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아주대학교 논리회로실험 실험32024.09.24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가산기와 감산기를 구성하고, 이들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에서는 기본적인 조합 논리회로인 반가산기, 전가산기, 반감산기, 전감산기를 구성하고 이들의 입출력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진수의 덧셈과 뺄셈 과정을 이해하고, 불 대수식과 드 모르간의 법칙을 활용하여 회로를 간소화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본적인 가산기와 감산기의 이해를 바탕으로, 더 복잡한 병렬 가감산기와 같은 응용...2024.09.24
-
디지털 논리 회로 연습문제2024.09.231. 디지털시스템 설계 실습 1.1. 실험 결과 보고서 1.1.1. 진리표 작성 주어진 내용에 따르면, 이 실험에서는 회로의 진리표를 작성하는 것이 주요 과제였다. 진리표란 논리 회로의 입력과 출력 관계를 표로 나타낸 것으로, 입력변수의 모든 조합에 대한 출력 상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진리표를 작성하였다. 입력변수 A, B, C에 따라 출력 F1과 F2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체계적으로 표현하였다. 진리표를 작성함으로써 복잡한 논리 회로의 입출력 관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2024.09.23
-
디지털공학 논리회로의 설계원리2024.09.231. 디지털IC의 기본 특성과 논리회로 1.1. 집적회로(IC)의 개념과 종류 집적회로(IC)는 트랜지스터, 저항기 및 커패시터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 개념으로 단일 반도체 재료에 통합된 소형 전자 회로를 의미한다. 이는 반도체의 기판에 다수의 능동소자와 수동수자를 초소형으로 집적, 서로 분리 될 수 없는 구조로 만든 기능소자로 개별소자의 경우 특정한 역할을 수행 하기 힘들어 이것들을 수백~수백만개로 구성하여 CPU나 RAM처럼 특별한 기능을 갖도록 하나로 집적시킨 것을 의미하며 결국 집적회로란 여러 부품들을 초소형으로 집적시...2024.09.23
-
디지털공학 논리회로의 설계원리 연습문제2024.09.231. 소프트웨어학과 지원 맞춤형 세특 1.1. 언어와 매체 세특 수업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가 진중하고 근면한 학생으로, 궁금하거나 잘 모르는 것들은 진짜 그러한가 살피고 공부하는 태도가 인상적이다. 왜 어른들은 '역할'을 '역활'로 헷갈리는지 궁금해지자 이를 조사하거나 '벡터/백터', '메뉴얼/매뉴얼' 표기 중 무엇이 옳은지, 왜 옳은지 문법적으로 탐구하는 모습이 그러하다. 특히 철저한 자료 관찰과 분석으로부터 출발하는 가설 검증이 인상적인데, 처음에는 철자가 A/E인지 아닌지에 따라 'ㅔ/ㅐ'가 달라질 것이라 세웠지만 'day'...2024.09.23
-
74151A2024.09.30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비교기와 패리티 발생기를 설계하고 그 회로를 시험하는 것이다. 또한 2*N 입력의 진리표를 수행하기 위해 N입력 멀티플렉서를 이용하는 것이 목적이다."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 데이터에서 1개의 입력만을 선택하여 단일 채널로 전송하는 회로이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회로가 단일 회선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의 논리식은 Y = ̄S(D₀̄AB + D₁̄A̅B + D₂A̅B + D₃AB)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디코더와 유사한 동...2024.09.30
-
디지털 논리회로 에어컨2024.11.151. 디지털공학의 실생활 활용 1.1. 2진법과 다진법 반도체 컴퓨터에서 디지털 정보는 전통적으로 2진수로 표현되어왔다. 이는 컴퓨터의 기반이 되는 반도체 소자가 두 상태, 즉 0과 1을 나타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3진법 반도체와 4진법 반도체가 개발되면서 기존의 이진수 정보 처리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진법 반도체는 전압의 유무로 0과 1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3진법 반도체는 저전압, 중전압, 고전압의 3가지 상태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4진법 반도체는 0, 1, 2,...2024.11.15
-
아주대 논리회로실험2024.09.101. 서론 1.1. 실험 목적 CMOS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논리 레벨과 잡음 여유, Schmitt-trigger 인버터의 특성, DC 특성에서의 내부 저항값, 천이시간과 전달 지연 등 CMOS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1.2. 실험 개요 실험 개요는 다음과 같다. CMOS 회로의 전기적인 특성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논리 레벨과 잡음 여유, Schmitt-trigger 인버터의 특성을 확인한다. 이어서 CMOS의 내부 저항값을 계...2024.09.10
-
홍익대 디지털 논리2025.04.231. 디지털 논리실험 및 설계 1.1. 멀티플렉서와 부호기의 차이 멀티플렉서와 부호기(encoder)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가운데 하나를 골라 그대로 출력하는 반면, 부호기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의 조합에 맞춰 출력한다. 즉 멀티플렉서는 선택하는 것이고 부호기는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멀티플렉서는 선택 기능, 부호기는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1.2. 칩 데이터시트 확인 데이터시트를 통해 4-to-1 Multiplexer 74153, 2-to-1 Multiplexer 7415...2025.04.23
-
부산대 기전실2025.05.161. 서론 1.1. 스톱워치 설계 과정 스톱워치 설계 과정은 논리회로 및 기초전자전기실험 교과에서 학습한 지식을 활용하여 스톱워치를 설계하는 과정이다. 각각의 부품과 기능을 올바르게 설계하고 실험에서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톱워치는 스위치부, 카운터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추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위치부는 Start/Stop 스위치와 Reset 스위치로 구성된다. Start/Stop 스위치는 스톱워치의 시작과 정지를 제어하며, Debouncing 회로를 추가할 수 있다. Reset 스위치는 스톱워치의 값...2025.05.16
-
조합논리회로 순서논리회로 종류 특징2025.05.311. 서론 전자계산 시 다양한 데이터 연산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논리회로가 필요하다. 논리회로란 불 대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논리적 입력 값에 대한 연산 작업으로 하나의 출력 값을 얻는 전자회로이다. 논리회로는 조합 논리회로와 순서 논리회로로 나뉘는데,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조합논리회로 2.1. 조합논리회로의 특징 조합논리회로는 논리곱(AND), 논리합(OR), 논리 부정(NOT)의 세 가지 기본 논리회로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입력 신호, 논리 게이트 및 출력 신호로 구성된...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