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3개
-
미생물 생화학 테스트2025.04.031. 서론 1.1. 미생물 생화학 실험의 필요성 미생물 생화학 실험의 필요성이다. 임상 검체나 식품 검체에서 분리된 세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병원성 세균의 분리 및 동정은 적절한 치료법 선택과 질병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며,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생화학적 검사는 세균의 대사 특성을 이용하여 세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임상 미생물학이나 식품 미생물학 분야에서 생화학적 검사의 수행은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세균의 특성을 이해하고 진단...2025.04.03
-
아동간호학 요로감염, 급성사구체신염 요약2025.03.041. 요로감염 1.1. 질병의 원인 요로감염의 가장 많은 원인균은 대장균(E.coli)이다.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요도를 통한 상행성 감염으로 발생한다. 또한 요정체도 중요한 요로감염의 원인이 된다. 신생아와 영아기에는 남아의 발병률이 여아보다 높지만, 영아기 이후에는 여아에서의 빈도가 훨씬 높다. 급성 사구체신염의 주된 원인은 연쇄상구균 감염이다. 연쇄상구균 감염 후 10~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면역반응이 일어나면서 사구체 신염이 발생한다. 연쇄상구균 감염이 있었던 목, 인두, 피부 등의 부위에 따라 발병 시기가 차이가 나는데...2025.03.04
-
방광염2024.10.271. 요로감염 1.1. 상부 요로감염 1.1.1. 신우신염 신우신염이란 요로감염 중 신장의 신배와 신실질을 침범한 감염을 말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주로 요도와 방광을 통해 역행성으로 감염이 일어난다. 급성 신우신염은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예후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치료가 지연되거나 재발을 반복하면 만성 신우신염으로 이행되어 신실질의 손상이 누적되어 신기능 저하까지 초래할 수 있다. 신우신염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보면,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그 외에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서도 발...2024.10.27
-
E.coli의 배양 조건, 분열시간, 성장곡선2024.09.261. 미생물 생장곡선 1.1. 미생물의 분열과정(Binary cell division) 대부분의 세균(Bacteria)은 이분법을 통해 증식하는데, 이분법에 의한 세포분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제가 일어나기 전 세균 염색체는 응축된 상태로 존재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경우 염색체를 완전히 펼치면 세포 길이의 500배에 달하는데, 이렇게 긴 염색체가 세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이 감기고 접혀 있어야만 한다. 다음으로 복제원점(replication origin)이라고 불리는 세균 염색체의 특정부...2024.09.26
-
급성요로감염 이론적근거2024.09.131.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즉 신우신염은 그 감염 원인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세균의 침범 외에도 몸에 이상이 있는지를 항상 점검해야 한다. 노인은 특히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고, 감염에 대한 관리가 취약하므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간호 문제가 된다. 이 질병을 사례연구 하여 신우신염에 대한 이론적 간호과정과 실질적으로 행...2024.09.13
-
방광염 병태생리2024.09.121. 방광염 1.1. 원인 방광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감염이다. 특히 대장균(E-coli)이 약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균은 위장관 상주균으로, 항문과 요도구가 인접해 있어 비뇨기 감염을 쉽게 일으킨다. 여성의 경우 요도가 짧고 질과 항문에 가까워 대장균이 방광으로 옮겨가기 쉽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더 크다. 칸디다 감염도 방광염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요로카테터 사용, 해부학적 ...2024.09.12
-
단백질정제 및 정량2024.09.281. 서론 1.1. eGFP의 정의 및 특성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는 Aequorea victoria에서 발견된 GFP(Green Fluorescent Protein)를 변형시킨 단백질이다. eGFP는 GFP의 아미노산 중 64번째 phenylalanine이 leucine으로, 65번째 serine이 threonine으로 변이된 돌연변이체이다. eGFP는 GFP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할 수 있어 단백질 정량 실험에서 더 높은 효율을 보인다. eGFP는 29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2024.09.28
-
소아 급성신우신염2024.11.061. 급성 신우신염 1.1. 정의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신우와 신장실질의 광범위한 발열성 감염을 의미한다.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요로감염증으로, 대부분의 요로감염증은 방광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으나 신장을 침범하여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하면 고열, 오심, 구토 및 요통이 발생하고, 합병증으로 신장농양 및 패혈증이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신우신염은 신장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1.2. 원인 1.2.1. 원인 세균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 세균은 주로 대장균(E.coli)이다. 대장균이 원...2024.11.06
-
[생명과학실험] 대조군과 주요 실험 예비보고서2024.09.251. 대조군 1.1. 대조군의 정의 대조군은 실험군experimental group과 비교를 위해 설정되는 집단으로, 실험 결과가 가설에서 예측된 원인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 다른 요인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를 가려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대조군은 실험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실험 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1.2. 음성 대조군 1.2.1. 음성 대조군의 정의 음성 대조군이란 실험을 수행할 때 이 대조군의 실험 결과값이 음성으로 나와야 하는 모집단이다. 음성대조군에는 위약(placebo)을 사용하거나 약(tr...2024.09.25
-
Gene cloning2024.09.301. 유전자 클로닝 1.1. 유전자 클로닝의 개요 유전자 클로닝이란 생물체의 특정 유전자를 세포에서 추출한 후, 그 유전자를 벡터 DNA에 삽입하고 Competent Cell에서 증식시킴으로써 균일한 유전자 집단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유전자 클론화라고도 하며 특정 유전자의 대량 복제를 위해 쓰이는 중요한 DNA 재조합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종의 유전체와 종간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유전체의 DNA 조각, 혹은 서로 겹쳐져 있는 염기서열의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또한 개별 유전자 수준에서 핵산의...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