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5개
-
요로감염-소변백 관리하는 방법2025.04.211. 요로감염 관리 1.1. 요로감염 발생 현황 요로감염은 입원한 성인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의료 관련 감염이다.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는 경우 세균뇨가 발생할 위험은 매일 3%~10% 정도 증가하며, 30일 이후에는 100%에 이른다. 유치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 시 유병률, 입원 기간 및 의료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과 다제내성균 전파의 위험이 있다. 00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평균 재원 일수는 약 11.7일로, 수술 후 거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유치 도뇨관을 적용하고 있다. 000병원 00병동 내...2025.04.21
-
다제내성균 전파의 이해와 간호2025.04.25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다제내성균 감염에 대한 간호 관리 다제내성균은 이미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치료가 매우 어려운 세균이다. 의료기관에서는 이러한 다제내성균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예방 및 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간호사는 환자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다제내성균의 주요 종류로는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2025.04.25
-
다재내성 원내 감염 균2025.05.031.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특성 1.1. 다제내성균의 개념과 발생 원인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을 뜻한다. 이들은 슈퍼박테리아로도 불리며 항생제 치료에 거의 대응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제내성균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미생물이 오랜 기간 항생제에 노출되면서 이에 저항할 수 있는 생존능력을 갖추게 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자신의 유전자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전자를 받아들여 다제내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플라스미드라는 소규모 원형 DNA를 통해 쉽게 이루어진다. 미생물의 다제내성은...2025.05.03
-
다제내성균 원내감염2025.05.291.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분류 1.1. 다제내성균의 개념 다제내성균의 개념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이라 할 수 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등 6가지가 있다. 다제...2025.05.29
-
다제내성균 분류와 간호2024.10.061. 다제내성균 감염과 관리 1.1. 다제내성균 종류 및 특성 1.1.1.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은 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황색포도알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메티실린에 내성을 보이는데, 이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e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이라고 한다. MRSA의 경우 다른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고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만 치료가 가능하나, VRSA는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