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Pbl정상임신2024.11.041. 임신성 고혈압 1.1. 정의 및 분류기준 PIH(Pregnancy-Induced Hypertension)는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으로 혈압이 140/90 mmHg 이상 증가한 경우를 말한다. 정상 혈압이었던 임부가 임신 기간 중 고혈압이 발생한 것이다. PIH의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한 자간전증은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거나 혈압이 30/15 mmHg 이상 증가한 경우이다. 둘째, 중증 자간전증은 혈압이 160/110 mmHg 이상이거나 혈압이 60/30 mmHg 이상 증가한 경우이다. 셋째, 자...2024.11.04
-
임신성고혈압케이스2024.09.23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와 특징 1.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중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 중 가장 흔하며 초산모의 약 6~29%, 다분만부의 2~4%를 차지하고 다태임신의 경우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증가한다. 임신성 고혈압은 주로 만삭에 발생하며, 일반적인 임신의 경과는 나쁘지 않...2024.09.23
-
U-Tap2 진단2024.11.011. 진단보고서 1.1. 일반적인 정보 성명(성별)은 김 ○○(男)이며, 생년월일은 2002년 04월 23일(만 13세 3개월)입니다. 장애유형은 지적장애로 인한 조음장애이며, 치료사가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기간은 2015년 7월 2일 ~ 작성일자입니다. 1.2.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어머니의 보고에 의하면 가족관계는 어머니, 아버지, 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양육자는 어머니라고 한다. 아동은 출산 시 몸무게는 2.94kg 으로, 제왕절개로 태어났다고 한다. 어머니의 출산 전·중·후에 약물복용이나 질병은 없었다고 한다. 아동은...2024.11.01
-
SAH문헌고찰2024.11.201. 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1.1. 정의 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은 대개 뇌동맥의 파열에 의해 발생한 출혈이 연질막과 지주막 사이의 지주막하 공간으로 CSF의 경로를 따라 확산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다. 종류로는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과 두 개내 동맥류, 뇌정맥 기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이 있다. 1.2. 원인 1.2.1. 뇌동맥류 파열 뇌동맥류 파열은 지주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뇌동맥류는 혈관...2024.11.20
-
성인간호실습 뇌수막종 케이스스터디2024.11.23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뇌수막종의 정의 및 병태생리 뇌수막종(Meningioma)은 뇌막(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대부분이 양성 종양이다. 뇌수막종은 뇌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이며, 전체 원발성 뇌종양의 약 15-25%를 차지한다. 뇌수막종은 서서히 자라는 특징이 있어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진단 시점에는 이미 상당한 크기로 자라있는 경우가 많다. 뇌수막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호르몬 요인, 방사선 조사 등...2024.11.23
-
새집증후군2024.10.161. 새집증후군 개요 1.1. 새집증후군의 개념 '새집증후군'이란 집안의 건축자재나 가구, 생활용품에서 나오는 유해 화학물질의 농도가 건강을 해칠 정도로 높은 집을 말한다. 즉, 새로 지은 집에서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이 많이 나와 입주자가 피부염 등 각종 질환에 시달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석유화학문명이 만들어낸 환경공해병으로, 미국에서는 이미 1980년대, 일본에서도 1990년대부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왔다. 새 집일수록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각종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유독성 화학물...2024.10.16
-
볼거리 간호진단2개2024.10.131. 바이러스성 수막염 1.1. 원인 무균성 수막염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성 수막염(viral meningitis)의 주요 원인균은 장바이러스(enterovirus),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그리고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이다." 원인균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광범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장바이러스나 볼거리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2024.10.13
-
전자간증 진단2024.10.081. 중증 전자간증(Severe Preeclampsia) 사례 연구 1.1. 중증 전자간증의 정의 및 원인 중증 전자간증(Severe Preeclampsia)은 임신과 관련된 고혈압성 질환으로, 임신 20주 이후에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혈압과 더불어 단백뇨, 혈소판 감소, 간 기능 저하, 신장 기능 악화, 폐 부종, 두통, 시력 저하 등의 동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중증 전자간증의 주요 특징이다. 중증 전자간증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혈관 변화가 주된 원인으로 알...2024.10.08
-
쯔쯔가무시 보건교육2024.09.301. 쯔쯔가무시병 1.1. 정의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티푸스, 덤불티푸스, 초원열, 잡목열 등으로도 불리는 발열성 질환이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그 미생물이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리케차(Rickettsiae)는 세포 내에 기생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미생물로 세균보다 약간 작고, 막대 모양 또는 알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리케차 감염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쯔쯔가무시병도 그 중 하나이다." 1.2....2024.09.30
-
외상성 경막하 혈종 간호과정2025.07.021. 서론 외상성 경막하 혈종은 대부분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으로 뇌와 경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외부의 충격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젊은 사람의 경우 교통사고, 무리한 운동, 폭행 등이 있으며, 노인의 경우 낙상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고, 장기간 다량의 음주를 즐기는 경우 그 위험도가 증가한다. 경막하 혈종은 임상적 징후가 나타나는 시기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증상...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