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6개
-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중 죄론과 구원론의 차이를 설명하라2025.06.021. 서론 1.1.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소개 후스토 L. 곤잘레스의 『중세교회사』에 따르면, 현재의 시대를 "미래가 없는 시대, 노력해도 의미없는 시대, 목적을 잃어가는 시대"로 여기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시대에 교회 또한 교세가 약해지고 세속화되며 본질을 잃어가고 있지만, 하나님께서 여전히 세상을 다스리시고 계심을 믿기에 바르게 신학하고 사역한다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곤잘레스는 중세교회의 상황과 신학자들의 신앙을 살펴보며 현 시대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한다. 중세 기독...2025.06.02
-
히브리서 경고본문의 기능 관점으로 설명2025.06.051. 히브리서 경고본문의 기능 관점에서 설명 1.1. 히브리서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 히브리서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이다. 히브리서의 제목인 "히브리인들에게 보내느 사도 바울의 서신"은 원래 본문의 일부가 아니며 후대 교회에서 추가되었다. 세 가지 의문점이 있는데, 첫째 바울이 히브리서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것이 확실하다. 둘째 이 문서는 서신이라기보다는 설교 형식의 논문이다. 셋째 히브리서가 과연 히브리인들, 즉 유대인 기독교인들에게 쓰여졌는지에 대한 이의가 제기된다. 초대 교회 많은 이들이 히브리서의 저자로 바울을 지목했지만, 바울...2025.06.05
-
야고보서가 가르치는 가난과 부의 문제2025.06.051. 야고보서가 가르치는 가난과 부의 문제 1.1. 본문의 배경적 상황 마가복음의 저자는 베드로의 제자 마가 요한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는 몇 가지 문제가 따른다. 예를 들어 베드로의 제자라고 하면서도 베드로에 대한 묘사가 마태나 누가보다 더 부정적이고, '거라사'와 같은 지명은 팔레스타인의 지리에 대한 저자의 지식이 부정확함을 보여준다. 필자는 마가복음의 저자가 팔레스타인을 벗어난 지역, 아마도 시리아에서 살던 사람이라고 보며, 예루살렘이 멸망한 기원후 70년 전후에 기록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마가복음은 예수님의 생애를 ...2025.06.05
-
신약신학 요약, 토마스 슈라이너 저자2025.06.101. 하나님의 구원약속의 성취 1.1.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연속성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연속성이다. 구약성경은 하나님의 구원약속을 담고 있으며, 신약성경은 그 약속의 성취를 보여준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신약은 역사 속의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드러내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 중심성을 논증한다.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구원 사역을 이루시며, 모든 영광을 받으실 것이다. 구속사는 시작되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종말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나님의 영광은 아직 절정에 도달하지 않았지...2025.06.10
-
복음과 율법의 관계2025.05.141. 복음과 율법의 관계 1.1. 바울의 복음과 율법의 이해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방인과 유대인의 구원에 관하여 설명한다. 바울에 따르면, 이방인도 유대인도 모두 죄인이며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한다. 그렇다면 유대인은 율법을 받았기에 구원에 더 나은가? 바울은 유대인 또한 율법을 지킬 수 없기에 하나님의 진노 아래에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율법은 구원의 길이 아니며, 오직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믿음의 의의 길만이 구원에 이르게 한다. 바울이 갈라디아서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갈라디아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믿어 구...2025.05.14
-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발생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낸 일련의 서신서들과 직접 방문한 것에 대해 순서에 따라2024.08.291. 바울서신 개관 1.1. 바울서신의 기본 성격 바울서신은 각 교회에 있는 문제, 환경, 상황의 해결과 위로와 격려를 위해서 각 교회와 성도들에게 맞추어서 교훈을 주고 말씀과 신학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목회적, 변증적, 선교적, 신학적 목적으로 기록된 상황서신이다" 바울서신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적과 배경에 대한 올바른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목적과 배경에 따른 상황성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성경의 저자 및 1차 독자와 현재 성경을 읽는 독자 간의 시간적, 종교적, 문화적, 지리적, 철...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