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여성건강관련정책보고서2024.10.071.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사업 정책에 대한 고찰 1.1. 서론 지난해 대한민국 합계출생률은 0.98명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에서도 꼴찌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초저출산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2006년부터 '불임부부 지원 사업(난임 부부 지원 사업 2011) 정책을 도입하였다. 이 사업은 체외수정, 인공수정 등 인공생식술의 시술비를 지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여 출산장려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24.10.07
-
대리모2024.10.031. 대리모란 무엇인가 1.1. 대리모의 정의 대리모란 "불임부부의 의뢰에 따라 제3의 여성에게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거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및 출산하게 하는 방법"이다. 대리 출산이라고도 하며, 대리로 임신·출산을 하여 주는 제3의 여성을 대리모라고 한다. 대리모에 의한 출산은 여러 가지 윤리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대리모는 자신의 자궁만을 제공한 "임신대리모(=출산대리모, gestational surrogate)"와 자신의 난자와 자궁을 모두 제공한 "유전적대리모(=부분대리모, genetic surroga...2024.10.03
-
장애아 낙태 사례와 생명윤리 찬반 의견 분석2024.11.071. 생명윤리관련사례분석 1.1. 서론 낙태는 과연 허용되어야 하는가, 허용되지 말아야 하는가? 이것에 대한 논쟁은 언제나 끊이지 않고 있다. 어떤 사람은 낙태는 엄연히 한 생명을 죽이는 살인이고 추악한 범죄행위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하며 낙태를 반대하나, 다른 어떤 사람은 강간에 의한 경우나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 태아에게 심각한 장애나 유전적 질환이 있을 경우에만 한해 부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또 다른 사람은 낙태는 어떤 경우라도 여성의 권리를 위해 법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낙태란 인공유산이라고도 ...2024.11.07
-
대리모2024.10.291. 대리모의 개념과 현황 1.1. 대리모의 정의 대리모는 불임부부의 의뢰에 따라 제3의 여성에게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거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및 출산하게 하는 방법이다. 대리 출산이라고도 하며, 대리로 임신·출산을 하여 주는 제3의 여성을 대리모라고 한다. 대리모에 의한 출산은 여러 가지 윤리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대리모는 자궁만 제공한 경우(임신대리모, 출산대리모)와 난자와 자궁을 모두 제공한 경우(유전적대리모, 부분대리모)로 나뉘며, 보수를 받지 않고 불임부부를 돕는 자비적 대리모와 임신과 ...2024.10.29
-
모성 생명윤리 대리모2024.11.161. 서론 1.1. 대리모 문제의 사회적 중요성 대리모 문제는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생명윤리 및 가족법 관련 쟁점이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식능력이 낮은 개인 및 부부들도 대리모를 통해 아이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대리모 문제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대리모 문제를 둘러싸고는 법적, 윤리적, 의학적 차원에서 다양한 쟁점이 존재한다. 대리모를 통한 출산은 아동의 출생 배경, 가족관계의 정립, 대리모의 권리와 책임, 의료계의 역할 등 여러 측면에서 복잡한 문제를 야기한다. 출산한 아동의 친권...2024.11.16
-
대리모 간호윤리2024.11.161. 생명윤리와 간호 1.1. 안락사의 윤리적 딜레마 불치의 질병 등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는 대상자 본인 또는 그 가족의 요청에 따라 그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거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 공급이나 약물 투여 등을 중단함으로써 생명을 단축하는 행위를 '안락사'라고 한다. 안락사에는 자연적 사기를 앞당기지 않는 '소극적 안락사'와 자연의 사기를 앞당기는 '적극적 안락사'가 있다. 소극적 안락사는 존엄사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적극적 안락사는 예로부터 종교, 도덕, 법률 등의 입장에서 논쟁되어 왔다....2024.11.16
-
여성건강과 관련된 이슈에 대한 법적, 윤리적 쟁점2024.10.031. 여성주의와 생명윤리 1.1. 여성주의 생명윤리의 특징 여성주의 생명윤리의 특징은 여성의 도덕적 자율성과 도덕적 경험을 중요히 여기는 데 있다. 임신, 출산, 피임, 낙태 등의 문제는 의료전문가의 도덕적 판단의 문제이기 이전에, 여성의 개인의 삶을 선택하는 실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주의자들은 보살핌과 배려라는 인간관계를 위한 공감을 중요한 도덕적 능력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들은 생명의료기술의 적용에 대한 제도적 비판을 통해 보건의료정책이 사회적 평등에 기여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절차에 따라 수립될 것을 주장하고...2024.10.03
-
대리모 찬성2025.04.121. 서론 1.1. 대리모의 정의 대리모는 불임부부의 의뢰에 따라 제3의 여성에게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거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및 출산하게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최근 보조생식기술의 발달에 따라 체외수정을 거친 냉동배아이식, 난자핵이식 등을 통한 체외수정의 방법으로 대리모출산의 가능성이 확대되었다. 대리모임신은 불임부부가 자신의 유전자로 만든 유전학적 연계가 된 아이를 갖고자 할 때 이용된다. 대리모는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아이를 의뢰한 부부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리모란 불임부부의...2025.04.12
-
간호윤리 대리모2024.09.191. 간호윤리 1.1. 간호윤리의 정의 간호윤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물음"에 대한 정의로, 두 가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현재 간호사들의 간호현장에서 '실제로 따르고 있는' 윤리규범과 윤리원칙을 의미하고, 둘째는 간호사들의 간호행위를 안내하는 지침으로 따르기로 선언한 간호사들의 '일상적, 관행을 지배하고 지도하는 이상적'인 윤리규범과 윤리규칙을 의미한다. 즉, 간호윤리는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윤리기준과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윤리기준이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간호윤리의 필요성 간호윤리의...2024.09.19
-
대리모 찬반2025.05.041. 서론 1.1. 대리모의 정의 및 유형 대리모의 정의 및 유형이다. 대리모는 광의의 의미에서 출생한 자를 타인에게 인도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하여 남편 이외의 자의 정자로 수정한 후 임신 및 출산한 여성이다. 협의의 의미에서는 출생한 자를 타인에게 인도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하여, 의학적 보조생식술을 통하여 남편 이외의 자의 정자로 임신 및 출산한 여성이다. 협의의 대리모의 유형은 정자, 난자, 모체(자궁)의 제공자에 따라 크게 5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대리모계약의 유...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