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7개
-
간호미생물학 요점2024.09.01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미생물의 분류와 형태 미생물은 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생물체들이다. 이들은 크기, 모양, 구조, 생리적 특성 등에 따라 분류된다. 미생물은 주로 세균, 리케차, 클라미디아, 진균, 원생동물, 바이러스 등으로 구분된다. 세균은 가장 작은 생물체로 원핵세포(prokaryotic cell)의 구조를 가진다. 세균은 크기, 모양, 배열 관계, 염색 반응에 따라 알균, 막대균, 나선균 등으로 분류된다. 세균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람염색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2024.09.01
-
임상병리사 임상미생물학 총정리2024.12.181.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1.1. 간호정보수집양식 간호정보수집양식에 따르면 대상자 김OO 여성, 79세로 우측 대퇴골과 우측 손목의 골절로 입원하였다"이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체온 36.9℃, 맥박 72회/분, 호흡 20회/분, 혈압 120/70mmHg로 안정적이었다. 신체 계측 결과 신장 148cm, 체중 60kg으로 최근 1개월간 체중 변화는 없었다. 주호소는 우측 대퇴골과 우측 손목의 욱씬거리고 쑤시는 듯한 통증이었다. 대상자는 2018년 9월 25일 횡단보도를 건너던 중 오토바이에 부딪혀 우측 대퇴골과 우측 손목 골...2024.12.18
-
가와사키 간호진단2024.08.291. 서론 1.1. 가와사키병의 정의 가와사키병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이다. 이는 전신에 다양하게 침범하며, 피부나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위장관 장애, 담낭종대, 뇌수막 등의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혈관염이란 혈관벽의 염증을 의미하며, 주로 관상동맥에 동맥류를 유발할 수 있으나, 이 병을 가진 모든 어린이들이 동맥류로 발전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합병증없이 급성 증후들만 나타난다." 1.2. 가와사키병의 역사 가와사키병은 1967년...2024.08.29
-
바이러스학2024.08.281. 바이러스의 이해 1.1. 바이러스의 발견 바이러스의 발견은 1887년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미국의 식물병리학자 메이어(Adolf Mayer)는 담배 잎에 생긴 모자이크 무늬 병이 세균이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후 러시아의 이바노브스키(Dmitry Ivanovsky)가 메이어의 실험을 반복하여 세균을 거르는 필터로도 병이 전염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세균보다 작은 크기의 전염성을 지닌 새로운 형태의 감염원이 존재한다...2024.08.28
-
최신 병원미생물학 중간고사 대비 요점정리2024.09.24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병원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microbiology)은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에는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이 있다. 바이러스(virus)는 사람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가장 작으며, 숙주세포에 의존해야 증식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숙주범위는 사람, 동물, 식물, 세균 등으...2024.09.24
-
간호 미생물학2025.03.281. 간호 미생물학 개요 1.1. 미생물의 형태와 구조 1.1.1. 세균의 형태 세균은 크기가 매우 작아 대부분의 빛이 그대로 세균을 통과하므로 투명한 물체와 같다. 따라서 세균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염색을 한다. 세균의 형태는 크게 알균, 막대균, 나선균의 3가지로 구분된다. 알균은 세포의 형태가 둥근 모양인 것으로, 완전히 둥근 모양, 쌍알균, 란셋 모양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막대균은 세포의 형태가 막대 모양인 것으로, 균종에 따라 크기의 차이가 있다. 나선균은 세포의 형태가 가늘고 길며 구불구불한 것으로, 나선의...2025.03.28
-
가와사키 case2025.04.061. 서 론 가와사키 병(Kawasaki disease)은 소아에게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이다. 이 질병은 피부,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장 큰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류가 있다. 가와사키 병은 전형적인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증상들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 비전형적인 경우도 흔하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가와사키 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가와사키 병의 정의,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검사 등을 살펴...2025.04.06
-
가와사키 case2025.04.061. 서론 1.1. 가와사키 병의 정의 가와사키 병은 주로 아동에게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피부, 점막, 림프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가장 큰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류가 있다. 1.2. 가와사키 병의 병태생리 가와사키 병은 중간 크기의 혈관을 주로 침범하는 질환으로,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 세포에서 염증과 부종이 생긴다. 이로 인해 혈관이 늘어지며 약해지고, 관상동맥 역시 영향을 받는다. 관상동맥류는 발병 후 7일째 발생하며, 동맥류가 발생한 ...2025.04.06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초간호과학2025.04.031. 서론 1.1. 염증의 개념과 특성 염증은 조직 내의 부상, 감염, 자극 등에 대한 생체반응의 일종이며, 면역세포, 혈관, 염증 매개체들이 관여하는 보호반응이다. 염증은 몸의 방어 체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생체가 병원체와 외부 자극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지속적인 염증이 발생한다면 만성적인 질병을 유발하고 조직 손상과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염증은 생체가 자신을 보호하고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생리적 반응이다. 1.2.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차이 급성염증은 갑작스러운 조직 손상에 대한 첫 번째 반...2025.04.03
-
숙주방어기전과 방어2025.03.061. 서론 감염과 발증을 일으키는 능력을 미생물 측면에서 보면 병원성으로 표현되지만, 숙주 측면에서 보면 감수성으로 표현된다. 감수성은 숙주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 영양 부족, 순환 장애, 알코올 중독 등 여러 가지 생리적 조건에 따라 변동된다. 이 외에도 유전 배경, 성별, 연령 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정상적인 생체는 병원체가 조직 내로 침입하는데 저항성 또는 숙주 방어기전을 나타낸다. 2. 숙주 방어기전 2.1. 비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2.1.1. 물리적 방어 기구 피부는 두꺼울 뿐만 아니라 피부 분비물을 살균작용을 함으...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