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2개
-
간 췌장 담도2025.02.241. 간 담도 췌장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와 기능 간의 구조와 기능이다. 간은 성인의 무게가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한다. 간소엽은 간의 좌우 각엽에 5~19만 개가 있으며 길이가 1~2mm 정도로 매우 가늘고 작다. 간은 문맥계와 정맥혈, 동맥혈을 통해 순환하며 분당 1,100ml의 정맥혈과 400ml의 동맥혈이 간으로 유입된다. 심박출량의 1/4이 간으로 유입되며 응급 시 간에서 500ml의 혈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동맥, 정맥, 담관, 림프관이 간을 통과하는 문맥삼조체를 가지고 있다. Ku...2025.02.24
-
종양지표2024.09.09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Oral cavity)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Oral cavity) 안의 구조로는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개의 사랑니, 구강상부의 연구개(soft palate)와 경구개(hard palate), 구강바닥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sublingual gland), 악하선(submandibular gland), 이하선(parotid gland)이 있다. 침(타액)은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으로 하루 1,000~1,500ml가 분비되며, pH...2024.09.09
-
담낭절제술 수술과정2025.03.181. 서론 1.1. 담낭의 기능 담낭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담도계의 기능은 담즙이 간에서 장으로 배설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담즙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다. 담즙은 간의 좌우 간관에서 담낭으로 이동한다. 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방출되어 총담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장에 흘러들어간다. 장내에 지방이 있을 때 총담관이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있는 Oddi 조임근이 열려서 담즙이 장으로 흘러가게 한다. 지방이 없으면 조임근은 닫혀지고 담즙은 담낭으로 흘러가서 저장된다. 담낭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시키는 ...2025.03.18
-
담낭절제술 수술과정2025.03.181. 담낭 및 담낭 질환의 개요 1.1. 담낭의 해부생리학적 기능 담낭의 해부생리학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며, 담낭은 담즙을 농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방 섭취 시 콜레시스토키닌이 분비되어 담낭을 수축시키면서 담즙이 소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지방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담즙산이 지방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리파아제의 작용을 돕고 지방산과 결합하여 지방 흡수를 증진시키기 때문이다.[1,2,3] 1.2. 담낭 질환의 정의 및 분류 담낭 질환은 크게 담석증과 담낭염으로 구분된다. 담석...2025.03.18
-
담낭염 케이스2025.03.051. 서론 담도계는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담낭에 저장하다가 소화가 필요할 때 십이지장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담낭이나 담도에 발생하는 질환은 매우 흔하며, 그중에서도 담낭염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급성 담낭염은 담낭관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의 통증과 압통, 열, 오심과 구토 등이 나타난다. 담낭염의 대부분은 담석에 의해 발생하지만, 약 5-10%는 담석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담낭염은 합병증의 위험이 높고 재발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급성 담낭염의 원인...2025.03.05
-
담낭염 케이스2025.03.051. 서론 담도계는 담낭, 담관, 담낭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도계 질환 중 담낭염은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담낭염은 염증, 유착, 출혈 및 담도 협착증 등으로 수술 후 치명적인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어 섬세하고 근거기반적인 전문적인 간호가 중요하다. 담낭염의 원인과 진단 등을 상세히 분석하고 수술과정과 수술 후 증세를 탐구함으로써 대상자들에게 신뢰감 있고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고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2. 급성 담낭염의 정의와 병태생리 담낭은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있는 작은 주머니로, 간에서 생성된 담...2025.03.05
-
총담관담석증 황달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 케이스2025.03.061. 서론 1.1. 담석증의 정의와 원인 담석증은 쓸개(담낭)와 쓸개길(담도계)에 돌이 형성되는 질병이다. 간에서 담즙을 생성하고 담즙이 담관과 담낭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며, 지방 음식 소화와 콜레스테롤 대사 등의 생리적 기능을 한다. 담낭이란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 엽 사이에 위치하는 주머니로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농축, 저장한다. 이후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오면 십이지장내로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는다. 담즙은 식사 후 약 30분이 되면 배출되며 소화효소를 돕는 조효소 역할을 한다. 담즙의 성분은 콜레스...2025.03.06
-
영양장애 사전학습2025.02.101. 위장관계 및 간, 담도, 췌장계 구조와 기능 1.1. 위장관계 구강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 안의 구조에는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 구강상부의 연구개와 경구개, 구강저의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이 있다. 침샘에서 분비되는 타액은 하루 1,000~1,500L로 약산성의 pH 6.0~7.0을 가지며, 나트륨, 칼륨, 칼슘, 중탄산염, 프티알린 등을 포함하고 있다.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하며, 프티알린은 다당류인 전분을 이당류로 분해한다. 식도는 구강...2025.02.10
-
만성담낭염 문헌고찰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2.171. 서론 1.1. 만성담낭염 문헌고찰의 필요성 및 목적 담도계 질환 중 담낭염은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이다. 수술법은 간단하지만 염증, 유착, 출혈 및 담도 협착 등으로 수술 후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성인간호학에서 배웠던 담낭염과 담석증에 대한 내용을 복습하고 실제 환자에게 나타나는 문제와 그에 대한 간호중재에 대한 지식을 쌓기 위해 이 사례를 선택하였다. 만성담낭염의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만성담낭염 환자의 간...2025.02.17
-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20문제 만들기2024.12.011. 갑상선 기능 저하증 1.1. 정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한 질환이다. 갑상선은 목의 한가운데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갑상연골의 아래쪽 기도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한다. 갑상선 호르몬의 양이 인체에 필요한 양보다 부족하여 체내 에너지 대사가 저하되면 이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라고 한다. 1.2. 원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선천적으로 갑상...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