. 이는 이상적인 식단을 섭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대상자는 아침식사를 자주 거르고, 점심으로 라면이나 빵과 같은 밀가루 음식을 주로 섭취하고 있다. 또한 배가 고파도 밥을 반 공기 정도만 섭취하는 등 전반적으로 부적절한 식단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올해 초 대장용종 제거 수술 이후...2024.10.31
-
투약사고 윤리적2024.11.03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투약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행위이다"" 한 과정에서라도 실수가 있다면, 바로 그 파장은 환자에게로 가고, 가볍게는 그냥 관찰 정도만 필요한 경우에서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인 자신도 윤리적, 법적인 책임을 지어야 한다"" 아무리 투약오류가 사소하더라도, 환자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투약오...2024.11.03
-
laparnscopic rt hemicolectomy 수술기구2025.06.031. 서론 대장암은 대장 내에 생성된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결장암과 직장암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대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흔한 암 종류이며,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대장암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된 요인으로는 연령, 식이 요인, 운동 부족, 비만,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대장암은 초기에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대장 내시경 검사가 대장암 예방에 중요하다. 대장암의 치료에는 수술, 항암 화학요...2025.06.03
-
감염관리지침서2025.06.081.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위원회 1.1. 감염관리 체계 0000 병원은 환자, 방문객, 직원의 의료기관 내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염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의료 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에 대한 자체 규정을 제정하고 개정한다. 감염관리위원회의 활동과 감염관리실의 업무를 통해 의료 관련 감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연간계획을 수립, 시행, 평가한다. 매년 위험도 사정을 통해 감염 전파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업무 계획과...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