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이중열교환2025.03.151. 서론 1.1. 이중관 열교환기의 이해 이중관 열교환기는 지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심관으로 구성된 표면식(격벽식) 열교환기이다. 내부의 작은 관과 두 관 사이의 환형 공간에 각각 다른 유체가 흐르며, 두 유체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열이 교환된다. 이중관 열교환기는 전열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이 증가하므로 열이 전달되는 표면적이 열교환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중관 열교환기의 유체 흐름 방향에 따라 병류와 향류로 구분할 수 있다. 병류 흐름에서는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가 열교환기 내 같은 방향으로 흐르며, 초...2025.03.15
-
인천대 파이프2024.11.011. 관내 유동마찰 실험 1.1. 실험개요 및 목적 관내 유동마찰 실험의 실험개요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이 실험의 목적은 저수조의 물을 펌프로 고수조에 끌어올려 그 유량을 관내에 흐르게 하여 직관에서 나타나는 주손실의 마찰계수를 구하고, 곡관, T관, 급축소-급확대관에서 나타나는 부손실의 비례상수 K를 구하며, 벤츄리와 오르피스, 노출관 등을 이용하여 토출계수를 구하여 관을 통하면서 얼마나 손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험을 통해 연속방정식, 베르누이방정식과 유체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2024.11.01
-
울산대 전공실험 22024.09.281. 열전달 실험 1.1. 열전도 직렬원통 벽의 온도분포 및 열전도계수 측정 열전도 직렬원통 벽의 온도분포 및 열전도계수 측정 실험은 고체 시편에 대한 열전도계수를 계산하고, 접촉면에서의 열접촉저항과 열접촉 컨덕턴스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가열부와 냉각부 사이의 직렬 원통벽에 대해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열전도계수와 접촉면의 열접촉저항을 계산하였다. 실험에서는 원통형 시편에 온도계를 부착하여 정상상태에서 거리별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가열기 온도를 90℃로 유지하고 냉각수 유량을 0.8 L/min으로 일...2024.09.28
-
화공유체역학2024.11.141. 공기 공급관 설계 1.1. 이론 압축기 설계의 이점 1.1.1. 원하는 유량 공급으로 레이놀즈수 조절 압축기 설계 시 원하는 유량을 공급해 주면 유체의 레이놀즈수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이놀즈수는 유체운동에서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로 정의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ρvD / μ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 v는 유속, D는 관경, μ는 점성계수이다.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흐름 양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무차원 변수로서, 레이놀즈수가 작은 경우 층류, 레이놀즈수가 큰 경우 난류 흐름이 나타난다. 난류 흐름에서...2024.11.14
-
생태수리학2024.10.141. 벤츄리미터 실험 1.1. 실험 개요 벤츄리미터 실험의 실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벤츄리미터 실험은 유량계의 일종인 벤츄리미터를 이용하여 유량 및 유량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벤츄리미터는 특정한 형상을 가진 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유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실험에서는 벤츄리미터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변화와 유량을 측정하여 유량계수와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한 이론 유량을 계산한다. 실제 유량과 이론 유량의 비교를 통해 유량계수를 도출하고, 거리-압력수두 관계 및 실제 유량-유량계수 관...2024.10.14
-
단국대 화공기초실험2024.10.041. 종말 속도 측정 1.1. 종말 속도의 정의 종말 속도는 낙하물체가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낙하하게 되는 속도를 의미한다. 즉, 낙하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부력, 항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는 속도를 말한다. 이는 입자의 침강 속도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이며, 여러 공업적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종말 속도는 정지한 유체 내에서 입자의 침강 속도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며, 이는 곡식의 가공, 광물채취, 충전층 반응기, 석유 시추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액체의 점성을 측정하거나 냉각제로부터 금속 ...2024.10.04
-
항공우주학개론2024.10.251. 에어포일의 명칭과 구조 1.1. 에어포일의 각 부분 명칭 에어포일은 비행기 날개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칭하며, 날개 단면이라고도 한다. 에어포일의 윗면을 윗면, 아랫면을 아랫면이라고 하며, 에어포일의 둥근 앞부분을 앞전, 에어포일의 귀 끝 부분을 뒷전이라고 한다. 보통 뒷전은 날카롭게 되어 있다. 에어포일의 앞전은 뒷전에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점으로 정의되며, 이 앞전과 뒷전을 연결한 선을 시위라 하고, 앞전에서 뒷전까지의 거리를 시위 길이라 한다. 윗면과 아랫면의 높이 차이 또는 윗면과 아랫면에 내접하는 원을 그렸을 ...2024.10.25
-
레이놀즈수 실험2024.11.29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실제 유체의 유동은 점성에 의한 마찰로 인해 이상유체의 유동보다 대단히 복잡하다. (점성의 영향은 유동을 방해한다.) 점성 유동은 층류와 난류로 구분된다. 본 실험은 파이프안 유체의 유동 상태와 레이놀즈수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층류와 난류의 개념을 이해하며, 레이놀즈수를 계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2. 실험 이론 1.2.1. 레이놀즈수 레이놀즈수는 물체를 지나는 유체의 흐름 또는 유로 속에서의 유체흐름의 관성력(관성저항)과 점성력의 크기의 비를 알아보는 데 있어서 지표가 되는 무...2024.11.29
-
레이놀즈수 측정 실험 보고서2024.10.15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실제 유체의 유동이 점성유동으로 이상유체의 비점성유동보다 복잡하고 문제해결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레이놀즈 실험을 통해 저수조의 수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관내의 유체의 유동상태와 레이놀즈수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층류와 난류의 개념을 이해하며, 임계 레이놀즈수를 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실험 이론 2.1. 실험 기초 이론 유체란 액체, 기체, 증기 등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다. 유체는 고체와 달리 그 형태가 쉽게 변화되며 일정량의 유체의 모양을 변형시키려고 하면 유체의 얇은 층이 다른 층을 미끄...2024.10.15
-
항공우주학개론2024.10.211. 계기착륙장치 1.1.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ILS(Instrument Landing System)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공항에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장치이다. ILS는 글라이드 슬롭, 로컬라이저 및 마커 비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항 활주로 주변 및 접근 경로에 설치되어 전파를 발산한다. 비행기는 이 전파를 통해 자동으로 고도 및 위치를 잡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ILS의 유사한 형태는 1930년대 후반에 등장했으며, 1947년 ICAO에서 활주로 접근 및 착륙 유도용 국제 표...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