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신생아 사정 정상소견2024.09.301. 신생아 신체사정 1.1. 일반적 특성 신생아는 신체적·생리적 특성이 성인과 매우 다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는 태어난 지 4주 미만의 영아로, 출생 후 생리적 변화와 적응을 겪게 된다. 신생아는 체온조절 능력이 약하고 각종 반사가 발달하는 시기이다. 또한 신생아는 태내에서 이루어진 생리적 준비가 부족하여 선천성 기형이나 선천적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세심한 관찰과 평가가 필요하다. 출생 시 재태기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2024.09.30
-
구강해부학2024.10.021. 구강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가상의 절단면이다. 관상면(전두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수평면)의 4종류가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수평적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의 구조와 장기를 관찰하고...2024.10.02
-
신경외과 의학용어2024.10.251. 신경외과 의학용어 1.1. 구조 및 기능 cranium은 두개골을 의미한다. 두개골은 안뇌와 외뇌를 보호하는 골격으로, 안뇌를 이루는 두골(두개골)은 관골, 측두골, 접형골, 이하악골, 비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뇌를 이루는 두골(두개골)은 전두골, 두정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골은 이들 두골들이 융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meninges는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막을 의미한다.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이 막은 세 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깥쪽부터 경막(dura mater), 지주막(a...2024.10.25
-
신생아신체사정2025.05.061. 신생아 신체사정 1.1. 일반적인 신체계측 신생아의 신체계측 항목은 매우 중요하다. 출생 직후 측정한 신체 계측 수치는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성장 및 발달을 모니터링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첫째, 신생아의 평균 머리둘레는 33~35.5cm(13~14인치)이다. 다만 질분만 과정에서 두개골의 변형이 생길 수 있어 출생 직후에는 약간 작게 측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생후 2~3일이 지나면 정상적인 크기로 회복된다. 둘째, 평균 가슴둘레는 30.5cm~33cm(12~13인치)이며, 일반적으로 머리둘레보다 2~3cm...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