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5개
-
칸트, 도덕, 언론, 보도, 윤리2024.11.151. 언론윤리와 주요 윤리이론 1.1. 의무론과 목적론의 비교 1.1.1. 의무론: 결과보다는 원칙 중시 의무론적 윤리이론은 결과보다는 주어진 원칙을 철저히 따르는 것을 강조한다. 의무론적 입장을 취한 대표적인 학자는 임마누엘 칸트이다. 칸트는 모든 사람이 무조건적으로 따라야 할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도덕법칙인 "정언명령(categorical imperative)"을 제시하였다. 정언명령이란 그 자체에 가치가 있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도덕 원칙을 말한다. 즉, 칸트에 따르면 윤리적 행동은 결과가 아닌...2024.11.15
-
정글의 법칙 개선안2024.11.151. 서론 '세상은 생각보다 아름답지 않다.'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필자는 깨달았다. 대도시 한가운데 한 마리 늑대처럼 외로이 살아가면서 고등학교 때까지, 필자는 세상은 '정의롭다'고 생각했었다. 모든 사람이 힘을 합쳐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 인간 공동체라고 생각했었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저 밤하늘에 빛나는 별처럼 감탄스러운 도덕법칙'과 이성을 가지고 있을 거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2년 동안 겪은 사회는 약육강식의 논리로 돌아가는 정글이었다. 필자는 보복운전으로 고소한 건에 대해 합의를 봤지만...2024.11.15
-
프랑스어세특2024.11.291. 의류학과 지원 맞춤형 생기부 기재 예시 1.1. 생활과 윤리 세부 능력과 특기사항 기재 예시 행동이 바르고 높은 집중력으로 성실한 수업 태도를 보이는 학생이며, 의류학 분야에 종사하기를 희망하고, 그 분야에서 자신의 윤리 역량을 펼치기를 희망하는 학생이다. 수업 중 나의 꿈 발표에서 의류학의 미래에 대한 전망과 대안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발표하였다. 한편 수업 중에 생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해결하지 못한 사항은 질문을 통해 끝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학생이다. 수업 전 공수 인사를 지...2024.11.29
-
긍정적인 마인드와 관련된 윤리사상2024.10.221. 공리주의에 대한 이해 1.1. 공리주의 개념과 특징 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행위의 기준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즉 사회의 최대다수 구성원의 최대한의 행복을 구하는 윤리·정치관이다. 목적론적 윤리의 한 형태이지만, 이기적이 아니라 보편적이며, 또 내면적 윤리에 대해서 사회적·외면적 도덕의 경향을 나타낸다. 17∼18세기의 고전경험론과 신학자·고전경제학자, 19세기의 급진주의자에게서 이 주의를 찾아볼 수 있으나, 이를 단순명쾌하게 정식화한 사람은 J.벤담이며, J.S.밀 부자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벤담은 ...2024.10.22
-
나에게정의란2024.10.191. 정의에 대한 이해 1.1. 정의의 개념 정의의 개념은 개인과 사회 전체의 바람직한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다. 정의에 대한 개념은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공자는 정의를 "모든 백성이 마음 놓고 바르게 살아가는 것"으로 보았으며, 의를 인간이 실천해야 할 가장 중요한 원리로 설명했다. 맹자는 정의를 "현실 사회 속에서 누려야 할 당위성을 가진 '마땅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거짓과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정의를 추구하는 마음이라고 보았다. 칸트는 상대주의를 비판하고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2024.10.19
-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생각해본 대한민국의 정의2024.10.191. 정의란 무엇인가 1.1. 정의의 개념 정의의 개념이란 무엇일까? 정의에 대한 정의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정의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자 도덕적 판단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정의는 단순히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실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마이클 샌델은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공리주의, 자유지상주의, 칸트의 철학, 존 롤스의 평등사상 등이 대표적이다. 공리주의는 개인의 행복을 수치화하여 합산하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2024.10.19
-
질문에 대한 다른 의견을 가진 두가지의 책2024.11.241. 정의란 무엇인가 1.1. 책 소개 및 저자 소개 '정의란 무엇인가'는 하버드 대학교의 유명한 철학 교수 마이클 샌델이 자신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쓴 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정의의 기준과 원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 책은 정의와 관련한 각종 딜레마를 비롯하여,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의 정의 이론을 다양한 윤리적 갈등 사례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저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단순히 정의에 대해 배우는 것이 아니라, 정의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하도...2024.11.24
-
생명윤리중간고사2024.10.131. 간호윤리와 법 1.1. 윤리의 개념과 이론 윤리는 이상적인 인간의 존재 방식과 행위에 대한 철학적 탐구로, '도덕적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학문이다. 윤리는 선함과 약함, 옳음과 그름에 대한 도덕적 이상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개인 또는 집단을 지배하는 행동규범이자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윤리학은 크게 규범 윤리학과 비규범 윤리학으로 구분된다. 규범 윤리학은 어떤 도덕적 규범이 우리의 행동을 평가하고 안내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는 것으로, 대표적인 이론으로 벤담의 공리주의와 칸트의 의무론...2024.10.13
-
정의란 무엇인가2024.10.151. 서론 1.1. 책 소개 『정의란 무엇인가』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30년간 정치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마이클 샌델 교수가 집필한 저서이다. 원래는 샌델 교수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지만, 이에 대한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인해 책으로 출판되게 되었다. 이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철학자들의 견해와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롤스 등 주요 철학자들의 정의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경제와 국가, 역사적 책임 등 현실 사회 문제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고 ...2024.10.15
-
뇌사찬반2024.10.301. 생명윤리 1.1. 임신중절의 찬반론과 법적 허용 범위 임신중절과 관련한 문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화두에 오르는 이슈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에서는 형법 제269조 제1항 "부녀가 약물 기타 방법으로 낙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모자보건법 제14조를 통해 처벌되지 않는 예외 사유 또한 규정하고 있다. 예외 사유에는 우생학적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강간 또는 준강간에 의...2024.10.30