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risk assessment 감염관리2025.01.241. 서론 감염관리는 의료기관에서 중요한 이슈이다. 의료관련감염은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COVID-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의 발생으로 인해 감염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에서는 감염관리 위험 사정(Risk Assessment)을 통해 주요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 활동을 수립하여 감염 발생을 예방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감염관리 위험 사정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요인별 대응 방안과 감염관리 개선 활동을 논의하고자 한다. 2. 감염...2025.01.24
-
수술실감염의 주요경로2025.05.261. 수술실 감염의 주요 경로 1.1. 감염 미생물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반코마이신에 대한 MIC가 4㎍/㎖ 이상인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다. VRE는 1986년 첫 보고된 이래 1990~1992년에는 원내 감염의 4번째 원인균이었으며, 1995년에는 병원감염의 2번째 원인균이 되었다. 1989~1993년 사이에 VRE 감염은 0.3%에서 7.9%로 약 20배 증가했는데, 특히 중환자실에서는 약 34배 증가했다. 1992년에는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첫 보고되었고, 1996년에는 병...2025.05.26
-
VRE, CRE 감염관리 법윤리 보고서2025.05.281. VRE, CRE 감염관리 법윤리 보고서 1.1. VRE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감염관리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는 광범위 항생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을 의미한다. 장알균(Enterococcus)은 동그란 알과 같이 생긴 모양의 장 상주균으로 주로 위장관과 비뇨생식기계에 존재하는 균이다. 독성이 비교적 약하여 건강한 정상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노인이나 면역 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또는 병...2025.05.28
-
다제내성균 원내감염2025.05.291.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분류 1.1. 다제내성균의 개념 다제내성균의 개념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이라 할 수 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등 6가지가 있다. 다제...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