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4개
-
국제교류 환영사2024.10.051. 합비일중 교육 교류방문기 1.1. 출발 전 마음가짐 이번 합비일중(合肥一中) 교사방문단의 일원으로 방중(訪中)에 앞서 두 차례 회의하면서 교장 선생님으로부터 방문단원의 유의 사항과 당부 말씀을 들었다. 유의 사항으로는 첫째, 사적인 문제와 관련된 질문과 한중 간의 정치적 현안에 대해서는 되돌아보지 말라는 점, 둘째, 음주를 절제해 처신을 바르게 해 달라는 점이었다. 그리고 당부의 말씀으로는 방중 중에 항시 민간외교관의 한 사람이라는 점을 명심하여 언행을 삼가고, 방문 교 및 중국 현지를 견학하면서 본교와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2024.10.05
-
만주사변,정의2024.09.231. 만주국 건국과 일본 군부의 역할 1.1. 만주국의 역사적 전개 만주국의 역사적 전개는 다음과 같다. 만주에 대한 일본의 관여는 러일전쟁 후 시작되었다. 랴오둥 반도 조차권, 동청철도 남부권 경영권 등을 확보해 이 지역을 관동주라 이름 붙이고 일본의 통치권 하에 두었다. 정부와 군부의 지도 아래 남만주철도주식회사를 설립하고, 대부분의 행정은 이 기관을 통해 관리하였다. 일본은 그 이후 중국 각지에 난립한 군벌 세력에 협력해 이익을 챙기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1926년 국민혁명군이 북벌을 시작하면서, 또 이들이 영국...2024.09.23
-
예술로 나를 표현하는 시2024.09.231. 《시인 동주》 1.1. 작품 소개 《시인 동주》는 작가 김유정이 한국의 시인 이동주의 삶과 작품을 그려낸 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동주의 성장과 열정, 그리고 일제 강점기의 어려움 속에서 그의 시적 세계와 정체성을 탐구한다. 이동주는 1917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학문을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지만, 그곳에서도 독립운동에 참여하며 저항의 길을 선택했다. 소설은 이동주의 성장과정을 그리면서 그의 내면에 존재하는 애타적인 열정과 문학적 탐구에 초점을 ...2024.09.23
-
청포도2024.09.291. 시감상문 1.1. 작가 소개 시인 이육사는 1904년 4월 4일 경북 안동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이원록이었으며, 그는 당시 일제강점기에 저항하기 위해 1925년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3년형을 받고 투옥되었고, 그때 그의 죄수 번호가 264번이어서 호를 육사로 택했다고 전해진다. 1929년에 감옥에서 나와서 다시 중국으로 건너갔으며, 그곳에서 여러 독립운동단체에 가담하여 독립투쟁을 벌였다. 1933년 9월 귀국하여 이때부터 시작에 전념하였다. 그의 첫 작품...2024.09.29
-
경북로2024.09.231. 안동의 문화와 역사 1.1. 안동의 정신문화 수도로서의 위상 안동은 유교 문화의 정신적 중심지로 자리매김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라는 지역문화의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내세울 수 있었다. 안동시는 추로지향(鄒魯之鄕)의 도시로, 조선 정조 당시 퇴계 선생 치제문에서 안동을 추로지향으로 칭한 바 있으며, 공자의 77대 종손인 공덕성 선생이 도산서원 원장으로 재임하며 추로지향 휘호를 남겼다. 이는 안동이 가진 유교적 정신문화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며, 현재도 선비문화수련원 등을 개원하는 등 유교 문화 본산지로서 ...2024.09.23
-
이육사 꽃2024.09.111. 이육사 시 연구 1.1. 이육사의 삶과 작품 이육사는 본명을 이원록으로 1904년에 태어났으며, 1944년에 사망하였다. 그는 조선일보와 중외일보의 기자로 활동하다가 1923년 백학학원의 교사가 되었다. 1925년에는 독립운동단체인 의열단에 가입하여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북경으로 이동하였다. 1927년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며, 이때의 수인번호인 264를 자신의 호로 삼았다. 출옥 후에도 정의부, 군정부, 의열단 등 여러 독립운동단체에서 활동하며 독립투쟁을 이어갔다. 1933년 신조선에 황혼을...2024.09.11
-
동으로 간 푸른 눈의 승려를 보고 느낀점을 알려줘2024.09.251. 만해 한용운과 님의 침묵 1.1. 만해 한용운 생애 만해 한용운은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박철동 잠방굴에서 청주한씨 서원군 한명보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선생께서는 4세때 임오군란이 일어났으며 6세때부터 향리 서당에서 10년동안 한학을 수학하였다. 9세때 문리를 통달하여 주변 사람들로부터 신동이라 칭송이 자자하셨다. 14세때 홍성군에서 부인 유씨와 성혼의 예식을 올렸다. 1894년 16세가 되던해에 동학농민운동과 17세때 을미사변으로 온나라가 어려움에 휩싸였다. 그후 그는 과거 공부를 접고 넓은 세계에 대한 관심과 생활의 ...2024.09.25
-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생각2024.09.191. 한국독립운동의 시기적 이념과 방법론 1.1. 서론 독립운동은 제국주의 침략을 받아 빼앗긴 국토를 되찾고 이 땅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한 민족운동이다. 개항 이래 일제와 서구 열강의 계속되는 침략에 1904년경부터 사실상 반식민지상태에 놓였던 대한제국은 1910년 끝내 멸망하고 말았다. 그러나 한민족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를 받는 기간 내내 일제를 부정하고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하였다. 나라를 되찾는 그 날까지 그치거나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 한국 독립운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다양한 ...2024.09.19
-
밀정2024.10.051. 영화 '밀정' 개요 1.1. 영화 소개 '밀정'은 '황옥 경부 폭탄사건'이라 불리는 폭탄 밀수사건을 모티브로 베이스로 한 팩션 영화이며, 이은경의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됐다. 2016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 비경쟁 부문, 토론토 국제 영화제 스폐셜 프레젠테이션 부문에 초청받았으며,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 부문 한국 영화 출품작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2017 백상예술대상 감독상을 수상했다. 1.2.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정출 역 / 송강호는 조선인 출신 일본 경찰이다. 상해에서 임시정부 통역사였으...2024.10.05
-
밀정감상문2024.10.051. 소개 영화 "밀정(The Age of Shadows, 2016)"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첩보영화이다. 정체와 충성심을 둘러싼 인물들의 갈등과 변모 과정을 통해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생생히 보여준다. 영화는 1920년대 경성과 상해를 무대로 전개된다. 일제강점기 시절, 비밀결사 단체 의열단이 일본의 고위 관료와 친일파들을 암살하는 등 과격한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펼치고 있다. 의열단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일본 경찰은 조선인 출신 경찰 이정출(송강호 분)을 밀정으로 투입한다. 그는 의열단 리더 김우진(공유 분)에게 접근하...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