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0개
-
우리나라 호스피스 의료의 역사2024.10.221. 서론 16년 전, 외할아버지를 폐암으로 잃었을 때 호스피스가 지금처럼 친숙하지 않던 시절이었기에 할아버지 집에서 조용히 죽음을 맞이하셨다. 이를 계기로 주변 내 소중한 사람들, 나, 내가 돌볼 대상자들이 맞이하게 될 죽음에 대해 공부해 보고자 한다. 임종간호와 호스피스의 문화가 많이 발달해왔지만, 자료가 많이 미흡하고 더욱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임종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두려움이 있었는데, 보고서를 작성하다보니 임상에서 임종간호를 해야 할 때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다. 2. 호스피스의 이해 2.1. 호스피스의 정의와...2024.10.22
-
안락사토론2025.04.031. 서론 1.1. 안락사의 배경과 주제 선정 이유 현대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점점 늘어났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치료가 불가능했던 질병들도 현재는 치료가 가능해졌고, 인공호흡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에게 삶의 연장이 과연 윤리적으로 옳은 것인지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해 숙고해야 하는 상황을 야기했다. 더불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환자와 단순히 삶을 연장하고 있는 환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생명은 본질적으로 소중한 가치이지만, 치료 불가능한 말기 환자가 발달한 ...2025.04.03
-
죽음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불안 간호진단2024.10.131. 호스피스 간호 1.1. 호스피스 정의 및 유래 호스피스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어원인 Hospice 또는 Hospitum으로부터 기원되었는데 주인과 손님이 서로 돌보고 손님에게 편안한 장소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세기에는 성지 예루살렘으로 가는 순례자나 여행자가 하룻밤 쉬어가던 휴식처를 호스피스라 하였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오늘날에는 호스피스의 개념이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가는 여행자에게 문이 열려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호스피스 간호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2024.10.13
-
호스피스간호 보고서2024.10.03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법적 근거 1.1. 정의 및 간호사의 역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간호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말기 환자의 고통을 경감 및 해소하기 위하여 완화적, 지지적 호스피스를 제공하거나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는 '적절한 임상경험이 있으며, 임상수련을 포함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교육을 이수한 간호사'를 지칭하며, 말기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간호 영역에서 실무, 교육 및 상담 업무를 담당하는 간호사이다.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는 죽음이란 삶의 ...2024.10.03
-
일본 호스피스2024.09.301. 호스피스의 발달과정 1.1.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 1.1.1. 고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여행자들이 제우스신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고, 관습상 그들에게 식사대접 및 옷과 여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여행자에 대한 보살핌이 환자에 대한 보살핌으로 발전하여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는 에스쿨라피아(aesculapia)라는 치료의 성역이 사원 주위에 생겼다. 로마 후기와 초대 교회 시대에는 복합적인 사회적 ? 인도적 서비스의 일부로서 순례자들을 보호해 주는 제노도키아(xenodochia)라는 숙박소가 있었다. 그리스도교가 번성...2024.09.30
-
임종간호보고서2024.09.271.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 1.1. 임종의 개념과 대상자의 심리적 반응 임종이란 "장사將死", 즉 "죽음에 임해서", "사망하기 바로 전에"라는 뜻을 가진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종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첫째는 죽음을 앞둔 부모의 손발을 잡고 숨이 끊어지는 것을 지켜보는 의식이며, 둘째는 첫째 의미가 일반화된 것으로, "숨을 거둔다"는 뜻이다. 임종에 대한 태도는 종교적, 사회문화적, 개인의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임종을 맞이하는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정서는 공포이다. 이 공포는 육체적 고통에 대한 공포, 사랑하...2024.09.27
-
안락사 법적문제2024.09.281. 안락사의 개념 1.1. 안락사의 정의 '안락사'(安樂死)로 흔히 번역되는 영단어 "euthanasia"는 그리스어로 직역하면 "아름다운 죽음"이란 뜻이다. 현대의 "유타나시아"는 원어의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 불치의 중병에 걸린 등의 이유로 치료 및 생명 유지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생물에 대하여 직·간접적 방법으로 생물을 고통 없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인위적인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안락사는 회복될 가능성 없이 의미 없는 삶을 연장하는 환자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죽음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2024.09.28
-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생각2024.10.051.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이해 1.1.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생명체로서 경험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죽음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관점에서의 사망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과 철학적 차원에서 깊이 있게 고려되어야 할 주제이다. 죽음의 사전적 정의는 '생명활동이 정지되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생물의 상태로서 생(生)의 종말'이다. 과거에는 죽음을 주로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지만, 시대가 변화하면서 인공생명유지장치를 이용한 생명연장, 안락사, 뇌사와 장기이식 등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2024.10.05
-
생애말기환자관리2024.09.20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념 및 현황 1.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념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에 대한 완치적 목적의 치료가 아닌, 삶의 질에 목적을 둔 총체적 치료와 돌봄"이다. '호스피스(hospice)'는 임종을 앞둔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심리적·영적 안정을 지원하는 기부와 자원봉사 성격의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보다 확장된 '완화의료(palliative care)'개념을 제시하였는데, 완화의료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과 관련한 문제에 직면한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 예방과 완화를 ...2024.09.20
-
말기환자 관리와 간호 교육2024.09.201. 생애 말기환자 관리 1.1.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이란 암 또는 만성 질환의 말기 상태로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명의 의사에 의해 생존 기간이 6개월 이하로 예상된 환자를 말한다. 이들은 심폐소생술거부확인서를 작성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가 완화 진료에 대해 동의하여 완화 진료에 의뢰된다. 또한 기대여명을 예측할 수 없더라도 질병의 진행으로 인한 통증 및 증상 완화가 필요한 환자도 포함된다. 이러한 생애 말기환자들은 암 또는 만성 질환으로 인해 더 이상 적극적인 의학적 치료의 대상이 되지...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