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당뇨병 간호진단2024.10.131. 서론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장애, 인슐린의 작용 결함 또는 이들과 관련된 만성적인 다기관질환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한다. 제2형 당뇨병은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인슐린이 체내에서 분비되지 않거나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당뇨병의 한 종류이다. 제2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 환자의 90~95%가량을 차지하고, 제1형과 달리 성인에게 발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제2형 당뇨병은 유전이나 흐트러진 생활 습관이 발병 원인이며,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2024.10.13
-
당뇨진단을 받은 한국성인의 위험음주와 당화혈색소 관리의 관계2025.05.191. 서론 1.1. 당뇨진단을 받은 한국성인의 특성 당뇨진단을 받은 한국성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당뇨진단을 받은 한국성인은 30대 중 23,772명이며, 이 중 23,764명이 흡연과 음주를 하고 있다. 당뇨를 가진 환자 중 높은 음주를 하는 대상자는 음주를 하지 않거나 위험이 낮은 음주자에 비해 당뇨 치료를 하지 않을 위험이 1.39배 높다. 또한 높은 음주를 하는 대상자는 음주를 하지 않거나 위험이 낮은 음주자에 비해 당뇨병성 망막증 검진을 하지 않을 위험이 1.25배 높고, 적혈구 내 혈색소 당화 위험이 1.37배 높...2025.05.19
-
임신당뇨 증상,식단2025.05.021. 서론 당뇨병은 민족이나 종족, 식습관과 생활 및 행동양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급격한 경제 발전과 서구화에 따른 환경변화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병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서구인에 비해 β-세포의 분비능력이 저하되어있고 비만으로 당뇨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뇨병 유병률은 2019년 남성 14.0%, 여성 9.5%이며 공복혈당 기준 당뇨병 유병률보다 남성 1.4%, 여성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당뇨병 인지율은 65.2%, 치료율은 60.8%, 유병자 조절률은 2...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