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molecular affinity2024.11.071. 단백질 정제 및 분석 1.1. 단백질 발현과 정제 1.1.1. Ni-NTA Agarose Resin을 이용한 His-tagged 단백질 정제 Ni-NTA Agarose Resin을 이용한 His-tagged 단백질 정제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기법 중 하나이다. Ni-NTA Agarose Resin은 니켈 이온(Ni2+)을 리간드로 사용하며, 이 니켈 이온이 His-tag(6개의 히스티딘 아미노산 서열)와 강한 친화력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여 목표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His-tag는 단백질의 C-말단 또는 N-말단...2024.11.07
-
브래드포드법2024.12.261. 단백질 정량 실험 1.1. Bradford 단백질 정량법 1.1.1. Bradford Assay의 원리 Bradford Assay의 원리는 산성용액에서 Coomassie Brilliant Blue 염료(470nm)가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면 빛의 파장이 변화하여 595nm에서 파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매우 빠르고 비용이 낮은 장점...2024.12.26
-
BSA2024.11.111. 단백질 정량 실험 1.1. 실험의 목적 단백질은 세포를 이루는 대부분의 분자로, 생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대 생체분자인 단백질의 존재와 양을 정량하는 기술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험의 목적은 생화학적인 실험 방법을 통해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중요성과 단백질 정량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1.2. 실험 결과 1.2.1. BSA STANDARD CURVE Graph 1. BSA STANDARD CURVE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BSA 용액의 농도와 흡광도...2024.11.11
-
분자세포생물학 실험 Bradford assay 및 Western Blot 결과보고서2024.10.151. 단백질 전기영동 기술 1.1. 단백질 전기영동의 소개 단백질 전기영동은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기법으로, 생명과학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실험 방법이다. 단백질 전기영동은 단백질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장 내에서 단백질 분자를 크기별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단백질 분자는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기장 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일수록 빠르게 이동하고 분자량이 큰 단백질일수록 느리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단백질 전기영동은 다양한...2024.10.15
-
단백질 정량2025.04.121. 단백질 정량 실험의 개요 1.1. 단백질 정량의 필요성 및 중요성 단백질은 C, H, O, N, S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질소는 단백질을 특징짓는 원소이다. 단백질 내 질소 함량은 13.4%~19.1%이지만, 단백질이 아닌 다른 화합물에서도 질소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조단백이라 한다. 따라서 단백질 정량은 시료 내 단백질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매우 중요한 실험이다. 단백질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식품, 의약품, 생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2025.04.12
-
Bradford 단백질 정량2025.04.121. 서론 1.1. Bradford 단백질 정량의 배경과 목적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핵심 유기분자 중 하나이며,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효소 활성 연구, 산업적 응용, 질병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효소 반응 기작 이해, 효소 기반 제품의 최적화, 생리학적 상태 진단 등을 위해서는 단백질 농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단백질 정량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 중 하나가 Bradford법이다. Bradford법은 Coomass...2025.04.12
-
folin 단백질의 정량2025.04.181. 서론 1.1. folin 단백질의 정량 개념과 필요성 Folin 단백질의 정량 개념과 필요성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로, 생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생물학적 시료 내의 단백질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Folin 단백질 정량법은 대표적인 단백질 정량 분석법 중 하나로, 단백질 시료에 알칼리성 용액과 Folin-Ciocalteu 시약을 첨가하여 발색 반응을 일으킨 후 흡광도 측정을 통해 단백질의 농도를...2025.04.18
-
생화학실험2025.06.021. 생화학실험 1.1. 형질전환 1.1.1. 실험 이론 및 원리 형질전환이란 외부에서 만들어진 plasmid를 plasmid가 없는 원핵 세포 cell에 넣어 그 원핵 세포가 본래 성질과는 다른 새로운 유전형질을 나타내게 하여 삽입한 plasmid를 대량으로 키우는 과정이다. 형질전환은 폐렴구균을 통해 DNA가 유전물질임을 PCR과 클로닝 등의 방법으로 증명했다. 의약품 생산의 경우 초기에는 동물에서 추출하였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 부족과 불순물 문제로 인해 plasmid를 활용한 재조합 기술로 전환되었다. 형질전환에서 가...2025.06.02
-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2025.05.161. 단백질의 분리와 분석 1.1.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의 분리 1.1.1. 전기영동의 원리 전기영동의 원리이다. 전기영동 혹은 전기이동은 전극 사이의 전기장 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현상이다. 전하가 q인 이온이 그 크기가 E인 전기장에 놓일 경우, 이온이 받는 전기력의 크기는 F=qE이다. 이온은 용액 내에서 전기력에 따른 가속 때문에 속력이 점차 증가하나, 주변 용액 때문에 전기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받는다. 이때 마찰력의 크기는 이온의 속력에 비례하므로 점차 이온의 속력은 일...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