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배액관 관리방법2025.04.171. 배액관 개념 및 종류 1.1. 배액의 정의 및 목적 배액은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조각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회복에 불필요한 혈장, 핏물, 복수 등의 체액을 제거하여 체액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액된 체액을 관찰하고 상처치유를 증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배액관이 없으면 어떤 상처는 겉은 치유되지만 안에는 분비물이 고여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1] 1.2. 배액관 유형별 특징 1.2.1. 헤모백(Hemo-Vac drain) 헤모백(Hemo-Vac drain)은 통에...2025.04.17
-
기관내삽관 방법과 절차 안내2025.04.211. 기관내삽관 개요 1.1. 기관내삽관의 정의 기관내삽관은 인공기도(artificial airway) 중 하나의 형태로 의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삽입되고, 성대 하부의 기관 내로 삽입하는 관으로 후두경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주로 응급 시에 사용된다. 관은 후두와 성대를 지나기 때문에 대상자는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1.2. 기관내삽관의 적응증 전신마취나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응급환자(기도폐색 및 폐쇄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주로 적용된다. Glasgow Coma Scale(GCS...2025.04.21
-
기관절개술 마취방법 시술소견 시술방법2025.07.011. 서론 1.1. 기관절개술의 개념과 중요성 기관절개술은 목 부위의 피부와 근육을 가르고 기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튜브를 삽입하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환자가 원활하게 숨을 쉴 수 있게 도와준다. 기관절개술은 호흡기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시행되며,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수술이다. 기관절개술은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보조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필수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관절개술은 심각한 호흡기 문제를 겪는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1.2. ...2025.07.01
-
중환자실 폐렴2025.06.231. 서론 중환자실에서의 폐렴 환자 관리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이다.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면서 생기는 폐렴을 말하며, 주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노년층은 기저 질환이나 노화로 인해 연하운동에 관여하는 신경, 근육의 감각이 떨어져 있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환자들은 사래가 걸려 발작적인 기침을 하는 등의 반사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그대로 삼켜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음식물, 타액, 치태 등이 기도로 흡...2025.06.23
-
루게릭병 간호과정 및 간호진단2025.02.171. 서론 1.1. 주제에 대한 필요성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은 근육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세포의 파괴로 근육이 퇴화하는 질환이다. 이 질병은 팔, 다리가 마비되고 호흡근의 약화로 호흡부전이 발생하며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치료법도 없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루게릭 진료환자는 2011년 2470명에서 2015년 3166명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다. 성별 환자현황을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2.5배 정도 더 발병률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남성의 경우 60대가 645...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