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양성종양2024.10.011. 면역계의 기능과 과민반응 1.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계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가 관여하며, 크게 B-림프구, T-림프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대식세포로 구성된다. B-림프구는 항체중개성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골수에서 발생하여 성숙한 후 림프조직으로 이동한다. B-림프구는 항원에 감작되어 항체를 생성하며, 이 항체는 이종 단백질을 중화, 제거, 파괴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박테리아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림프구는 세포매개성 면역을 담당한다. T-림프구에는 helper/inducer ...2024.10.01
-
병원미생물학 정리2024.11.27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은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미생물은 세균(bacteri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바이러스(viru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미생물들은 단순한 구조와 신속한 증식력, 유전자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놀라운 적응력을 발휘하여 환경은 물론 인체에서 때로는 유익하게 작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미생물이 질병...2024.11.27
-
면역반응2024.08.231. 서론 1.1. 면역반응과 과민반응의 개념 및 중요성 면역반응이란 인체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에 대해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식별하여 비자기를 제거함으로써 개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일련의 방어기전이다. 즉, 면역은 인체를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면역반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를 과민반응이라고 한다. 과민반응은 면역반응이 항원에 대해 지나치게 나타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면역계의 비...2024.08.23
-
해부학 소화계통 문제2024.10.15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 및 분류 병리학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병리학은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적인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한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질병(disease)을 의미하는 'Pathos'와 학문 또는 과학을 의미하는 'logos'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병리학은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기초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병리학은 크게 인체병리학과 실험병리학으로 분류된다. 인체병리학은 병의 원인이...2024.10.15
-
아나필락시스 쇼크 간호진단2024.10.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름철이면 추석명절을 앞두고 어김없이 벌 쏘임가 발생한다. 2017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실시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 벌 쏘임 사고는 총 5,457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24명으로, 이 중 15명은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사망하였다. 19년도부터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가 되었던 '코로나 19'의 백신에서도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을 만큼 약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식품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아나필락시스는 즉각적인 치료가 이뤄지...2024.10.16
-
아낙필락시스 간호과정2024.10.0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보고서 주제를 '폐렴'으로 한 이유는 친할아버지께서 폐렴으로 돌아가셨는데 평소 흡연과 음주를 많이 하셨었다. 그래서 폐렴에 대한 사망률을 조사하다 보니 우리나라의 고령자에게 있어 폐렴은 사망률이 높을 뿐 아니라 호흡계통질환의 사망원인 1위가 폐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폐렴은 폐암보다 인구 10만명당 37.8명으로 사망률이 높다고 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의 폐렴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를 조사하고, 원인, 치료방법,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24.10.03
-
병리학 요약집2025.04.07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와 역사 병리학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질병을 나타내는 Pathos와 학문 또는 과학을 나타내는 logos의 합성어로,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분야이다. 과거에는 악마설과 신벌설에 의해 질병의 원인을 설명하였으나, 히포크라테스의 액체병리설과 아스클레피아데스의 고체병리학설 등이 전개되면서 병리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레벤후크와 로버트 훅에 의해 현재의 광...2025.04.07
-
병리학 총론2025.04.221. 병리학의 개념 1.1. 병리학의 정의 병리학은 질병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은 질병의 원인, 발생, 경과, 결과 등을 규명하여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는 의학의 기초 분야이다. 병리학은 좁은 의미로 병변의 형태를 규명하고, 병태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분명히 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은 세포, 조직, 기관 등의 상태나 기능의 변화를 연구하여 질병을 이해하고자 한다. 1.2. 병리학의 분류 인체병리학은 병의 원인, 병의 상태, 치료 효과, 사망 원인 등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재료, 인체 조직의 생검재료 및 수술 적출물, 탈락...2025.04.22
-
병리학 예상문제 간호학과 문제 만들기2025.04.19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분류와 정의 병리학은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로, 특히 병을 일으킨 원인 또는 병에 의한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형태적,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은 인체병리학, 실험병리학, 임상병리학, 해부병리학, 외과병리학 등으로 구분된다. 인체병리학은 부검이나 생검을 통해 얻은 인체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하며, 실험병리학은 동물이나 배양세포를 이용하여 질병을 연구한다. 임상병리학은 임상검사를 기초로 하는 체계적인 학문이며, 해부병리학은 부검과 생검 자료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